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dentifies the composition and form, as well as the author, the year of writing, and the background to the compilation of Eumsikbo (飮食普). It also re-analyzes and considers the content, such as food names and recipes, by reading and in...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739599
박채린 (한국식품연구원부설 세계김치연구소)
2023
Korean
Eumsikbo ; ancient cookbook ; Pungsan Hong family ; head of family ; Jeolla-do food ; 음식보 ; 고조리서 ; 풍산홍씨 ; 종가 ; 전라도 음식
KCI등재
학술저널
239-284(4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s the composition and form, as well as the author, the year of writing, and the background to the compilation of Eumsikbo (飮食普). It also re-analyzes and considers the content, such as food names and recipes, by reading and in...
This study identifies the composition and form, as well as the author, the year of writing, and the background to the compilation of Eumsikbo (飮食普). It also re-analyzes and considers the content, such as food names and recipes, by reading and interpreting the original text. As a result, the main author of Eumsikbo, and the exact number of item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od included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e historical value of Eumsikbo was proved by revealing that Eumsikbo recorded ingredients and languages (dialects) derived from the locality of Honam, as well as unique recipes and food folk customs resulting from cultural differences.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영인본 제작 과정에서의 오기, 누락 등 변형으로 정확한 내용 파악이 불가능했던 「음식보」의 원본 판독과 해석을 통해 「음식보」의 필자와 집필 연대 및 편찬 배경은 물론 구성과...
본고는 영인본 제작 과정에서의 오기, 누락 등 변형으로 정확한 내용 파악이 불가능했던 「음식보」의 원본 판독과 해석을 통해 「음식보」의 필자와 집필 연대 및 편찬 배경은 물론 구성과 형태를 온전히 규명하고, 음식명과 조리법 등 내용을 재분석, 고찰한 연구이다. 그 결과 「음식보」의 주저자는 전남 나주를 세거지로 하는 풍산홍씨 창애공파 석애문중 홍수원의 부인인 숙부인 진원오씨(1698~1770)이며, 총 38개의 음식항목 중 6개 항목을 며느리인 진주정씨가 가필함으로써 2대에 걸쳐 완성한 조리서임을 규명했다. 또한 「음식보」에 수록된 음식과 조리법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방언 및 다른 조리서의 용어 및 조리법 비교분석 등을 통해 「음식보」에 호남이라는 지역성에서 비롯된 식재료, 언어(방언)는 물론, 문화적 차이에서 기인한 특이한 조리법 및 음식민속관행이 기록되어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음식보」가 지닌 음식사적 가치를 입증했다. 「음식보」의 서지정보 및 정확한 내용과 가치가 분명하게 밝혀진 만큼 이를 통해 호남지역 전통음식 연구는 물론 다른 고조리서와 다른 지역 음식 및 음식문화 연구에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춘동, "호남(湖南)의 한글 조리서, 『음식보(飮食譜)』의 보론(補論)" 한국어문학연구소 (40) : 203-219, 2022
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원형백과 조선시대 식문화"
4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원형 용어사전"
5 "한국전통지식포털"
6 장지현, "한국전래 유지류사 연구" 수학사 1995
7 한복진, "한국음식에서 참깨와 참기름의 전통적 이용"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5 (15): 2005
8 "한국연구재단 토대연구DB 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용어 색인 DB"
9 이성우, "한국식경대전" 향문사 1981
10 이성우, "한국고식문헌집성" 수학사 1992
1 유춘동, "호남(湖南)의 한글 조리서, 『음식보(飮食譜)』의 보론(補論)" 한국어문학연구소 (40) : 203-219, 2022
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원형백과 조선시대 식문화"
4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원형 용어사전"
5 "한국전통지식포털"
6 장지현, "한국전래 유지류사 연구" 수학사 1995
7 한복진, "한국음식에서 참깨와 참기름의 전통적 이용"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5 (15): 2005
8 "한국연구재단 토대연구DB 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용어 색인 DB"
9 이성우, "한국식경대전" 향문사 1981
10 이성우, "한국고식문헌집성" 수학사 1992
11 백두현 ; 이미향, "필사본 한글 음식조리서에 나타난 오기(誤記)의 유형과 발생 원인" 한국어문학회 (107) : 25-63, 2010
12 박채린, "조선 前期 조리서의 김치 명칭 借字 표기 연구 -土邑과 毛隱止 및 捫之沈菜 사례-" 한국고전번역원 61 : 199-238, 2022
13 이동석, "전주역사박물관 소장 ‘한글 음식방문’에 대하여" 민족문화연구원 (57) : 615-656, 2012
14 백두현, "음식디미방 주해" 글누림 2006
15 한복려, "음식 고전 : 옛 책에서 한국 음식의 뿌리를 찾다" 현암사 2017
16 차경희, "노가재공댁「Jusikbangmun (주식방문)」과 이본(異本)의 내용 비교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 31 (31): 269-285, 2016
17 권수용, "남평 도래풍산홍씨 석애문중" 한국학호남진흥원 2020
18 박채린, "김치의 기원과 제조변천과정에 대한 종합적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34 (34): 93-111, 2019
19 농촌진흥청, "규곤요람・음식방문・주방문・술빚는법・감저경장설・월여농가" 진한엠앤비 2014
20 "국립생물자원관"
21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22 "豊山洪氏大同譜"
23 金元行, "渼湖集"
24 "南溪先生朴文純公文外集"
25 김귀영, "『음식보』의 조리에 관한 분석적 고찰" 3 (3): 135-142, 1988
26 한복려 ; 김귀영, "18세기 고문헌「잡지」에 기록된 조리에 관한 문헌적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7 (27): 304-315, 2012
27 권수용, "(남평 풍산홍씨 석애문중의 세장진필로 본)과거급제와 가문의위상 확립" 한국학호남진흥원 2022
조선 영조 연간 이조낭선(吏曹郞選) 개혁과 홍문관 인사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