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강점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Strengths Knowledg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Career Identity in Nursing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683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execute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strengths knowledg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career identity in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nursing students attending in the nursing departments in G and M cities from July to September 2021. Among the collected data, 198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ontrolled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strengths knowledge(β=.473, p<.001) and nursing professionalism(β=.167, p<.01) reported to have effect on career identity. The study model accounted for 48.2% of career ident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ogram to improve strengths knowledg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to promote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in the nursing education field.
      번역하기

      This study was execute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strengths knowledg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career identity in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nursing students attending in the nursing departments in G and M cities from July to S...

      This study was execute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strengths knowledg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career identity in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nursing students attending in the nursing departments in G and M cities from July to September 2021. Among the collected data, 198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ontrolled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strengths knowledge(β=.473, p<.001) and nursing professionalism(β=.167, p<.01) reported to have effect on career identity. The study model accounted for 48.2% of career ident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ogram to improve strengths knowledg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to promote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in the nursing education fiel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강점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G시와 M시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하고 있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7월부터 9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198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기술 통계, 독립표본 평균 검정(t-test), 일원 배치 분산분석(ANOVA), 피어슨 상관계수, 통제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강점인식(β=.473, p<.001)과 간호전문직관(β=.167, p<.01)은 진로정체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연구모형은 진로정체감을 48.2%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을 높이기 위해 강점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간호교육 현장에서 다양하게 개발 및 운영되어야 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강점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G시와 M시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하고 있는 간호대학생을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강점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G시와 M시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하고 있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7월부터 9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198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기술 통계, 독립표본 평균 검정(t-test), 일원 배치 분산분석(ANOVA), 피어슨 상관계수, 통제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강점인식(β=.473, p<.001)과 간호전문직관(β=.167, p<.01)은 진로정체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연구모형은 진로정체감을 48.2%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을 높이기 위해 강점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간호교육 현장에서 다양하게 개발 및 운영되어야 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효진 ; 박희옥, "일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과 셀프리더십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평화연구소 14 (14): 140-159, 2020

      2 김비주 ; 이미애,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4 (24): 455-465, 2018

      3 정혜윤 ; 김세영,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2 (22): 531-539, 2016

      4 김민정 ; 이희경, "대학생의 강점인식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강점활용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5 (15): 1811-1830, 2014

      5 이재은 ; 조영아,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9 (49): 113-132, 2017

      6 이지원 ; 이기학,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강점활용과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8 (18): 205-228, 2017

      7 조인영, "간호학과 신입생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및 대학생활적응 상관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2937-2945, 2014

      8 권상민 ; 이정화 ; 권려원 ; 이지현, "간호전문직관과 교수효율성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267-276, 2020

      9 윤은자 ; 권영미 ; 안옥희, "간호전문직관 측정도구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35 (35): 1091-1100, 2005

      10 김유정,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의사소통능력, 간호사 이미지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 (14): 265-276, 2020

      1 박효진 ; 박희옥, "일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과 셀프리더십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평화연구소 14 (14): 140-159, 2020

      2 김비주 ; 이미애,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4 (24): 455-465, 2018

      3 정혜윤 ; 김세영,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2 (22): 531-539, 2016

      4 김민정 ; 이희경, "대학생의 강점인식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강점활용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5 (15): 1811-1830, 2014

      5 이재은 ; 조영아,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9 (49): 113-132, 2017

      6 이지원 ; 이기학,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강점활용과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8 (18): 205-228, 2017

      7 조인영, "간호학과 신입생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및 대학생활적응 상관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2937-2945, 2014

      8 권상민 ; 이정화 ; 권려원 ; 이지현, "간호전문직관과 교수효율성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267-276, 2020

      9 윤은자 ; 권영미 ; 안옥희, "간호전문직관 측정도구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35 (35): 1091-1100, 2005

      10 김유정,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의사소통능력, 간호사 이미지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 (14): 265-276, 2020

      11 김남희 ; 박선영,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215-230, 2019

      12 조경숙,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대한근관절건강학회 27 (27): 142-152, 2020

      13 임경민 ; 조은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와 간호사 이미지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556-566, 2016

      14 김남석 ; 고영주,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과의 관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211-218, 2020

      15 박현미 ; 석자영 ; 박소연 ; 이소영,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7 (37): 1151-1158, 2020

      16 장명희 ; 곽미선 ; 안주리,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39 (39): 1-18, 2020

      17 이아람 ; 장희정,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22 (22): 2427-2442, 2020

      18 김은희,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셀프리더십, 임파워먼트와의 관계" 한국임상보건과학회 4 (4): 532-541, 2016

      19 조은주 ; 박정훈 ; 임경민,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329-337, 2019

      20 한상숙 ; 김명희 ; 윤은경, "간호 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 14 (14): 73-79, 2008

      21 이지원 ; 이내영 ; 어용숙, "간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임상수행능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 수준 간의 경로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311-320, 2018

      22 Hospotal Nurses Associatin,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placement"

      23 D. O. Clifton, "StrengthsQuest" Gallup Press 2002

      24 R. Govindji, "Strengths use, self-concordance and well-being: Implications for strengths coaching and coaching psychologists" 2 (2): 143-153, 2007

      25 John J. Holland, "Some diagnostic scales for research in decision making and personality: Identity, information, and barrier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39 (39): 1191-1200, 1980

      26 H. Jo, "Self Esteem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20 (20): 163-173, 2006

      27 J. A. Seong, "Professionalism and Career Ident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2 (2): 29-38, 2012

      28 N. K. Kim, "Patterns of Career Choice and Career Identity of Students in Nursing" Ajou University 2012

      29 H. S. Kang, "Path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7

      3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Year Book 2020"

      31 Y. H. Kwon, "Effects of a Ready Planned Self Growth program through MBTI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Career Ident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13 (13): 216-229, 2002

      32 R. S. Sharf, "Applying career development theory to counseling" Thomson Publication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5.85 5.85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7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