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목적은 민족역량, 민족공통성 등의 개념들을 스피노자의 개체론을 중심으로 스피노자 사유의 틀 속에서 살펴보는데 있다. 스피노자는 공동체(민족, 국가)를 개체로 간주한다. 개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81200
2012
Korean
001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57-78(22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민족역량, 민족공통성 등의 개념들을 스피노자의 개체론을 중심으로 스피노자 사유의 틀 속에서 살펴보는데 있다. 스피노자는 공동체(민족, 국가)를 개체로 간주한다. 개체...
이 글의 목적은 민족역량, 민족공통성 등의 개념들을 스피노자의 개체론을 중심으로 스피노자 사유의 틀 속에서 살펴보는데 있다. 스피노자는 공동체(민족, 국가)를 개체로 간주한다. 개체의 역량이 개체의 복잡성의 정도, 통합성의 정도, 운동과 정지의 최적 비율에 따라 차이가 나듯이, 민족의 역량도 그러한 척도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그리고 최초의 적합한 관념으로 스피노자가 제시하는 공통관념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서로 다른 개체가 만나 형성된 공통의 것에 대한 관념이다. 이 공통의 것은 이미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획득해야 할 것이며 인지되기에 앞서 느껴지는 것이다. 이러한 공통의 것이 갖는 특성들로부터 오랜 기간 이질적인 삶을 살아온 민족구성원들 사이의 신체적 만남과 서로가 서로를 변용시키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공통의 것을 기반으로 민족공통성을 확보하고 확대해 감으로써 진정한 민족통합을 이뤄낼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논자의 생각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lect the concept of National Power, National Commonality in Spinoza's philosophical horizont. Spinoza considered an community as the individual. The power of the individual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lect the concept of National Power, National Commonality in Spinoza's philosophical horizont. Spinoza considered an community as the individual. The power of the individual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lexity, the degree of integration and the optimal ratio of motion and rest. Similarly, the National Power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such standards. The concept of National Commonality was raised in the problem-consciousness in trying to increase the National Power and to integrate the South-North of Korea and Korean Diaspora. And the common notion as the first adequate notion is the notion of the common which two or more quite different individuals meet and form. This common thing is not the already existing thing, but has to be acquired. And we feel it before recognition. If the National Commonality is acquired through the meeting of members of ethnic group, I think that the true national integration is possibl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명규, "한국 내셔널 담론의 의미구조와 정치적 지향, In 한국문화"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8
2 박영균, "통일론에 대한 스피노자적 성찰, In 분단극복을 위한 인문학적 성찰" 2009
3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4 박영균,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민족공통성 연구방법론"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2 (22): 103-136, 2011
5 김성민, "인문학적 통일담론과 통일인문학: 통일패러다임에 관한 시론적 모색" 철학연구회 (92) : 143-172, 2011
6 네그리, "야만적 별종" 푸른숲 1997
7 최형익, "신학정치론 정치학논고" 비르투 2011
8 질 들뢰즈, "스피노자의 철학" 민음사 1999
9 질 들뢰즈, "스피노자와 표현의 문제" 인간사랑 2003
10 에티엔 발리바르, "스피노자와 정치" 이제이북스 2005
1 박명규, "한국 내셔널 담론의 의미구조와 정치적 지향, In 한국문화"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8
2 박영균, "통일론에 대한 스피노자적 성찰, In 분단극복을 위한 인문학적 성찰" 2009
3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4 박영균,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민족공통성 연구방법론"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2 (22): 103-136, 2011
5 김성민, "인문학적 통일담론과 통일인문학: 통일패러다임에 관한 시론적 모색" 철학연구회 (92) : 143-172, 2011
6 네그리, "야만적 별종" 푸른숲 1997
7 최형익, "신학정치론 정치학논고" 비르투 2011
8 질 들뢰즈, "스피노자의 철학" 민음사 1999
9 질 들뢰즈, "스피노자와 표현의 문제" 인간사랑 2003
10 에티엔 발리바르, "스피노자와 정치" 이제이북스 2005
11 김은주, "스피노자 철학에서 개인과 공동체" 그린비 2008
12 통일인문학 연구단, "분단극복을 위한 인문학적 성찰" 선인 2009
13 박찬승, "민족-민족주의" 소화 2010
14 이병수, "민족 공통성 개념에 대한 고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2 (22): 115-146, 2011
15 서동욱, "들뢰즈의 철학" 민음사 2002
16 서경식, "난민과 국민 사이" 돌베개 2006
17 Altwicker, Norbert, "Texte zur Geschichte des Spinozismus, Darmstadt" Wissenschaftlich Buchgesellschaft 1971
18 G. Deleuze, "Spinoza: Practical Philosophy" City Light Books 1988
19 Spinoza, "OPERA-WERKE: Tractatus de intellectus emendatione, In Konrad Blumenstock, Bd. II"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67
20 M. Joughin, "Expressionism in Philosophy: Spinoza" Zone Books 1990
21 Wolfgang Schmidt, "Erkenntisgewißheit und Deduktion" Hermann Luchterhand Verlag 1975
22 Moira Gatens, "Collective Imaginings: Spinoza past and present" Routledge 1999
23 Allison, H. E., "Benedict de Spinoza" Yale University 1987
24 Spinoza, "A Theologico-Political Treatise and A Political Treatise" Dover 1951
25 Hobsbaum, Eric John, "1780년 이후의 민족과 민족주의" 창작과비평사 200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2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3-2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89 | 1.222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