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통약자를 위한 특별교통수단 운영 및 실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Operation and Utilization Status of the Special Transport Systems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819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policy on the special transport systems based on the point in dispute and some political suggestions through the law's clauses, the current statistic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the utiliza...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policy on the special transport systems based on the point in dispute and some political suggestions through the law's clauses, the current statistic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the utilization status and satisfaction survey of the special transport systems in order to provide the mobility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The results show that it is needed to modify the method determining the number of the special vehicles and to determine the desirable user group's scope, the spatial service area and fare and to make the budget expansion of special vehicle's operation cost in the institutional view.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ount digital tachograph on every special vehicle for the effective operation and to integrate all special vehicles which have been operated in several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disabled. In the futu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help to provide the mobility right to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without any discrimination against the use of transportation modes by the special transport systems and the barrier free transport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특별교통수단(Special Transport Systems: STS)에 관한 법률적 조항과 현황조사, 그리고 사례도시에서 운영 중인 특별교통수단의 이용실태와 만족도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교통약자들...

      특별교통수단(Special Transport Systems: STS)에 관한 법률적 조항과 현황조사, 그리고 사례도시에서 운영 중인 특별교통수단의 이용실태와 만족도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교통약자들의 이동권 확보를 위한 바람직한 문제제기와 정책제언을 찾아보고 특별교통수단과 관련된 정책방향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등 교통약자에 관한 법률적 규정, 조례, 계획 검토와 전국 및 사례도시의 현황을 비교분석하고, 그리고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한 특별교통수단의 전국 및 사례도시의 운영현황 분석과 사례도시에서 운영 중인 특별교통수단의 이용실태와 만족도를 통하여 3가지 측면에서의 논의점을 찾아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3개 사례도시의 특별교통수단의 운영실태를 분석한 결과, 제도적 측면에서 특별교통수단의 법정대수 산정방법, 이용대상자 범위 조정, 운행권역 설정과 이용요금, 차량운행비의 예산확보 방안이 필요하고, 시설적 측면에서 특별교통수단에 디지털운행기록계를 장착하여 효율적 운행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운영적 측면에서 지자체내 모든 장애인 관련 이동편의차량에 대한 통합운영 마련, 특별교통수단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홍보매체 개발을 통한 홍보 전략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교통약자들의 이동편의를 위해 도입된 특별교통수단의 도입취지를 충분히 살려서 이동권 확보를 통한 차별 없이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권리와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교통약자의 사회적 참여를 위한 보편적 개념의 사회통합방안 마련에 본 연구결과가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지혜, "철도시설의 배리어프리 실태조사 및 분석"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17 (17): 43-51, 2011

      2 이규일, "지체장애인의 의료시설 접근을 위한 편의시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종합병원의 외래진료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3

      3 조홍중, "지체부자유인의 접근권에 대한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0 (50): 233-256, 2007

      4 이수용, "지역문화시설의 지체장애인 동선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11 (11): 73-82, 2005

      5 교육과학기술부, "제3차 편의증진 국가종합5개년 계획(‘10~’14년)" 2010

      6 대한민국 정부, "제3차 장애인 정책발전 5개년 계획(2008~2012)" 2008

      7 대한민국 정부,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11~2015)" 2011

      8 국토해양부, "제2차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2012~2016)" 2012

      9 대한민국 국회, "저출산·고령사회 기본법"

      10 유보현, "장애인지원정책의 사례를 통해 본 미국의 유니버설디자인"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259-267, 2009

      1 노지혜, "철도시설의 배리어프리 실태조사 및 분석"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17 (17): 43-51, 2011

      2 이규일, "지체장애인의 의료시설 접근을 위한 편의시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종합병원의 외래진료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3

      3 조홍중, "지체부자유인의 접근권에 대한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0 (50): 233-256, 2007

      4 이수용, "지역문화시설의 지체장애인 동선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11 (11): 73-82, 2005

      5 교육과학기술부, "제3차 편의증진 국가종합5개년 계획(‘10~’14년)" 2010

      6 대한민국 정부, "제3차 장애인 정책발전 5개년 계획(2008~2012)" 2008

      7 대한민국 정부,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11~2015)" 2011

      8 국토해양부, "제2차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2012~2016)" 2012

      9 대한민국 국회, "저출산·고령사회 기본법"

      10 유보현, "장애인지원정책의 사례를 통해 본 미국의 유니버설디자인"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259-267, 2009

      11 이진용, "장애인의 의료기관 접근성 조사 : 서울시 종로구 병의원을 대상으로" 한국보건행정학회 16 (16): 19-36, 2006

      12 두오균, "장애인의 생활안전 문제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6 (6): 206-222, 2010

      13 대한민국 국회, "장애인복지법"

      14 대한민국 국회, "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15 강병근,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생활관련 시설의 연계방향"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15 (15): 33-40, 2009

      16 김경혜, "장애인 노약자 통행 수요조사 및 정책연구" 시정개발연구원 2001

      17 조원탁, "장애인 공공시설 이용 접근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8 : 125-148, 1999

      18 신연식, "이동제약자를 위한 복지교통 대책" 16 (16): 108-122, 1999

      19 정지아, "의료시설의 접근을 위한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분석 : 서울시내 종합병원의 장애인 편의시설을 중심으로" 漢陽大學校 行政大學院 1999

      20 여수시, "여수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 조례"

      21 여수시, "여수시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 여수시 2009

      22 노지혜, "여객시설의 무장애화 계획 설계 방안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23 김원호, "시각장애인 대중교통 이용실태 분석 및 대중교통시설 내 보행지원 시스템 구축방안" 서울연구원 10 (10): 97-114, 2009

      24 순천시, "순천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 조례"

      25 김성숙, "소비자 관점에서 본 장애인의 생활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6 (6): 217-238, 2010

      26 대한민국 국회,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

      27 서영준, "보건소의 노인 및 장애인 친화적 시설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15 (15): 03-11, 2009

      28 목포시, "목포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 조례"

      29 김강희, "교통약자이동편의 증진 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10

      30 대한민국 국회,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31 황덕수, "교통약자를 위한 보행시간 산정 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1 : 111-117, 2007

      32 남두희, "교통약자 지원시스템을 위한 요구사항과 유즈케이스" 한국ITS학회 6 (6): 58-71, 2007

      33 김원호, "교통약자 유형별 이동행태분석 및 맞춤형 대중교통정보제공방안 연구*" 서울연구원 9 (9): 105-119, 2008

      34 河相範, "障碍人의 接近權에 관한 硏究 : 지하철의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崇實大學校 統一政策大學院 1998

      35 국토해양부, "2011년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2012

      36 국토해양부, "2009년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결과발표 보도자료"

      37 국토해양부, "2008년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최종보고서)"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