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ong Jae-gyu (鄭載圭, 1843-1911) was a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o contributed to the solidification and formation of the Nosa school (蘆沙學派) through the publication of Nosajib (蘆沙集) and active lecture activities based on t...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687018
이원석 (전남대학교)
2023
Korean
Jeong Jae-gyu ; Ki Jung-jin ; Shen Gui-bao ; Lee Jin-sang ; Intelligence. ; 정재규 ; 기정진 ; 심귀보 ; 이진상 ; 智.
KCI등재
학술저널
177-205(2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eong Jae-gyu (鄭載圭, 1843-1911) was a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o contributed to the solidification and formation of the Nosa school (蘆沙學派) through the publication of Nosajib (蘆沙集) and active lecture activities based on t...
Jeong Jae-gyu (鄭載圭, 1843-1911) was a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o contributed to the solidification and formation of the Nosa school (蘆沙學派) through the publication of Nosajib (蘆沙集) and active lecture activities based on the independent acceptance of his teacher, Ki Jeong-jin (奇正鎭). He explained the concept of intelligence based on the definitions of Shen Gui-bao (沈貴珤), an early scholar of the Yuan Dynasty, and even though the volume was not large, he presented a deep analysis and a unique interpretation. Few Joseon Neo-Confucian scholars had explained the concept of intelligence based on Shen Gui-bao, so his attempts are unique. Shen Gui-bao explained, “the Intelligence includes the axis of change in the real world where the heavenly principles are inherent and has a mirror to judge the conflicts of human affairs”. Hu Bing-wen (胡炳文) used the explanation to justify his concept of intelligence. However, since intelligence is a principle, and the “axis of change in the real world” is also a principle, an unreasonable proposition of ‘principle includes principle’ can be established according to Shen Gui-bao’s definitions. Therefore, Kim Chang-hyeop (金昌協) and others criticized Shen Gui-bao, saying that such a proposition cannot be accepted. However, in the 19th century, Lee Hang-ro (李恒老) and Lee Jin-sang (李震相)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Shen Gui-bao’s definitions. Jeong Jae-gyu, who partially accepted the influence of Lee Jin-sang, reaffirmed the fundamental position of intelligence through the phrase “Intelligence includes the axis of change in the real world”, and emphasized that intelligence is the basis for both moral judgment and the principle of perception. Furthermore, in the Neo-Confucian system, intelligence corresponds to a quiet virtue, so Jung Jae-gyu’s emphasis on it might lead to a theory of cultivation centered on solitude (靜), which can be confirmed in questions and answers shared with Ki Jung-jin, his writings, and poems.
국문 초록 (Abstract)
鄭載圭(1843~1911)는 “蘆門三子” 중 한 명으로서 스승 奇正鎭의 학문을 주체적으로 수용한 바탕 위에서, 『노사집』의 간행과 왕성한 강학 활동을 통해 노사학파의 공고화와 정체성 형성에 ...
鄭載圭(1843~1911)는 “蘆門三子” 중 한 명으로서 스승 奇正鎭의 학문을 주체적으로 수용한 바탕 위에서, 『노사집』의 간행과 왕성한 강학 활동을 통해 노사학파의 공고화와 정체성 형성에 이바지한 인물이다. 그는 원대 초기 학자인 심귀보의 규정에 기대어 智 개념을 설명하였는데, 비록 분량은 많지 않아도 분석의 깊이가 있고 독특한 해석을 제시했다. 조선 성리학자 중 심귀보에 의지하여 智 개념을 설명한 사례는 거의 발견되지 않으므로 그의 시도는 독특하다고 할 수 있다. 심귀보는 “智는 천리 動靜의 기축을 포함하고 인간사의 시비를 비추는 거울을 갖추고 있다.”라고 설명하였고, 호병문은 자신의 智 개념을 정당화하는 데 그 설명을 이용한 바 있다. 하지만, 智는 바로 이치이고, “천리 동정의 기축”도 이치이므로 심귀보의 규정에 따르면 ‘이치가 이치를 포함한다.’라는 불합리한 명제가 성립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선의 김창협 등은 이런 명제가 참일 수 없다면서 심귀보를 비판했다. 그러나 19세기 들어 이항로와 이진상은 심귀보의 규정에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이진상의 영향을 일부 받아들인 정재규는 “지는 천리 동정의 기축”이라는 구절을 통해 지의 근원적 위치를 재확인하였고, “지는 인간사의 시비를 비추는 거울을 갖추고 있다.”는 구절을 통해 ‘지’가 도덕 판단의 근거이자 지각의 원리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주자학 체계에서 ‘지’는 靜에 해당하므로 그에 대한 정재규의 강조는 主靜的 수양론으로 이어지는데 이 점은 기정진과의 문답, 기문, 그리고 그의 여러 시에서 확인될 수 있다.
『書經』 贖刑論에 대한 丁若鏞과 沈大允의 다원적 이해 - ‘欽恤’의 관점에서-
『맹자』「진심하」 24의 성-명 구분에 관한 고찰 : 주희의 두 해석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