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전섭, "황진이. In 한국문학작가론 2권" 서울: 집문당 2000
2 홍석중, "황진이 1․2권" 서울: 대훈닷컴 2004
3 장윤현, "황진이" 2007
4 이현경, "현대영화가 ‘황진이’를 소환하고 재현하는 방식-<황진이>(배창호, 1986)와 <황진이>(장윤현, 2007)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5) : 93-122, 2007
5 한기창, "현대 전통복식직물디자인에 미친 영상미디어의 영향 - 드라마, 영화 ‘황진이’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4) : 87-100, 2009
6 장민정, "한국 사극영화 복식의 표현성에 관한 연구"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7 김종회, "통일문화의 실천적 개념과 남북한 문화이질화의 극복 방안. In 북한문학의 이해 3권" 서울: 청동거울 2004
8 김정일, "주체문학론"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9 이능화, "조선해어화사(朝鮮解語花史)" 서울: 동문선 1992
10 이병렬, "이태준 소설 연구" 서울: 평민사 1998
1 강전섭, "황진이. In 한국문학작가론 2권" 서울: 집문당 2000
2 홍석중, "황진이 1․2권" 서울: 대훈닷컴 2004
3 장윤현, "황진이" 2007
4 이현경, "현대영화가 ‘황진이’를 소환하고 재현하는 방식-<황진이>(배창호, 1986)와 <황진이>(장윤현, 2007)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5) : 93-122, 2007
5 한기창, "현대 전통복식직물디자인에 미친 영상미디어의 영향 - 드라마, 영화 ‘황진이’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4) : 87-100, 2009
6 장민정, "한국 사극영화 복식의 표현성에 관한 연구"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7 김종회, "통일문화의 실천적 개념과 남북한 문화이질화의 극복 방안. In 북한문학의 이해 3권" 서울: 청동거울 2004
8 김정일, "주체문학론"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9 이능화, "조선해어화사(朝鮮解語花史)" 서울: 동문선 1992
10 이병렬, "이태준 소설 연구" 서울: 평민사 1998
11 Seymour Chatman, "이야기와 담론(Story and Discourse :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서울: 푸른사상사 2003
12 김형호, "원작 안에서 영화로 치환하고 싶었다"
13 Susan Hayward, "영화사전(Key concepts in cinema Studies)" 서울: 한나래 1997
14 이명현, "영상서사에 재현된 황진이 이야기의 두 가지 방식 —드라마 <황진이>와 영화 <황진이>의 비교를 중심으로" 문학과영상학회 11 (11): 129-156, 2010
15 김기봉, "역사들이 속삭인다 - 팩션 열풍과 스토리텔링의 역사" 서울: 프로네시스 2009
16 최수웅, "소설과 영화의 창작방법론 비교분석-<벌레 이야기>와 <밀양>을 중심으로" 어문연구학회 54 : 481-503, 2007
17 최수웅, "소설과 디지털콘텐츠의 창작방법" 서울: 청동거울 2005
18 박태상, "소설 『황진이』와 영화 「황진이」의 심미적 거리" 국어국문학회 (151) : 369-398, 2009
19 김재용, "살아 있는 신화, 황진이" 서울: 대훈닷컴 2006
20 리춘월, "력사의 녀인 황진이" 평양: 조선문화보존사 (6) : 2002
21 백옥련, "녀류시인 황진이"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517) : 2001
22 전영선, "남북영화교류 기획개발 가이드북" 서울: 영화진흥위원회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