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신라 중대 이후 신라 왕실의 김유신에 대한 인식 변화와 그 推尊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김유신은 사후 문무왕과 함께 二聖의 하나로 聖臣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중대왕실은 무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02992
2015
Korean
김유신 ; 二聖 ; 聖臣 ; 미추왕 ; 흥무대왕 ; 흥덕왕 ; 경명왕 ; 가묘 ; 취선사 ; Kim Yooshin ; two saints ; sacred minister ; king Michoo ; great king Hongmoo ; King Heungdeok ; king Kyungmyung ; family tomb ; Chuiseon-sa
KCI등재
학술저널
423-451(29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신라 중대 이후 신라 왕실의 김유신에 대한 인식 변화와 그 推尊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김유신은 사후 문무왕과 함께 二聖의 하나로 聖臣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중대왕실은 무열...
본 논문은 신라 중대 이후 신라 왕실의 김유신에 대한 인식 변화와 그 推尊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김유신은 사후 문무왕과 함께 二聖의 하나로 聖臣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중대왕실은 무열계 중심으로 정치를 운영하면서 혁거세와 알영을 이성으로, 혜공왕대의 오묘에서는 태종대왕과 문무대왕을 ‘불훼지종’으로 모셨다. 이것은 김유신의 위상이 중대 초와는 달라졌음을 말하는 것으로, 김유신 후손에 대한 중대왕실의 대우와도 궤를 같이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김유신가는 새로운 길을 모색하였는데, 혜공왕 15년 김유신의 혼이 미추왕릉을 찾아간 것이 그것이었다. 미추왕은 혜공왕대의 오묘제 개정에서 시조대왕으로 모셔졌지만, 이와 관련해서 무열계와 내물계 사이에는 갈등이 있었다. 하지만 김유신의 혼이 미추왕을 찾아가 호소한 것을 계기로 그 갈등은 마무리되었다고 하였다. 이로 볼 때 김유신가는 중대 말 이후 내물계와 연합하여 신라 하대 그 위상을 유지하였는데, 김유신의 흥무대왕 추봉은 그것을 단적으로 말해주는 것이었다. 흥덕왕은 김유신가를 무열계 및 금관가야지역과 분리시켜 자신의 지지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일환으로 김유신을 흥무대왕으로 추봉하였다. 그리고 경명왕이 김유신을 흥무대왕으로 재추봉한 이유는 후삼국이라는 당시의 상황 속에서 금관가야지역에 대한 신라의 지배권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김유신은 대신에서 대왕으로 그 위상이 바뀌면서 김유신의 무덤을 비롯한 여러 시설물은 대왕급으로 변하였으며 김유신은 금관가야집단의 중시조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로써 김유신가는 수로왕묘와 구분되는 새로운 제사권을 형성하였고, 진천의 김유신사는 김유신가의 家廟라고 하였다. 그리고 김유신에 대한 제사는 취선사에서도 이루어졌는데, 김유신이 대왕으로 추봉된 이후에는 취선사가 진전사원 형태로 변하였다고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studying the change in awareness of Kim Yooshin and honoring him after Silla"s middle era. Kim Yooshin was deemed one of two saints with King Munmoo and a sacred minister after his death. But the royal family in Silla"s middle era consi...
This thesis is studying the change in awareness of Kim Yooshin and honoring him after Silla"s middle era. Kim Yooshin was deemed one of two saints with King Munmoo and a sacred minister after his death. But the royal family in Silla"s middle era considered Hyeokgeose and Alyoung as two saints for Mooyeol lineage centered politics and during King Hyegong period, great king Taejong and great king Munmoo were deemed "Bulhwejijong". This showed the status of Kim Yooshin was changed from early of Silla"s middle era and it has the same way in treating the descendants of Kim Yooshin.
Therefore the Kim Yooshin family seeked a new way and it was that the spirit of Kim Yooshin visited the tomb of king Michoo. King Michoo was deemed the first ancestor king in revised Omyo-je during King Hyegong period and there was conflict between Mooyeol lineage and Naemool lineage about this. But with Kim Yooshin"s spirit visiting king Michoo and appealing, the conflict was settled.
With this Kim Yooshin family united with Naemool lineage after later of Silla"s middle era and kept the status in Silla"s later era, which was directly shown in Kim Yooshin honored a great king Hongmoo. King Heungdeok honored Kim Yooshin great king Hongmoo as a part of establishing his basis away from Mooyeol lineage and Keumgwan gaya territory. And the reason king Kyungmyung again honered Kim Yooshin great king Hongmoo was to show Silla "s ruling over Keumgwangaya in the circumstances of three-kindoms period.
As Kim Yooshin"s status was changed from a minister to a great king, the tomb of Kim Yooshin and various facilities were changed to the great king"s class and Kim Yooshin was ranked a middle ancestor of Kuemgwangaya group. Kim Yooshin formed a new rite area seperated from king Sooro tomb, and thus Kim Yooshinsa in Jincheon was the family tomb of the Kim Yooshin family. The rite to Kim Yooshin was performed in Chuiseon-sa too and Chuiseon-sa was changed to Jinjeon temple after Kim Yooshin honor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호동, "金庾信의 追崇에 관한 연구" 신라사학회 (22) : 293-330, 2011
2 채미하, "한국 고대의 죽음과 喪・祭禮" 한국고대사학회 (65) : 35-75, 2012
3 "통전"
4 채미하, "천사옥대와 흑옥대" 24 : 2006
5 채미하, "조선시대 강릉의 성황사와 단오제" 29 : 2014
6 "신증동국여지승람"
7 김영하, "신라중대사회연구" 일지사 2007
8 이기백, "신라정치사회사연구" 일조각 1974
9 채미하, "신라의 오례와 왕권" 혜안 2015
10 김창겸, "신라시대 金庾信의 興武大王 追封과 ‘新金氏’" 신라사학회 (18) : 33-68, 2010
1 김호동, "金庾信의 追崇에 관한 연구" 신라사학회 (22) : 293-330, 2011
2 채미하, "한국 고대의 죽음과 喪・祭禮" 한국고대사학회 (65) : 35-75, 2012
3 "통전"
4 채미하, "천사옥대와 흑옥대" 24 : 2006
5 채미하, "조선시대 강릉의 성황사와 단오제" 29 : 2014
6 "신증동국여지승람"
7 김영하, "신라중대사회연구" 일지사 2007
8 이기백, "신라정치사회사연구" 일조각 1974
9 채미하, "신라의 오례와 왕권" 혜안 2015
10 김창겸, "신라시대 金庾信의 興武大王 追封과 ‘新金氏’" 신라사학회 (18) : 33-68, 2010
11 김상돈, "신라말 구가야권의 김해 호족세력" 82 : 1996
12 채미하, "신라국가제사와 왕권" 혜안 2008
13 이기동, "신라골품제사회와 화랑도" 일조각 1984
14 김수미, "신라 金庾信系의 정치적 위상과 추이" 호남사학회 (35) : 1-23, 2009
15 채미하, "신라 흥덕왕대의 정치와 儀禮" 신라문화연구소 42 : 291-314, 2013
16 윤경진, "신라 興德王代 체제 정비와 金庾信 追封 ― 三韓一統意識 출현의 일 배경 ―" 수선사학회 (52) : 105-142, 2015
17 "수서"
18 "삼국유사"
19 "삼국사절요"
20 "삼국사기"
21 "동사강목"
22 "동국통감"
23 "대동지지"
24 김태식, "김유신의 흥무대왕 추봉시기" 6 : 2006
25 조범환, "김유신의 가계와 후손들의 활동-‘가야계 출신이어서 가지는 한계’의 학설로부터 자유롭게 하기-" 11 : 2007
26 "고려사"
27 나희라, "고대 한국인의 생사관" 지식산업사 2008
28 박남수, "新羅 眞殿寺院의 조영과 그 思想的 背景" 신라문화연구소 40 (40): 49-74, 2012
29 이현태, "新羅 中代 新金氏의 登場과 그 背景" 한국고대사학회 (42) : 231-272, 2006
30 "五洲衍文長箋散稿"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7-02-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5-09-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8 | 1.28 | 1.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89 | 2.254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