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년기 개인적 관계적 활동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 Effects of Personal and Relational Activity on Happiness Among Older Adults: Mediating Rol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499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개인적 관계적 참여활동이 행복감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노인의 기본심리욕구를 토대로 확인해보는 데 있었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 65세 이상 노년층을 217명을 대상...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개인적 관계적 참여활동이 행복감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노인의 기본심리욕구를 토대로 확인해보는 데 있었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 65세 이상 노년층을 217명을 대상으로 자기개발활동, 적극적 사교활동, 행복감, 기본심리욕구로서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자기개발활동과 적극적 사교활동은 모두 행복감을 긍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매개분석 결과, 자기개발활동과 행복감 간의 관계는 유능성과 관계성에 의해 매개되었고, 적극적 사교활동과 행복감 간의 관계는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에 의해 매개되었다. 이 결과는 노년기 개인적 활동은 개인을 유능하게 느끼게 하고 관계욕구를 부족하지 않게 지각하게 하고, 관계적 활동은 개인을 자율적이고 유능하게 지각하게 만들고 관계성을 충족시켜 행복감에 이르게 한다고 해석될 수 있다. 이 결과의 함의와 아울러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이 함께 논의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path through which personal and relational participation activities in old age could lead to happiness based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older adult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13 older adults aged 65 yea...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path through which personal and relational participation activities in old age could lead to happiness based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older adult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13 older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regarding their self-development activities, active social interaction, happiness,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both self-development activities and active social interaction positively predicted happiness. Second, medi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velopment activities and happiness was mediated b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social activities and happiness was mediated by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personal activities in old age can make individuals feel competent and perceive their relationship needs as sufficient, while relational activities make individuals perceive themselves as autonomous and competent with satisfying relationships, leading to a sense of happines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