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 필기(筆記)의 구도와 시대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본고는 정치적 웃음이라는 시좌(視座)로 이 시기 필기를 고찰하였다. 주로 개인적 차원에서 욕망과 고집, 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 필기(筆記)의 구도와 시대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본고는 정치적 웃음이라는 시좌(視座)로 이 시기 필기를 고찰하였다. 주로 개인적 차원에서 욕망과 고집, 문...
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 필기(筆記)의 구도와 시대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본고는 정치적 웃음이라는 시좌(視座)로 이 시기 필기를 고찰하였다. 주로 개인적 차원에서 욕망과 고집, 문화적 차원에서 문학과 학문, 사회적 차원에서 가족제도와 여성에 대한 시선 등에 주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개인적 차원의 경우, 욕망에 유연한 태도를 보이는 그룹은 다양성과 포용을 중시했고, 이에 대비되는 계열은 알인욕(遏人慾)과 의리(義理)의 절대성을 강조하며 원칙의 준수를 긍정했다. 자신의 시대를 수성기(守成期)로 판단한 그룹에서는 관용과 공치(共治)를 우선했고, 경장(更張)해야 할 시기로 본 부류는 지치(至治)에 다가서기 위해 유가(儒家)의 원리와 의리의 절대성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그 원인을 찾아야 한다. 다음으로, 이처럼 욕망과 고집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시각을 보였지만, 이 시기의 필기 대부분에서 학문과 문학의 겸전(兼全)이나 문학의 국가적 공능을 중시하는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 필기의 찬술자(纂述者)들이 대체로 문학을 정치와 도덕으로부터 유리시키지 않았다는 데 그 이유가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차원에서 본 이 시기 필기는 조선의 유교화를 반영하고 있었다. 즉, 15세기 후반의 필기에서는 유교화의 초기적 모습을, 16세기 전반의 기사와 삽화에서는 전환기적 양상을 각각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성리학적 명분과 의리를 강조하며 도학정치를 추구하던 그룹의 점진적인 득세(得勢)와 연관된다.
이로써 보면 본고는 필기를 분석하는 데 유용한 방법적 틀을 제시했고, 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 필기의 구도를 가설하면서 그 원인과 배경을 추론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sposition of miscellanies from the late 15th century to the early 16th century and changes over time, this study examined the miscellanies of this period through the lens of political laughter. The following results were c...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sposition of miscellanies from the late 15th century to the early 16th century and changes over time, this study examined the miscellanies of this period through the lens of political laughter. The following results were confirmed by focusing mainly on desire and stubbornness at a individual level, literature and academics at a cultural level, and the family system and perspectives on women at a social level.
First, in the case of the individual level, the group that showed a flexible attitude toward desire valued diversity and inclusion, while the contrasting group emphasized the suppressing desires and the absoluteness of duty and affirmed the observance of principles. Those who judged their era to be the stabilization period prioritized tolerance and public governance, while those who saw it as a time to be the reform period adopted Confucianism to approach the ideal politics. The cause must be found in the fact that the principle of Confucianism and the absoluteness of duty was emphasized. Next, although they showed different perspectives on desire and stubbornness, in most of their miscellanies during this period, an attitude of emphasizing the combination of academics and literature and the national ability of literature could be confirmed. The reason is that the compiler in the late 15th century∼the early 16th century generally did not separate literature from politics and morality. Lastly, from a social perspective, the miscellanies of this period reflected the Confucianization of the Joseon Dynasty. In other words, the early aspects of Confucianization could be seen in miscellanies from the late 15th century, and the transitional aspects could be seen in articles and illustrations from the early 16th century. These changes are related to the gradual rise in power of the group that pursued moral politics while emphasizing Neo-Confucian justification and duty.
In this regard, the meaning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presented a useful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analyzing a miscellany, hypothesized the disposition of in the late 15th century∼the early 16th century, and inferred the cause and background.
민족 통일 논의와 아리랑을 둘러싼 경합: 1991년 남북단일팀 단가 결정에서 유네스코 등재까지
국문장편소설 감정 데이터 모델링의 현실적 방안 고찰: 감정분류체계 정립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