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고쳐 쓴 식민 기억과 잊혀진 텍스트, 냉전의 두 가지 징후: 이태준의 「해방전후」 개작 연구 = Redacted Colonial Memory and Forgotten Text, Two Symptoms of the Cold War: A Study of Revision in Yi T’aejun’s “Before and After Lib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653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ile Yi T’aejun’s “Before and After Liberation”(Munhak, 1946) is widely considered to be a valuable literary testimony of a writer’s colonial experience, reflective of the post-1945 Korean literary world as well as other sociopolitical situ...

      While Yi T’aejun’s “Before and After Liberation”(Munhak, 1946) is widely considered to be a valuable literary testimony of a writer’s colonial experience, reflective of the post-1945 Korean literary world as well as other sociopolitical situations, what is less known is that Yi made revisions to the text when he included it in his 1949 short story collection The First Combat. By analyzing both versions of this autobiographical stor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ways in which the memory of the colonial past―especially of collaboration, or ch’inil―was, or had to be, changed in 1949 North Korea, how the writer’s self-reflective voice disappeared from the narrative, and how a simplistic nationalist contrast between coercive Japanese versus resistant Koreans was foregrounded. The revised text sometimes conforms to assertive, ideological clichés of North Korean literature, at odds with the subtlety and uncertainty shown in the original text, and sometimes, reveals the writer’s anxiety of confessing his experience relating to collaboration. This paper makes a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Yi T’aejun’s post-1945 literature by introducing this 1949 revision of the text to academic discussion as well as by tracing a writer’s anxiety and difficulties in literary practice in the formative years of North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46년 조선문학가동맹 기관지 『문학』에 발표된 이태준의 「해방전후」는 식민 말기와 해방 직후의 한반도 정세, 작가의 식민 경험과 해방이후 문단 상황, (탈)식민 지식인의 내면에 대한 ...

      1946년 조선문학가동맹 기관지 『문학』에 발표된 이태준의 「해방전후」는 식민 말기와 해방 직후의 한반도 정세, 작가의 식민 경험과 해방이후 문단 상황, (탈)식민 지식인의 내면에 대한 문학적 증언으로서 그 문학사적 가치를 인정받아왔다. 그러나 이 작품이 1949년 평양 문화전선사에서 간행된 이태준의 작품집 『첫 전투』에 재수록될 때, 개작되어 실렸다는 사실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논문은 「해방전후」의 1949년 개작이 초기 북한의 문화정책과 월북 이후 이태준의 내면을 읽어내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는 판단 하에, 「해방전후」의 1946년과 1949년 두판본을 비교 분석한다. 이 논문은 특히 1949년 판본에 드러나는 식민 기억의 변화에 주목하여, 식민지 시기와 해방의 순간이 기억되는 방식, 작가 자신의 시국협력 행위와 식민지 시기 문학세계에 대한 평가 등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고찰한다. 이를 통해 「해방전후」에 특징적이었던 작가의 반성적 목소리는 약화되며, 일제의 억압과 저항하는 작가라는 단순한 민족주의적 대립구도가 강화되는 양상을 살펴볼 것이다. 이런 일련의 변화들은, 때로 「해방전후」의 서사가 보여주었던 섬세하고 성찰적인 내면 표현과 상반되는 북한문학의 이념적 도식성을 그대로 답습하며, 때로 작가가 고치지 않은 부분과 긴장감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 1949년 텍스트에 드러나는 균열과 불안을 세밀히 읽어냄으로써, 이 연구는 「해방전후」 1949년 판본의 최초 연구로서의 자료적 가치를 제공하고, 이태준의 월북 이후의 내면과 문학 창작에서의 고민을 추적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흥식, "「해방전후」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38) : 215-239, 2012

      2 김준현, "해방이라는 한국문학연구의 ‘경계’와 이태준 해방 이후 이태준과 그의 작품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상허학회 42 : 123-148, 2014

      3 남북한문학예술연구회, "해방기 북한문학예술의 형성과 전개" 역락 2012

      4 오태영, "해방과 기억의 정치학 -해방기 기억 서사 연구-" 한국문학연구소 (39) : 171-198, 2010

      5 김윤식, "해방공간의 문학사론" 서울대 출판부 1989

      6 김재웅, "해방 후 북한의 친일파와 일제유산 척결" 한국근현대사학회 (66) : 182-222, 2013

      7 전현수, "해방 직후 북한의 과거청산(1945~1948)" 대구사학회 69 : 33-60, 2002

      8 김준현, "해방 이후 문학 장의 재편과 이태준 -「해방전후」와 「먼지」를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64) : 217-240, 2011

      9 남원진, "한설야의 문제작 「혈로」의 개작 양상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36) : 419-457, 2012

      10 이경재, "한설야 단편소설의 개작 양상 연구 -외국인 표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28) : 159-185, 2009

      1 김흥식, "「해방전후」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38) : 215-239, 2012

      2 김준현, "해방이라는 한국문학연구의 ‘경계’와 이태준 해방 이후 이태준과 그의 작품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상허학회 42 : 123-148, 2014

      3 남북한문학예술연구회, "해방기 북한문학예술의 형성과 전개" 역락 2012

      4 오태영, "해방과 기억의 정치학 -해방기 기억 서사 연구-" 한국문학연구소 (39) : 171-198, 2010

      5 김윤식, "해방공간의 문학사론" 서울대 출판부 1989

      6 김재웅, "해방 후 북한의 친일파와 일제유산 척결" 한국근현대사학회 (66) : 182-222, 2013

      7 전현수, "해방 직후 북한의 과거청산(1945~1948)" 대구사학회 69 : 33-60, 2002

      8 김준현, "해방 이후 문학 장의 재편과 이태준 -「해방전후」와 「먼지」를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64) : 217-240, 2011

      9 남원진, "한설야의 문제작 「혈로」의 개작 양상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36) : 419-457, 2012

      10 이경재, "한설야 단편소설의 개작 양상 연구 -외국인 표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28) : 159-185, 2009

      11 리태준, "첫 전투" 문화전선사 1949

      12 김윤식, "임화연구" 문학사상사 1989

      13 이태준, "이태준전집 4-농토·첫 전투·먼지" 소명출판 2015

      14 이태준, "이태준문학전집 3-해방전후·고향길" 깊은샘 1995

      15 배개화, "이태준, 최대다수의 행복을 꿈꾼 민주주의자 - 해방 이후 이태준의 사상과 문학" 상허학회 43 : 207-244, 2015

      16 조용만, "이태준 회상기-차고 자존심 강한 소설가" 상허학회 1 : 1993

      17 문학과사상 연구회, "이태준 문학의 재인식" 소명출판 2004

      18 배개화, "이태준 : 해방기 중간파 문학자의 초상" 한국현대문학회 (32) : 473-513, 2010

      19 강헌국, "월북의 의미-이태준의 경우" 한국비평문학회 (18) : 7-30, 2004

      20 유임하, "월북 이후 이태준 문학과 '48년 질서'-<먼지>(1950)를 중심으로" 상허학회 39 : 13-42, 2013

      21 김재용, "분단구조와 북한문학" 소명출판 2000

      22 신형기, "북한문학사-항일혁명문학에서 주체문학까지" 평민사 2000

      23 "문학"

      24 강유진, "망각과 왜곡의 글쓰기를 통한 자기합리화 과정 -이태준의 <사상의 월야>, <해방전후>를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33) : 229-252, 2011

      25 강진호, "동경과 좌절의 미학" 상허학회 1 : 1993

      26 신형기, "기고: 국민 쇄신 규율로서의 청산-해방 직후 북한에서의 과거 청산 과정을 보며" 생각의나무 2004

      27 Myers, Brian, "Han Sŏrya and North Korean Literature : The Failure of Socialist Realism in the DPRK" Cornell University 1994

      28 김흥식, "<사상의 월야>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35) : 195-221,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3-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anghur Hakbo-The Jou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Lear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KCI등재
      2020-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Lea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 Sanghur Hakbo: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4 1.14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1 2.23 0.9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