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가면극의 계통을 보는 시각 재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2585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가면극은 그 내용과 성립과정으로 보아 크게 ‘마을굿놀이 계통 가면극’과 ‘본산대놀이 계통 가면극’으로 나눌 수 있다. 마을굿놀이 계통 가면극은 자생적 가면극이다. 우리의 ...

      한국 가면극은 그 내용과 성립과정으로 보아 크게 ‘마을굿놀이 계통 가면극’과 ‘본산대놀이 계통 가면극’으로 나눌 수 있다.
      마을굿놀이 계통 가면극은 자생적 가면극이다. 우리의 자생적 연희의 흔적은 이미 상고시대의 암각화와 국중대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황창무, 『삼국유사』『처용랑 망해사 조의 남산신 가면무와 처용무 등 자생적 가면무도 마을굿놀이 계통 가면극의 성립에 영향을 끼쳤다. 마을굿놀이 계통 가면극들은 다른 지방의 가면극과 전혀 다른 내용을 갖고 있다. 그것은 이 가면극들이 마을굿에서 자생적으로 형성되어 발전해 왔기 때문이다.
      본산대놀이는 삼국시대에 유입된 산악ㆍ백희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발전해, 18세기에 성균관 노비였던 반인들에 의해 성립된 것이다. 백희, 잡희, 산대희, 산대잡희라고 칭해졌던 연희는 바로 서역과 중국에서 유입된 산악ㆍ백희 계통의 연희이다.
      아극돈의 『봉사도』(1725) 중 제7폭에서는 당시의 중국 사신 영접 행사에서 소형산대 앞에서 대접돌리기, 물구나무서기, 줄타기와 함께 가면을 쓴 네 사람이 춤을 추고 있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그래서 이미 1725년 이전에 중국 사신 영접 행사에서 산대를 설치하고 가면희도 행했으며, 서울 근교의 가면극을 산대놀이라고 부르는 이유를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유득공의 『경도잡지』『권1 성기 조에서는 나례도감에 속했던 연극인 야희를 소개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18세기 중엽에 본산대놀이가 성립되어 있었거나, 성립되어 가고 있는 과정이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바로 산악ㆍ백희로부터 가면극으로의 발전을 의미한다. 또 강이천의 한시 〈남성관희자〉(1789)는 이미 1778년에 지금과 같은 내용의 본산대놀이가 성립되어 있었음을 전해 준다. 본산대놀이라고 할 수 있는 서울 근교의 가면극은 애오개(아현), 사직골, 구파발, 녹번 등에 있었다. 본산대놀이의 영향 아래 서울과 경기도의 송파산대놀이ㆍ양주별산대놀이, 황해도의 봉산탈춤ㆍ강령탈춤ㆍ은율탈춤, 경남의 수영야류ㆍ동래야류ㆍ통영오광대ㆍ고성오광대ㆍ가산오광대, 남사당패의 덧뵈기 등이 생겨났다.
      가면극의 많은 대목들은 독립적인 우희(優戱)의 모습을 하고 있다. 본산대놀이의 형성에는 여러 요인들이 작용했을 터이지만, 대사의 구성이나 양반과장 중 양반의 모습 등은 우희ㆍ유희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보여 준다. 우희는 산악ㆍ백희의 한 종목이었다. 그러므로 산악ㆍ백희 계통의 연희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본산대놀이의 형성에 영향을 끼쳤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마을굿놀이 계통 가면극들과 본산대놀이 계통 가면극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발전해온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서로 끊임없이 영향을 주고받았을 것이다. 또 각 지역으로 전파된 본산대놀이 계통 가면극들도 계속 독자적 변모과정을 거쳤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mask dance drama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in their contents and the processtheir formation: the maeul-gut(village ritual festival) and the sandae-nori. The maeul-gut mask dance play was a naturally generated play whose evidence can be fou...

      Korean mask dance drama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in their contents and the processtheir formation: the maeul-gut(village ritual festival) and the sandae-nori. The maeul-gut mask dance play was a naturally generated play whose evidence can be found in rock paintings incised in rocks from the prehistoric times. The naturally generated mask dance play such as the namsan-sin mask dance drama and the cheoyong-mu(the ritual dance of a male called cheoyong) recorded in Samgukyusa(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had an effect on the formation of the maeul-gut typed mask dance play, which has different contents from those of other regions in that these masks have been developed by being naturally produced from the maeul-gut.
      The bonsandae-nori typed mask dance dramas were handed down from the Unified Shilla period(B.C. 57~A.D. 935) to the Joseon dynasty and were completed in the 18th century by slave-class servants called banin in seonggyungwan(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he plays dubbed ‘baekhee’, ‘japhui’, ‘sandaehui’, and ‘sandaejaphui’, were directly introduced to Korea from China and Persia.
      The four performers playing mask dance with other performers playing plate-spinning, stilts, and tightrope walking are illustrated on the 7th scroll of ‘the Painting on the Reception for Envoys’ describing scenes ofreception performances for Chinese envoys being entertained with various performances by the order of Ageukdon, a Chinese envoy in 1725. The mask dance dramas were already performed on the event for Chinese envoys on the small stage, so tha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mask dance dramas performed in the vicinity of Seoul were called ‘sandae-nori’.
      A mask dance drama comprises several acts, each an independent farcical unit(uhui). The bonsandae-nori plays were created under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but the influence of farce-uhui-and the plays mocking Confucian scholars-yuhui-was salient in the conversational pattern as well as in the description of the nobleman in the yangban scene. The uhui was one of the genres in the sanak-baekhui plays, which show how they had an effect on the creation of the bonsandae-nori.
      However, there is no proof that the maeul-gut typed mask dance dramas and the sandae-nori typed mask dance dramas have been developed independently. It is presumed that they have been consistently effect on each other. The bonsandae-nori spread to other regions has been constantly gone through an independent chan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Ⅰ. 머리말
      • Ⅱ. 마을굿놀이 계통 가면극의 역사적 전개
      • Ⅲ. 본산대놀이 계통 가면극의 역사적 전개
      • Ⅳ. 결론
      • [국문 초록]
      • Ⅰ. 머리말
      • Ⅱ. 마을굿놀이 계통 가면극의 역사적 전개
      • Ⅲ. 본산대놀이 계통 가면극의 역사적 전개
      • Ⅳ. 결론
      • 도판목록
      • 참고문헌
      • [부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경욱, "「반인의 다양한 활동과 본산대놀이의 전승」, 『문묘제례악과 양주별산대놀이』 in: 한국 가면극과 그 주변문화" 월인 2007

      2 전경욱, "한국의 전통연희" 학고재 2004

      3 윤광봉, "한국의 연희" 반도출판사 1992

      4 전경욱, "한국의 가면극" 열화당 2007

      5 이두현, "한국의 가면극" 일지사 1979

      6 이두현, "한국연극사 신수판" 학연사 2000

      7 이두현, "한국가면극" 한국가면극연구회 1969

      8 전경욱, "한국 가면극과 그 주변문화" 월인 2007

      9 전경욱, "한국 가면극 그 역사와 원리" 열화당 1998

      10 이두현, "한국 가면극" 문화재관리국 1969

      1 전경욱, "「반인의 다양한 활동과 본산대놀이의 전승」, 『문묘제례악과 양주별산대놀이』 in: 한국 가면극과 그 주변문화" 월인 2007

      2 전경욱, "한국의 전통연희" 학고재 2004

      3 윤광봉, "한국의 연희" 반도출판사 1992

      4 전경욱, "한국의 가면극" 열화당 2007

      5 이두현, "한국의 가면극" 일지사 1979

      6 이두현, "한국연극사 신수판" 학연사 2000

      7 이두현, "한국가면극" 한국가면극연구회 1969

      8 전경욱, "한국 가면극과 그 주변문화" 월인 2007

      9 전경욱, "한국 가면극 그 역사와 원리" 열화당 1998

      10 이두현, "한국 가면극" 문화재관리국 1969

      11 김학주, "한·중 두 나라의 가무와 잡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12 충무시지편찬위원회, "충무시지" 동위원회 1987

      13 김재철, "조선연극사" 학예사 1939

      14 정은경, "조선시대 궁중정재와 민간 연희의 교섭 양상" 고려대 대학원 2003

      15 김일출, "조선민속탈놀이연구" 과학원출판사 1957

      16 전경욱, "재승(才僧) 계통의 연희자" 국립민속박물관 11 : 237-265, 2002

      17 가와타케시게토시, "일본연극사 상" 청우 2001

      18 임형택, "이조시대 서사시 하" 창작과 비평사 1992

      19 전경욱, "우희와 판소리․가면극의 관련양상" 한국민속학회 34 : 2001

      20 이혜구, "양주별산대놀이의 옴·먹중·연잎과장" 예술원 8 : 1969

      21 서연호, "야류·오광대탈놀이" 열화당 1989

      22 서연호, "서낭굿탈놀이" 열화당 1991

      23 서연호, "산대탈놀이" 열화당 1987

      24 양재연, "산대도감희에 취하여 in: 중대30주년논문집" 중앙대 1955

      25 이두현, "산대도감극 성립과정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18 : 1957

      26 정형호, "본산대의 전승과 양주별산대놀이의 형성 in: 한국 전통연희의 전승과 미의식" 민속원 2008

      27 전경욱, "본산대놀이와 北方文化" 국립민속박물관 (8) : 2001

      28 손태도, "본산대 탈놀이패에 대한 시각" 한국고전희곡학회 4 : 2002

      29 김정배, "동북아 속의 한국의 암각화" 한국사연구회 1997

      30 김학주, "나례와 잡희"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6 (6): 1963

      31 서연호, "꼭두각시놀음의 역사와 원리" 연극과 인간 2001

      32 이기문, "국어 어휘사 연구" 동아출판사 1991

      33 "광해군 일기"

      34 사진실, "공연문화의 전통" 태학사 2002

      35 전경욱, "고대의 한류로서 우리 공연예술이 동아시아에 미친 영향 in: 고대에도 한류가 있었다" 지식산업사 2007

      36 서연호, "고대연희사의 잔영을 찾아서 in: 한국 가면극연구" 월인 2002

      37 주재걸, "고구려사람들의 예술활동에 관한 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8 : 1983

      38 이혜구, "韓國音樂硏究" 國民音樂硏究會 1957

      39 河竹繁俊, "日本演劇全史" 岩波書店 1979

      40 안확, "山臺舞劇と處容舞と儺" 朝鮮總督府 201 : 1932

      41 秋葉隆, "山臺戱 in: 朝鮮民俗誌" 六三書院 195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64 0.96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