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상담 자격증 취득 과정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A Grounded Theory Study on the Process of Acquiring Counseling Credentials in Graduate Students in the School of Counse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516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in the process of acquiring counseling credentials using the method of grounded theory,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The study sought to explore wha...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in the process of acquiring counseling credentials using the method of grounded theory,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The study sought to explore what these students experience and the process of change they undergo, as well as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experiences, with the intention of developing a substantive theory and providing foundational materials for obtaining counseling credentials. Fourteen participants who had completed the process of acquiring counseling credentials and were currently enrolled or graduated from the master's degree program in counseling were selec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Through open coding, the analysis of the data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144 main concept, 55 subcategories, and 24 categories. The central phenomenon that emerged in the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in the process of acquiring counseling credentials was identified as "struggling as master's trainees and novice counselors." The core category was identified as "Struggling amidst ambiguity but overcoming and maturing".
      The causal and contextual conditions that contributed to the central phenomenon of "struggling as master's trainees and novice counselors" in the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in the process of acquiring counseling credentials were identified as "emergence of motivation for credential acquisition," "limitations due to being students," and "variations in individual backgrounds." The contextual conditions underlying the manifestation of the phenomenon were "confusion caused by the credentialing system," "realities of the counseling psychology field," and "changes resulting from the COVID-19 pandemic." The intervening conditions that regulated and acted upon the central phenomenon included "support from authorities," "attitudes of others," "presence of family,"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strategies of action/interaction that emerged as responses to the central phenomenon were "perseverance," "recognizing helplessness," "motivation and reinforcement," "creating a supportive environment," "creating synergy academically," "obtaining necessary core information," "seeking help from others," "finding joy in togetherness," and "self-care." Through these processes, the outcomes were "ambivalent emotions toward the counseling field," "finding my own pace," "personal growth," and "loving myself as a counselor." The process of acquiring counseling credentials among graduate students in the School of Counseling was summarized into four stages: "challenging stage," "effort stage," "performing stage," and "awareness stage."

      Keywords : School of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Counseling Credentials, Grounded Theory, Qualitative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론 중의 하나인 근거이론 방법을 통해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상담 자격증 취득 과정 경험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그들이 무엇을 경험하고 어떤 변화 과정을 겪는지, ...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론 중의 하나인 근거이론 방법을 통해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상담 자격증 취득 과정 경험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그들이 무엇을 경험하고 어떤 변화 과정을 겪는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탐색하여 실체 이론을 개발하고 상담 자격증 취득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려 하였다. 상담 자격증 취득을 완료하고 상담전공으로 석사 학위 과정을 재학하거나 졸업한 14명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고, 개방 코딩을 통해 진행한 자료 분석 결과로 144개의 개념, 55개의 하위 범주, 2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상담전공 대학원생이 상담 자격증 취득 과정을 경험하며 나타나는 중심현상은 ‘석사 수련생이자 초심상담자로서 막막한 고충을 겪음’이었으며 핵심범주는 ‘모호함 속에서 헤매었지만 극복해 나아가며 성숙함’으로 나타났다.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상담 자격증 취득 과정 경험에서 ‘석사 수련생이자 초심상담자로서 막막한 고충을 겪음’이라는 중심현상의 원인이자 영향을 미친 인과적 조건은 ‘자격증 취득 동기가 생김’, ‘학생이기 때문에 생기는 한계’, ‘각자의 배경 상황이 다름’으로 나타났고, 현상이 나타나는 배경이 되는 맥락적 조건은 ‘자격증 제도로 인한 혼란’, ‘상담 심리 분야의 현실’, ‘코로나 Covid-19 사태로 생겨난 변화’였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조절하고 변수가 되는 중재적 조건은 ‘권위자의 지원’, ‘주변의 태도’, ‘가족의 존재’, ‘개인적 특성’으로 드러났으며, 중심현상에 대한 대응 양상인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버텨내기’, ‘무기력을 인식하기’, ‘동기 부여 및 강화하기’, ‘주변 환경 조성하기’, ‘학문적으로 시너지 효과 만들기’, ‘필요한 핵심 정보 얻기’, ‘다른 사람에게 도움 구하기’, ‘함께하면서 즐거움 찾기’, ‘나를 돌보기’를 사용하였다. 이를 거쳐 결과는 ‘심리상담 분야에 대한 양가감정’, ‘나의 속도를 찾게 됨’, ‘내적으로 성장함’, ‘“상담자인 나” 자체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시간에 흐름에 따른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상담 자격증 취득 과정은 ‘도전 단계’, ‘노력 단계’, ‘수행 단계’, ‘알아차림 단계’의 4가지 단계로 정리되었다.

      주요어 : 상담전공, 대학원생, 상담 자격증, 근거이론, 질적연구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5
      • II. 이론적 배경 6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5
      • II. 이론적 배경 6
      • 1. 상담전공 대학원생에 대한 이해 6
      • 2. 상담 자격증의 구분과 선행 연구 8
      • 1) 국내 상담 자격증 9
      • (1) 국가 자격증 10
      • ① 청소년상담사 2급 11
      • ② 전문상담교사 2급 11
      • (2) 민간 학회 자격증 12
      • ①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2급 13
      • ② 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2급 13
      • 2) 국내 선행 연구와 국외 상담 자격증 14
      • III. 연구방법 18
      • 1. 질적 연구와 근거이론 18
      • 2. 연구 절차 20
      • 1) 연구 참여자 선정 20
      • 2) 자료 수집 24
      • 3) 자료 분석 26
      • 4) 윤리적 고려 27
      • 5) 연구자 준비도 30
      • 6) 연구 타당도 및 신뢰도 32
      • IV. 연구결과 34
      • 1. 개방코딩 34
      • 2. 축코딩 189
      • 1) 패러다임 모형에 의한 범주분석 189
      • 2) 과정분석 195
      • 3. 선택코딩 200
      • 1) 핵심범주 200
      • 2) 이야기 윤곽의 전개 201
      • V. 결론 및 논의 205
      • 1. 결론 205
      • 2. 논의 및 제언 206
      • 참고 문헌 211
      • 부록 220
      • Abstract 22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