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1항 개정에 따른 수사기관의 대응방안 제고 = Enhancement of countermeasures by investigative agencies under Article 312 (1)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767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20년 2월 4일 형소법 개정에 의하여 검사가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는 피의자였던 피고인 또는 변호인이 공판정에서 그 내용을 인정할 때에 한하여 증거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20...

      2020년 2월 4일 형소법 개정에 의하여 검사가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는 피의자였던 피고인 또는 변호인이 공판정에서 그 내용을 인정할 때에 한하여 증거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2022년 1월 1일부터는 검사작성 피의자신문조서를 피의자의 유죄인정을 위한 증거로 사용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에 본 고에서는 검사작성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에 대한 제312조 제1항의 개정배경과 그 증거능력의 인정에 관한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 증거능력 인정요건의 개정에 따른 문제점 및 이에 따른 수사기관의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번 형소법 개정으로 물적 증거확보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피고인의 진술증거만으로 범죄사실 입증이 어렵게 되면서 실체적 진실발견에 장애가 될 수 있고, 특히 피고인이 공판장에서 수사단계의 진술을 부인할 경우 재판지연, 거짓말 잔치, 재판의 비웃음 등의 사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피해자들의 분노와 사법에 대한 불신이 초래될 수 있는 등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사법정의의 실현을 위하여 형소법 개정에 따른 보완책이 강구될 것이 요구된다. 그 대책으로 다음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ⅰ) 조사자 증언제도의 적극 활용, (ⅱ) 물적 증거확보를 위한 수사역량 강화, (ⅲ) 조사과정을 촬영한 영상녹화물의 증거 능력 인정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창현, "휴지가 될 피의자신문조서" 고시계사 99 (99): 2021

      2 이호중, "형사절차와 인권" 한양법학회 19 : 2006

      3 경찰청, "형사소송법 해설서" 2020

      4 신양균, "형사소송법 제·개정 자료집(상)"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9

      5 박노섭, "형사소송법 제312조의 개정의 소송이념적 의미와 향후 과제" 범죄수사연구원 6 (6): 31-55, 2020

      6 김현철,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1항의 개정에 따른 수사와 공판 실무의 예상되는 변화와 바람직한 운영 방안" 법학연구소 41 (41): 257-288, 2021

      7 법원행정처, "형사소송법 개정법률 해설" 2007

      8 강동욱, "형사소송법 강의" 도서출판 오래 2021

      9 서보학, "피의자진술의 비디오 녹화 도입에 따른 법정책적 검토 및 재판상 증거능력" 수사연구사 22 (22): 2004

      10 김정한, "피의자 신문조서의 증거능력에 관한 소고" 법조협회 55 (55): 283-313, 2006

      1 이창현, "휴지가 될 피의자신문조서" 고시계사 99 (99): 2021

      2 이호중, "형사절차와 인권" 한양법학회 19 : 2006

      3 경찰청, "형사소송법 해설서" 2020

      4 신양균, "형사소송법 제·개정 자료집(상)"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9

      5 박노섭, "형사소송법 제312조의 개정의 소송이념적 의미와 향후 과제" 범죄수사연구원 6 (6): 31-55, 2020

      6 김현철,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1항의 개정에 따른 수사와 공판 실무의 예상되는 변화와 바람직한 운영 방안" 법학연구소 41 (41): 257-288, 2021

      7 법원행정처, "형사소송법 개정법률 해설" 2007

      8 강동욱, "형사소송법 강의" 도서출판 오래 2021

      9 서보학, "피의자진술의 비디오 녹화 도입에 따른 법정책적 검토 및 재판상 증거능력" 수사연구사 22 (22): 2004

      10 김정한, "피의자 신문조서의 증거능력에 관한 소고" 법조협회 55 (55): 283-313, 2006

      11 강동욱, "탐정학개론" 박영사 2019

      12 하금석 ; 강동욱, "탐정의 실태 및 탐정 관리법률의 입법방안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38 (38): 109-137, 2021

      13 홍진영, "조사자증언에 있어서 특신상태 요건의 구체화 - 2020년 형사소송법 개정을 계기로 -" 법조협회 71 (71): 213-251, 2022

      14 신동운, "제정형사소송법의 성립경위" 한국형사법학회 (22) : 159-221, 2004

      15 사법개혁특별위원회, "제368회 국회(임시회) 「사법개혁특별위원회회의록」 제11호"

      16 이순옥, "영상녹화의 적극적 활용 및 증거능력 인정 필요성에 대한 검토" 대검찰청 (70) : 29-79, 2021

      17 박노섭, "실체적 진실발견과 수사절차의 의미변화" 한국경찰법학회 (2) : 2004

      18 김한균, "신뢰가능한 경찰 수사역량의 구축 - 수사구조개혁 시대, 수사역량 강화의 가치지향적 이해 -" 한국형사정책학회 33 (33): 35-64, 2021

      19 신동운, "수사지휘권의 귀속에 관한 연혁적 고찰(2)"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42 (42): 2001

      20 이상훈, "수사기관 작성조서의 증거사용에 관한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2021

      21 한석훈, "수사권조정 및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법안의 평가 -비즈니스범죄 등을 수사하는 전문수사청 설치를 위한 제안-" 법학연구원 31 (31): 633-692, 2019

      22 박노섭, "수사관 기초소양 교육 및 평가방안 연구 보고서"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2013

      23 오기두, "수사과정 영상녹화물의 증거조사(상) - 2008년 이후의 논의에 대한 답변 -" 한국법학원 138 : 275-305, 2013

      24 하재홍, "사법경찰관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제한에 대한 재검토" 법조협회 66 (66): 165-219, 2017

      25 사법개혁위원회, "사법개혁을 위한 건의문"

      26 강동욱, "민간조사제도의 도입에 관한 논의 - 국회 관련법률안을 중심으로 -" 한국법정책학회 13 (13): 1051-1076, 2013

      27 윤민우 ; 이수정 ; 최혜림, "국내 형사사법 시스템에서의 심리학 및 행동과학 분야 민간전문가 활용방안에 대한 정책제언: 미국의 민간전문가 활용 예시를 통한 시사점 도출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5 (25): 137-153, 2011

      28 남궁한, "과학수사체계의 개선방안"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29 하태훈, "공판중심주의에 부합하는 수사 실무 개선방안" 경찰청 2012

      30 이기수, "경찰관 법정증언의 실태와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36 (36): 507-545, 2012

      31 장기현, "경찰 과학수사의 역량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경찰법무대학원 2005

      32 임수빈, "검찰권 남용에 대한 통제방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33 김종현, "검사작성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에 관한 형사소송법규정의 헌법적평가"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연구원 2020

      34 김성룡, "검사작성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관련 규정 개정이 남긴 과제" 대한변호사협회 (491) : 50-66, 2020

      35 신이철, "검사작성 피의자신문조서의 예외적 증거능력 요건에 대한 재검토 - 전문법칙과 공판중심주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치안정책연구소 33 (33): 163-196, 2019

      36 이완규, "개정 형사소송법의 쟁점" 탐구사 2007

      37 법무부, "개정 형사소송법"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1 0.839 0.4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