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가르치는 교사라면『국사 교과서』의 교과내용을 어떻게 하면 학생들에게 잘 전달할 수 있을지 고민한다. 특히 현행 7차『고등학교 국사』교과서는 처음으로 분류사체제로 편제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150604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2010
학위논문(석사)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역사교육전공) , 2010년 8월
2010
한국어
374.9 판사항(성신학위논문분류표)
서울
v, 44장; 26 cm.
지도교수: 오종록
권말에 참고문헌 및 영문초록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역사를 가르치는 교사라면『국사 교과서』의 교과내용을 어떻게 하면 학생들에게 잘 전달할 수 있을지 고민한다. 특히 현행 7차『고등학교 국사』교과서는 처음으로 분류사체제로 편제되...
역사를 가르치는 교사라면『국사 교과서』의 교과내용을 어떻게 하면 학생들에게 잘 전달할 수 있을지 고민한다. 특히 현행 7차『고등학교 국사』교과서는 처음으로 분류사체제로 편제되었는데 아직까지 이것을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방법이 많이 갖춰져 있지 않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조선 전기 경제를 중심으로 학생들에게 보다 쉽고 재미있게 경제사 교육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현행 7차『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경제사 단원 중 조선 전기 경제를 다룬 ‘근세의 경제’단원을 중심으로 서술체제와 내용을 분석하였다. 7차 교과서는 분류사체제의 특징을 살려 조선 전기 경제를 ‘경제 정책’과 ‘경제 활동’으로 나눠서 구성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경제 정책과 경제 제도를 앞세워 서술하는 등 정치사 중심의 관점에서 서술한 6차 교과서의 서술체제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한편 제도를 중심으로 경제사를 살펴보던 이전의 체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경제 활동’측면을 보강하려 하였다. 그러나 단원 제목들 간의 일관성 문제, 제목과 내용의 일치성에 문제가 있었다. 민(民)들의 경제 활동을 내용요소로 하여 조선 전기 경제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나 실제 서술내용은 경제 생활내용을 제대로 서술하고 있지 않았다.
또한 조선 전기 경제가 왜 근세의 경제인지 근세의 경제가 어떤 모습인지 근거를 제시하지 않은 채 조선 전기 경제의 상황만을 서술하고 있는 것도 문제다. 농업생산력이 어떤 수준이었는지 그 발전에 대한 내용이 명확하게 서술되어야 한다. 생산력수준의 파악은 당시의 정치 ․ 사회 ․ 문화와 긴밀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명확히 해줄 필요가 있다.
현행 교과서에서 경제정책, 토지제도, 조세제도, 농업 및 농업경영형태, 상업과 수공업 등 많은 내용을 경제사의 범주로 다루고 있다.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조선 전기 경제를 보다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조선 전기 경제의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교과내용을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한국사 개설서와 입문서를 참고하여 1)농업생산력의 발달, 2)장시의 출현과 발달, 3)지주-전호 관계의 발달을 15~16세기의 주요 경제적 특징으로 잡았다.
15세기 조선의 농업생산력 수준은 논농사에서 연작상경수준에 도달했으며 밭농사에 있어서도 조, 보리, 콩의 2년 3작이 널리 행해졌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16세기 면화재배의 확산은 의생활의 변화를 가져왔을 뿐 아니라 농업생산량의 증가를 의미하기도 한다. 특히 시간이 지나 16세기에 이르면 면화재배지역과 벼 재배 지역의 뚜렷한 분화로 농업분야에서도 교역의 필요성이 나타날 만큼 농업생산력이 증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선사회는 15세기 후반 장시의 등장으로 조금씩 자연경제체제가 변화하기 시작했다. 15세기 후반 장시의 등장은 장시가 어디서 시작하였으며 또 어떤 기반 위에서 15세기 후반에 장시가 등장하게 되었는지 15세기~16세기 조선 경제변화모습과의 관련 속에서 살펴보았다. 장시의 등장을 주제로 조선 전기 경제를 설명한다면 당시 상업에 대한 경제정책의 변화와 이로 인해 나타났던 사회 ․ 경제적 변화들을 유기적 ․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또한 이 시기 장시의 등장이 갖는 의미를 조선경제의 발전적인 측면 속에서 이해할 수 있다.
‘지주-전호 관계의 발달’부분에서는 자연재해, 고리대, 수취제도의 폐단에 의해 소작농으로 전락했다는 교과서상의 단편적인 서술을 보완하기 위해 양인 농민이 전호화 되는 과정과 함께 이 시기 지주-전호 발달의 의미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이 시기 병작제의 발달은 이전의 지주-전호의 관계 보다 발전된 농업경영형태로 근대로 나아가는 발전과정 속에서 행해진 현상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장시의 출현과 발달’을 대표로 하여 실제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작하여 분류사체제로서 경제사를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적 모델을 제시했다. 한편으로 이러한 설명 방법은 다른 분류사에도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즉, 교사가 각 분야마다 해당 시대의 주요 특징들을 주제로 선정하여 재구성 한다면 굳이 많은 내용을 제시하지 않더라도 그 분야의 시대상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그렇다면 학생들은 경제사를 비롯한 각 분야사를 보다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 study on the economic education of the early Chosun Dynasty -Focusing on the 7thedition of Korean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Won, Ji-hye Dept...
Abstract
A study on the economic education of the early Chosun Dynasty
-Focusing on the 7thedition of Korean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Won, Ji-hye
Dept. of Histor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gshin women's Uiversity
A teacher who teaches history seems to be immensely worried about how to deliver the content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 satisfactorily to their students. Current 7th edition of Korean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was organized into a different categories or a structure of classifier for the first time. However, there are not many effective ways to deliver the text for the learners yet. In this respect, I laid out a scheme to teach economic history more easily and interestingly to the students based on the early stage of Chosun’s economy.
In this study, first I analyzed descriptive structure and contents based on the unit "Economy in the modern times" dealt with the early stages of Chosun’s economy among the economic history units in the current 7th edition text "Korean High school National history". And it organized economy in the early stage of Chosun dividing into "Economic policy" and "economic activity" characterizing structure of the classifier in 7th edition text. In the view of the setting still economic policy and system at the head, in spite of this effort, it's not far different from 6th edition text descriptive structure focusing on political history.
Meanwhile, it, the 7th edition text, tried to reinforce the side of economic activity to complement the former system examining economic history centering on institution;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like inconsistency of each units' theme, and incongruity between the theme and the contents. Moreover, it was intended to consider economy in the early stage of Chosun on the basis of the elements of the content like the people's economic activities, but the real description wasn't as it was intended to.
Besides, it describes merely conditions of the early stage of Chosun’s economy, not indicating any grounds; For instance, why the early stage of Chosun’s economy is called "Modern economy", or what the economy in modern time was like. It should have described precisely the contents regarding development like which levels of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reached. This part need to be clearer, above all, owing to intimate relation with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in that period.
Lots of details are dealt with in this text like economic policy, land system, tax system, agriculture, agricultural business form, merchandise, and handiworks. And all of these are treated in the economic history. We could do with reconstructing its contents concentrated on the main theme of the economy in that time to teach students in high school easily and understandably. Accordingly, I suggested the important economical features referring to the representative introductions 1)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2)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he market called "jangsi(場市)", 3) The development of the relation between landowner and peasant.
The levels of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Chosun didn't only reach from rice farming to repeated cultivation, but also to cropping 3 times 2 years in millet, barley, and bean farm prevalent in 15th century. In addition, spreading of the cotton growing brought the change in clothing, meaning the increase of the productivity inagriculture. In particular, the apparent division between the cotton growing area and the rice cropping area were appeared as time passed and came to the 16th century. This leaded the necessity of the trade and all this fact shows that there were increases in agricultural productivity.
Chosun society started to change its natural economic system little by little as the market "jangsi(場市)" introduced in the late 15th century. I inspected the market "jangsi(場市)" in the late 15th century concerning where it was started from and which circumstances it was based on associated with the phase of the economic changes in Chosun during the 15th and 16th century. I expect that I can examine the change of the economic policy around commerce at that period and, owing to this, the social and economic changes appearing, explain the early stage of Chosun’s economy with the emergence of the market "jangsi(場市)"-themed. Not only that, we can figure out the meaning of the emergence of the market "jangsi(場市)" at that period in progressive aspects of Chosun economy.
I provided the meaning of the development between landowner and peasant to make up for the fragmentary information in the text enumerating that ordinary farmer fell so low as to become a peasant under the evils of the natural disaster, usury, receipt system. As a result, I could ascertain that the development of the sharing a peasant crop equally with the landlord at that time was the phenomenon in the process of the modernization. And this is the developed management form in agriculture than previous one.
In conclusion, I made the real professor - course of study case representing emergence of the market "jangsi(場市)" in the late 15th century and proposed the method model which can explain the economic history as classifier structure. On the other hand, I assume that this kind of explanation can be possible to apply to other classifiers. That is, we can see overall phases of the times without showing lots of materials, if the teachers choose the theme about the main features of the relevant age in each division and reconstruct them. Then, finally, I expect students to learn each classifiers including economic history more easily and more satisfactoril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