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부문 성과관리 현장실무교육을 위한 10가지 쟁점: 실무 성과관리 교육내용 구성을 위한 제언 = 10 Debating Points in Performance Management On the Job Trai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167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존의 현장에서의 공공부문 성과관리 실무교육이 새로운 제도에 대한 소개위주로 이루어져 왔고 이러한 새로운 제도들은 기존의 제도들의 문제점을 부각시키고 새로운 제도의 차별성을 강조하는데 치중한 나머지 공공부문 성과관리의 본질을 이해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것은 결국 어떤 제도가 새롭게 도입되어도 성과관리제도 적용의 실패라는 반복적인 실수로 이어지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의 성과관리 교육 및 훈련이 제도의 소개차원이 아닌 비판적 토론과 논쟁을 유도할 수 있는 쟁점을 제공하여 공무원들이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에 따라 성과관리 이론 및 실무적 관점에서 현장에서 교육되어져야 할 내용을 10가지 쟁점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쟁점별로 구성원들이 토론과 논쟁을 통하여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10가지 쟁점들은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이 목적 이라기보다는 다양한 시각과 가치판단의 영역을 제시하기 위함이며 향후 성과관리 교육의 내용이 보다 내실 있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아무리 새로운 성과관리제도가 도입되어도 현장에서 공무원들이 성과관리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면 어느 제도도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기존의 현장에서의 공공부문 성과관리 실무교육이 새로운 제도에 대한 소개위주로 이루어져 왔고 이러한 새로운 제도들은 기존의 제도들의 문제점을 부각시키고 새로운 제도의 ...

      본 연구는 기존의 현장에서의 공공부문 성과관리 실무교육이 새로운 제도에 대한 소개위주로 이루어져 왔고 이러한 새로운 제도들은 기존의 제도들의 문제점을 부각시키고 새로운 제도의 차별성을 강조하는데 치중한 나머지 공공부문 성과관리의 본질을 이해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것은 결국 어떤 제도가 새롭게 도입되어도 성과관리제도 적용의 실패라는 반복적인 실수로 이어지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의 성과관리 교육 및 훈련이 제도의 소개차원이 아닌 비판적 토론과 논쟁을 유도할 수 있는 쟁점을 제공하여 공무원들이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에 따라 성과관리 이론 및 실무적 관점에서 현장에서 교육되어져야 할 내용을 10가지 쟁점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쟁점별로 구성원들이 토론과 논쟁을 통하여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10가지 쟁점들은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이 목적 이라기보다는 다양한 시각과 가치판단의 영역을 제시하기 위함이며 향후 성과관리 교육의 내용이 보다 내실 있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아무리 새로운 성과관리제도가 도입되어도 현장에서 공무원들이 성과관리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면 어느 제도도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rgues that traditional 'On the Job Training(OJT)' for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has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innate nature of public performance management, while mainly focusing on introducing new techniques and differentiating new ones from existing ones. This neglection leads us to commit repetitive errors in practice and misunderstandings about the nature of public performance regardless of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iques. This study emphasizes that on the job training for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should be able to foster critical thinking and debates over important issues to overcom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From such a point of view, 10 important debating points for training and education are suggested to balance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in public performance management. Finally, this study maintains that the necessary first step for successful performance management is public employees' correct understanding on the nature of public performance management rather than on a new technique itself.
      번역하기

      This study argues that traditional 'On the Job Training(OJT)' for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has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innate nature of public performance management, while mainly focusing on introducing new techniques and diff...

      This study argues that traditional 'On the Job Training(OJT)' for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has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innate nature of public performance management, while mainly focusing on introducing new techniques and differentiating new ones from existing ones. This neglection leads us to commit repetitive errors in practice and misunderstandings about the nature of public performance regardless of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iques. This study emphasizes that on the job training for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should be able to foster critical thinking and debates over important issues to overcom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From such a point of view, 10 important debating points for training and education are suggested to balance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in public performance management. Finally, this study maintains that the necessary first step for successful performance management is public employees' correct understanding on the nature of public performance management rather than on a new technique itself.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라휘문, "행정서비스헌장 고객평가모형의 설계와 적용" 505-524, 2001

      2 강황선, "지방자치단체의 정책학습 촉진을 위한 성과평가제도" 199-226, 2006

      3 강황선, "조직성과측정 제도의 개선방안: 조직내 위기수용의식의 관점에서" 한국조직학회 1 (1): 47-74, 2004

      4 이석환, "조직성과지표를 중심으로 한 의사소통 장애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성과관리시스템 운영 및 집행과정에서의 함의" 한국지방자치학회 23 (23): 97-124, 2011

      5 주효진, "조직구조, 조직문화 및 조직 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업무특성별 기관분류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2 (42): 29-53, 2004

      6 김철회, "정부부처에 대한 BSC 적용사례와 시사점: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16 (16): 69-88, 2006

      7 이석환, "성과평가제도의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평가체계요인과 내부동기요인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0 (20): 269-291, 2010

      8 박순애, "성과지향적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 한국행정학회 40 (40): 225-252, 2006

      9 박중훈, "성과관리제도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개선방향" 212 : 9-17, 2005

      10 공동성, "범부처 성과관리와 정부업무평가의 효율적 연계를 위한 개선방안" 63-79, 2007

      1 라휘문, "행정서비스헌장 고객평가모형의 설계와 적용" 505-524, 2001

      2 강황선, "지방자치단체의 정책학습 촉진을 위한 성과평가제도" 199-226, 2006

      3 강황선, "조직성과측정 제도의 개선방안: 조직내 위기수용의식의 관점에서" 한국조직학회 1 (1): 47-74, 2004

      4 이석환, "조직성과지표를 중심으로 한 의사소통 장애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성과관리시스템 운영 및 집행과정에서의 함의" 한국지방자치학회 23 (23): 97-124, 2011

      5 주효진, "조직구조, 조직문화 및 조직 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업무특성별 기관분류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2 (42): 29-53, 2004

      6 김철회, "정부부처에 대한 BSC 적용사례와 시사점: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16 (16): 69-88, 2006

      7 이석환, "성과평가제도의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평가체계요인과 내부동기요인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0 (20): 269-291, 2010

      8 박순애, "성과지향적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 한국행정학회 40 (40): 225-252, 2006

      9 박중훈, "성과관리제도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개선방향" 212 : 9-17, 2005

      10 공동성, "범부처 성과관리와 정부업무평가의 효율적 연계를 위한 개선방안" 63-79, 2007

      11 강황선, "다차원지표개발을 통한 공공서비스의 품질측정" 141-156, 2004

      12 남창우, "공공부문의 BSC수용성 및 조직성과의 영향요인 분석: 조직구성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2 (42): 165-190, 2008

      13 조병덕, "공공부문과 대학조직의 성과관리제도 운영에 관한 연구: Group-Grid 모형을 통한 문화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2011

      14 강영철, "공공부문 성과지표의 규범적 지향에 관한 연구: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3 (13): 121-141, 2009

      15 이석환, "공공부문 BSC의 성공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조달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2 (42): 253-272, 2008

      16 이석환, "공공부문 BSC(Balanced ScoreCard) 적용사례 분석: 부천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0 (40): 127-149, 2006

      17 Austin, J. T., "Work motivation and goal striving. In: Individual differences and behavior in organizations" San Francisco: Jossey-Bass 209-257, 1996

      18 Behn,R.D, "Why measure performance? Different purposes require different measures" 63 (63): 586-606, 2003

      19 Drucker,P, "What results should you expect?: A user's guide to MBO" 36 (36): 12-19, 1976

      20 Lee,S-H, "Understanding productivity improvement in a turbulent environment: A symposium introduction" 23 : 423-427, 2000

      21 이석환, "UOFO: 신뢰받는 정부와 기업을 위한 전략적 성과관리" 경기: 법문사 2008

      22 Cohen, S., "Total quality management in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4 (14): 99-114, 1990

      23 Behn,R.D, "The psychological barriers to performance management: Or why isn't everyone jumping on the performance-management bandwagon" 26 (26): 5-25, 2002

      24 Hyde,A.C, "The proverbs of total quality management: Recharting the path to quality improvement in the public sector" 16 (16): 25-37, 1992

      25 Drucker,P, "The practice of management" NY: Harper and Brothers 1954

      26 Likierman,A, "The five traps of performance measurement" 87 (87): 96-101, 2009

      27 Kaplan R., "The balanced scorecard 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71-79, 1992

      28 Kondrasuk,J.N, "Studies in MBO effectiveness Studies in MBO effectiveness" 6 (6): 419-430, 1981

      29 Goh,T.N, "Six triumphs and six tragedies of six sigma" 22 (22): 299-305, 2010

      30 Hahn,G.J, "Six sigma: 20 key lessons learned: Experience shows what works and does not work" 21 (21): 225-233, 2005

      31 Brady, J. E., "Six sigma literature: A review and agenda for future research" 22 (22): 335-367, 2006

      32 Holzer, M., "Shared services and municipal consolidation: A critical analysis" Alexandria, VA: Public Technology Institute 2011

      33 Osborne, D., "Reinventing government" Reading, MA: Addison-Wesley 1992

      34 Kaplan R, "Putting the balanced scorecard to work" 134-142, 1993

      35 Holzer, M., "Public Productivity Handbook(2nd eds.)" NY: Marcel Dekker 2004

      36 Werther, W. B.., "Productivity though people" NY: West Publishing 1986

      37 Usilaner, B., "Productivity measurement. In: Productivity improvement handbook for state & local government" NY: John Wiley & Sons 91-114, 1980

      38 Buntz,C.G, "Problems and issues in human service productivity improvement" 5 : 299-320, 1981

      39 Holzer,M, "Preface. In: Public Productivity Handbook" NY: Marcel Dekker 3-4, 1992

      40 Hatry,H.P, "Performance measurement: Fashions and fallacies" 25 (25): 352-358, 2002

      41 Modell,S, "Performance measurement myths in the Public sector: A research note" 20 (20): 39-55, 2004

      42 Garnett, J. L., "Penetrating the performance predicament: Communication as a mediator or moderator of organizational culture’s impact on public organizational performance" 68 (68): 266-281, 2008

      43 Nair,M, "Overcoming the 9 deadly sins of balanced scorecards" 83-90, 2009

      44 Nair,M, "Overcoming the 9 deadly sins of balanced scorecards" 83-90, 2009

      45 Islam, "Objective and subjective indicators of happiness in Brazil: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class" 149 (149): 267-232, 2009

      46 Callahan, C., "Moving toward outcome-oriented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Washington, DC: IBM Center for the Business of Government 2009

      47 Hatry, H., "Measuring productivity in the public sector. In: Public Productivity Handbook" NY: Marcel Dekker 139-160, 1994

      48 Greenwood,R G, "Management by objectives: As developed by Peter Drucker, Assisted by Harold Smiddy" 6 (6): 225-230, 1981

      49 Halachmi, A., "Introduction: toward strategic perspectives on public productivity. In: Strategic issues in public sector productivity: The best of public productivity review 1975-1985" San Francisco, CA: Jossey-Bass 5-16, 1986

      50 McGowan R.P, "Improving efficiency in public management: The torment of sisyphus" 8 : 162-178, 1984

      51 Hammer, M., "How process enterprises really work" 77 (77): 108-118, 1999

      52 Holzer, M., "Government at work: Best practices and model programs" Thousand Oaks, CA: Sage 1998

      53 Lan, Z., "Goals, rules, and effectiveness in public, private, and hybrid organizations: More evidence on frequent assertions about differences" 2 : 5-28, 1992

      54 Culbert,S.A, "Get rid of performance review: How companies can stop intimidating, start managing and focus on what really matters" NY: Business Plus 2010

      55 Sanger,M.B, "From measurement to management: Breaking through the barriers to state and local performance" 70-86, 2008

      56 Ammons, David N., "Factors influencing the use of performance data to improve municipal services: Evidence from the north carolina benchmarking project" 68 (68): 304-319, 2008

      57 Ho,A.T, "Exploring the roles of citizens in performance measurement" 30 (30): 1157-1178, 2007

      58 Feather,N.T, "Expectancy-value theory and unemployment effects" 65 : 315-330, 1992

      59 Carr, D. K., "Excellence in Government: Total Quality Management in the 1990s" Arlington, VA: Coopers & Lybrand 1990

      60 Wilson, L., "Evaluating TQM: The case for a theory driven approach" 54 (54): 137-146, 1994

      61 Lee, S-H, "Employee commitment and firefighters: It's my job" 62 (62): 108-114, 2002

      62 Hatry, H., "Eleven ways to make performance measurement more useful to public managers" 76 (76): S-15, 1994

      63 White, O., "Deming’s total quality management movement and the baskin robbins problem: Part 2: Is this ice cream american" 27 : 307-321, 1995

      64 White, O., "Deming’s total quality management movement and the baskin robbins problem: Part 1: Is it time to go back to vanilla" 27 : 203-225, 1995

      65 Garnett,J.L, "Communicating for results in government: A strategic approach for public managers" San Francisco: Jossey-Bass 1992

      66 Halachmi, A., "Citizen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measurement: Operationalizing democracy through better accountability" 34 (34): 378-399, 2010

      67 Drucker,P, "Business objectives and survival needs: Notes on a discipline of business enterprises" 31 (31): 81-90, 1958

      68 Wilson,J.Q, "Bureaucracy" NY: Basic Books 1989

      69 Locke, E. A., "Building a practically useful theory of goal setting and task motivation: A 35-year odyssey" 57 : 705-717, 2002

      70 Feather,N.T, "Bridging the gap between values and actions: Recent applications of the expectancy-value model. In: Handbook of motivation and cognition: Foundations of social behavior, vol. 2" NY: Guilford Press 151-192, 1990

      71 Williams, F., III, "Barriers to effective performance review: The seduction of raw data" 54 : 537-542, 1994

      72 Swiss,S, "Adapting Total Quality Management(TQM) to government" 52 (52): 356-362, 1992

      73 Rago,W.V, "Adapting Total Quality Management to government: Another point of view" 54 (54): 61-64, 1994

      74 SEOK-HWANLEE, "AN EXAMINATION OF VARIATIONS IN THE NATUREOF EMPLOYEE COMMITMENT:THE CASE OF PAID AND VOLUNTEER FIREFIGHTERS" 한국행정학회 7 (7): 29-38, 2002

      75 Locke, E. A., "A theory of goal setting and task performa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90

      76 Naylor, J. C., "A theory of behavior in organizations" NY: Academic Press 19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6 2.06 2.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1 2.29 2.564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