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종교와 사회적 자본 = 한국 개신교회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425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 개신교의 사회적 자본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한국 개신교의 사회적 자본이 시민사회에 어떻게 기여 할 수 있는지 논의한다. 기윤실의 자료와 여타의 자료를...

      이 연구는 한국 개신교의 사회적 자본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한국 개신교의 사회적 자본이 시민사회에 어떻게 기여 할 수 있는지 논의한다. 기윤실의 자료와 여타의 자료를 분석해 보면 한국 개신교의 사회적 자본은 주로 개신교 안에서 창출되며 개신교 안으로 재투자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 한국 개신교의 사회적 자본은 사적인 관계성 속에서 얻게 되는 신뢰와 개신교인 자신들만을 위한 제한된 호혜성의 규범 그리고 교회 안으로 닫힌 네트워크를 통해 창출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자본은 당연히 개신교 공동체 안의 사람들에게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이익을 준다. 그러나 사회 전체적으로는 그렇지 않다. 그러므로 시민사회에 기여하기 위해서 한국 개신교회는 공적 신뢰를 회복하고, 타집단에 관용적인 태도를 갖고, 공공영역에서 신뢰 있는 행동을 하도록 하는 제도를 세우고, 그리고 다른 집단과의 연계를 만드는 약한 유대의 네트워크를 만들어야한다. 그리고 이전의 결속형 사회적 자본뿐만 아니라 연계형 사회적 자본을 창출하여 균형을 갖는 것 또한 중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ttempts to characterize the social capital of Korean Protestant Church and to explore how it can contribute to Korean civil society. Mainly analyzing the data from the social survey of Christian Ethics Movement of Korea(기윤실), I arg...

      This article attempts to characterize the social capital of Korean Protestant Church and to explore how it can contribute to Korean civil society. Mainly analyzing the data from the social survey of Christian Ethics Movement of Korea(기윤실), I argue that Korea Protestant churches have created social capital and have reinvested it into their own congregations only. Specifically, the social capital of Korean Protestant church is produced by the trust in private relationships, the norm of limited reciprocity, the network closed into church. This social capital may effectively and efficiently give some benefits to their own congregations but not to Korean civil society. Thus, in order to contribute to Korean civil society, the Protestant church in Korea must achieve public trust, develop the attitude to the others from exclusivity into tolerance, establish some institutional safeguards, and build weak ties to bridge other particular groups in Korean society. Also it is necessary to have the balance between bo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는 말
      • 2. 사회적 자본이란?
      • 3. 종교와 사회적 자본 그리고 시민사회
      • 4. 한국 개신교와 사회적 자본
      • 5. 한국 개신교의 새로운 사회적 자본 창출의 필요성과 가능성
      • 1. 들어가는 말
      • 2. 사회적 자본이란?
      • 3. 종교와 사회적 자본 그리고 시민사회
      • 4. 한국 개신교와 사회적 자본
      • 5. 한국 개신교의 새로운 사회적 자본 창출의 필요성과 가능성
      • 6. 나오는 말
      • 도움 받은 글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