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후불량주거지의 토지이용 효율성 제고방안: 소규모 주택밀집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 Efficiency of Land Use in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163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of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that consisits of individual house and multi-story house are facing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in these, shortage in urban facilities, high density and unplanned developme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gal outline the restructuring of the deteriorative houses in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This study has five parts including the introduction and conclusion. The second part legal reviews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the housing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the rehabilitation except for the proje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urban environment from a legal point of view. The third part describes the problems to adopt these projects on the small-scale areas. The fourth part proposes for efficiency of land use and improvement of environment in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as follows. 1) There is a need for the survey of small and restricted land in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2) There is a need to mitigate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restructuring of individual house. 3) There is a need to approve small-scale restructuring to promote the restructuring of the deteriorative houses. 4) There is a need to expand for the urban planning projects. 5) There is a need for the application of air rights and the examination of japanese system that tranfer floor area ratio in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번역하기

      Most of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that consisits of individual house and multi-story house are facing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in these, shortage in urban facilities, high density and unplanned developme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Most of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that consisits of individual house and multi-story house are facing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in these, shortage in urban facilities, high density and unplanned developme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gal outline the restructuring of the deteriorative houses in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This study has five parts including the introduction and conclusion. The second part legal reviews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the housing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the rehabilitation except for the proje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urban environment from a legal point of view. The third part describes the problems to adopt these projects on the small-scale areas. The fourth part proposes for efficiency of land use and improvement of environment in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as follows. 1) There is a need for the survey of small and restricted land in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2) There is a need to mitigate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restructuring of individual house. 3) There is a need to approve small-scale restructuring to promote the restructuring of the deteriorative houses. 4) There is a need to expand for the urban planning projects. 5) There is a need for the application of air rights and the examination of japanese system that tranfer floor area ratio in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거수준 향상을 위한 주택개보수 지원정책 연구" 국토연구원 2001

      2 "입체적 토지이용의 활성화를 위한 법리적 고찰" 117-130, 2004

      3 "입체도시계획의 활성화 방안연구" 건설교통부 2001

      4 "소규모 재건축사업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1999

      5 "소규모 재개발에 의한 노후불량주거지의 점진적 정비수법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소규모 연쇄형 재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21 (21): 161-170, 2005

      6 "서울시 재건축에 미친 관련 법령의 영향요인 분 석" 20 (20): 87-94, 2004

      7 "민법주해(Ⅵ)." 박영사 2002

      8 "도시노후지역에서 이해 관계자의 특성에 따른 정비방식의 효과성 분석과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21 (21): 99-106, 2005

      9 "도시계획운영에 따른 손익조정체계로서의 개발권양도제 (TDR)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공사 2004

      10 "노후 공동주택 관련제도 개정에 따른 주택정비사업의 시행 가능성 연구" 21 (21): 39-46, 2005

      1 "주거수준 향상을 위한 주택개보수 지원정책 연구" 국토연구원 2001

      2 "입체적 토지이용의 활성화를 위한 법리적 고찰" 117-130, 2004

      3 "입체도시계획의 활성화 방안연구" 건설교통부 2001

      4 "소규모 재건축사업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1999

      5 "소규모 재개발에 의한 노후불량주거지의 점진적 정비수법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소규모 연쇄형 재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21 (21): 161-170, 2005

      6 "서울시 재건축에 미친 관련 법령의 영향요인 분 석" 20 (20): 87-94, 2004

      7 "민법주해(Ⅵ)." 박영사 2002

      8 "도시노후지역에서 이해 관계자의 특성에 따른 정비방식의 효과성 분석과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21 (21): 99-106, 2005

      9 "도시계획운영에 따른 손익조정체계로서의 개발권양도제 (TDR)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공사 2004

      10 "노후 공동주택 관련제도 개정에 따른 주택정비사업의 시행 가능성 연구" 21 (21): 39-46, 2005

      11 "기성시가지 정비기법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2002

      1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 건설교통부 2004

      13 "공중권을 활용한 세운상가지구 재개발 가능성 구상" 2001

      14 "わが國の「容積移轉」に關わる制度の動向について" 42 (42): 1-12, 2000

      15 "Real Estate Law" West Publishing Co 1986

      16 "Real Estate" Leyh Publishing LLC 2003

      17 "1980년대 이후 재건축 관련법령개정이 서울시 주택재건축시장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6-15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국토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5 1.24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