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해 고고유적 출토 동물 유체의 현황과 분석 = Current Status and Analysis of Animal Bones from Palhae Archaeological Si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552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osteological artifacts, types of domestic animals and wild animals excavated from Palhae sites in Russia, China and North Korea. In addition, the Chinese annals records about the information on the animal resources of Palhae were compared with archaeological data. Based on these survey data, dissemination, recognition, utilization and importance of the animals in Palhae common lives, economy, culture, art were reconstructed.
      In Palhae, livestock prevailed more than wild animals. Cattle breeding was more important than hunting during the whole period. Domestic animals such as pigs, dogs, horses, cows were identified in most of Palhae sites. Wild animal bones shows a big role of varied hunting. Wild boar and roe deer for consumption were domin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mount and characteristics of animal bones were det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rchaeological site. In fortified towns and settlement sites were more diverse kinds and larger quantities of animal bones, which were used actively and widely. Only a small numbers specific kinds of osteological artifacts have been found in burial mounds due to the nature of mortuary ritual.
      No particular locality is identified in the structure of the livestock. It could mean that the economy and life of Palhae were relatively integrated. In Palhae, pigs and dogs were most important for food. Horses and cows played a greater role in economic life than food. Sheep or goat breeding is almost not developed.
      Records about Palhae animals in the Chinese annals are supported by archaeological data. In Palhae, there were regions that produces excellent animals. Exports of special products were also active.
      Animals in Palhae have been used for food, clothing, the handicraft industry, and in other ways such as shamanism, games, and funeral rituals, which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for restoring the lifestyle of Palhae food culture, economy, technology and art.
      번역하기

      This article analyzes osteological artifacts, types of domestic animals and wild animals excavated from Palhae sites in Russia, China and North Korea. In addition, the Chinese annals records about the information on the animal resources of Palhae were...

      This article analyzes osteological artifacts, types of domestic animals and wild animals excavated from Palhae sites in Russia, China and North Korea. In addition, the Chinese annals records about the information on the animal resources of Palhae were compared with archaeological data. Based on these survey data, dissemination, recognition, utilization and importance of the animals in Palhae common lives, economy, culture, art were reconstructed.
      In Palhae, livestock prevailed more than wild animals. Cattle breeding was more important than hunting during the whole period. Domestic animals such as pigs, dogs, horses, cows were identified in most of Palhae sites. Wild animal bones shows a big role of varied hunting. Wild boar and roe deer for consumption were domin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mount and characteristics of animal bones were det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rchaeological site. In fortified towns and settlement sites were more diverse kinds and larger quantities of animal bones, which were used actively and widely. Only a small numbers specific kinds of osteological artifacts have been found in burial mounds due to the nature of mortuary ritual.
      No particular locality is identified in the structure of the livestock. It could mean that the economy and life of Palhae were relatively integrated. In Palhae, pigs and dogs were most important for food. Horses and cows played a greater role in economic life than food. Sheep or goat breeding is almost not developed.
      Records about Palhae animals in the Chinese annals are supported by archaeological data. In Palhae, there were regions that produces excellent animals. Exports of special products were also active.
      Animals in Palhae have been used for food, clothing, the handicraft industry, and in other ways such as shamanism, games, and funeral rituals, which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for restoring the lifestyle of Palhae food culture, economy, technology and a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러시아, 중국, 북한 지역에 분포하는 발해 고고유적 14개소에서 출토된 동물 유체를 통하여 발해인의 동물 이용 현황을 파악하고 그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그리고 문헌기록을 통하여 발해의 동물 자원 이용에 대한 정보를 정리하였고, 이를 고고학 자료와 비교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발해시기 동물의 보급, 인식, 활용, 생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파악하였고 발해의 음식문화, 경제, 기술, 예술 등 여러 측면을복원하고자 하였다.
      발해인들의 동물자원 이용은 야생동물보다 가축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대부분의 발해유적에서는 돼지, 개, 말, 소 등의 가축이 확인되었다. 유구 종류에 따른 동물 유체의 출토 수량, 성격에서는 차이점이 확인되었다.
      성곽과 주거유적 등의 생활유적에서는 동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양상이 확인되어 그 종류가 다양하고 출토량이 많다. 반면, 고분에 부장된 동물은 장례풍습의 특성으로 인하여 제한된 종류와 수량만이 확인되었다.
      가축의 구성에서는 특별한 지역성이 확인되지 않는데, 이는 발해의 경제, 생활상이 비교적 통합되었다는것을 의미한다. 예외적인 사례들은 유적의 성격, 행정적 지위와 주변 환경과 관련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발해시대 돼지와 개가 식용으로서의 중요도가 가장 높았고 말과 소는 식용보다는 농사, 운반, 전쟁 등의 경제생활분야에서 높은 역할을 차지하였다. 기후적인 요인으로 발해에서의 양/염소 축산업은 미미하였다.
      야생동물의 뼈를 통해서 사냥의 역할이 확인되었다. 사냥 대상은 다양하였으나, 그 중 멧돼지와 노루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문헌에 나타난 발해 시기 동물에 대한 기록은 고고학 자료를 통해 입증되었다. 발해에서는 지역에 따라 말, 돼지 등의 동물이 특산물이자 주요 수출품이었으며, 모피, 웅담, 사향 등 동물의 가공품 및 특정 부산물의 수출도 활발하였다.
      발해 시기 동물은 식용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되었다. 가죽으로는 의복을 제작하였고, 뿔과 뼈는 가공되어 수공업에서 이용되었다. 그리고 무덤에서는 장례 음식으로 사용되거나 장례 의례로 매장되었다. 뿐만 아니라 신앙의 대상이자 놀이용 등으로도 다양하게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어 발해의 음식문화, 경제, 기술, 예술 등의 생활상을 복원하는데 좋은 실마리가 되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러시아, 중국, 북한 지역에 분포하는 발해 고고유적 14개소에서 출토된 동물 유체를 통하여 발해인의 동물 이용 현황을 파악하고 그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그리고 문...

      본 논문은 러시아, 중국, 북한 지역에 분포하는 발해 고고유적 14개소에서 출토된 동물 유체를 통하여 발해인의 동물 이용 현황을 파악하고 그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그리고 문헌기록을 통하여 발해의 동물 자원 이용에 대한 정보를 정리하였고, 이를 고고학 자료와 비교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발해시기 동물의 보급, 인식, 활용, 생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파악하였고 발해의 음식문화, 경제, 기술, 예술 등 여러 측면을복원하고자 하였다.
      발해인들의 동물자원 이용은 야생동물보다 가축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대부분의 발해유적에서는 돼지, 개, 말, 소 등의 가축이 확인되었다. 유구 종류에 따른 동물 유체의 출토 수량, 성격에서는 차이점이 확인되었다.
      성곽과 주거유적 등의 생활유적에서는 동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양상이 확인되어 그 종류가 다양하고 출토량이 많다. 반면, 고분에 부장된 동물은 장례풍습의 특성으로 인하여 제한된 종류와 수량만이 확인되었다.
      가축의 구성에서는 특별한 지역성이 확인되지 않는데, 이는 발해의 경제, 생활상이 비교적 통합되었다는것을 의미한다. 예외적인 사례들은 유적의 성격, 행정적 지위와 주변 환경과 관련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발해시대 돼지와 개가 식용으로서의 중요도가 가장 높았고 말과 소는 식용보다는 농사, 운반, 전쟁 등의 경제생활분야에서 높은 역할을 차지하였다. 기후적인 요인으로 발해에서의 양/염소 축산업은 미미하였다.
      야생동물의 뼈를 통해서 사냥의 역할이 확인되었다. 사냥 대상은 다양하였으나, 그 중 멧돼지와 노루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문헌에 나타난 발해 시기 동물에 대한 기록은 고고학 자료를 통해 입증되었다. 발해에서는 지역에 따라 말, 돼지 등의 동물이 특산물이자 주요 수출품이었으며, 모피, 웅담, 사향 등 동물의 가공품 및 특정 부산물의 수출도 활발하였다.
      발해 시기 동물은 식용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되었다. 가죽으로는 의복을 제작하였고, 뿔과 뼈는 가공되어 수공업에서 이용되었다. 그리고 무덤에서는 장례 음식으로 사용되거나 장례 의례로 매장되었다. 뿐만 아니라 신앙의 대상이자 놀이용 등으로도 다양하게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어 발해의 음식문화, 경제, 기술, 예술 등의 생활상을 복원하는데 좋은 실마리가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바실리예프 S.K., "트로이츠코예 고분군"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2 국립문화재연구소, "트로이츠코예 고분군" 2008

      3 오멜코 V.E.,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2013년도 발굴조사" 동북아역사재단 2014

      4 빠나센꼬 V.E.,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2012년도 발굴조사" 동북아역사재단 2013

      5 정석배, "연해주 체르냐찌노 5 발해고분군: 제1ㆍ2차 한ㆍ러 공동 연해주 발해문화유적 발굴조사 1" 한국전통문화학교 2005

      6 조태섭, "연해주 체르냐찌노 2 옥저ㆍ발해 주거유적(I): 제5차 한ㆍ러 공동 연해주 발해문화유적 발굴조사" 2008

      7 한국전통문화학교, "연해주 체르냐찌노 2 옥저ㆍ발해 주거유적 (II): 제6차 한ㆍ러 공동 연해주 발해문화유적 발굴조사" 2009

      8 한인덕, "성상리토성에 대하여" 1993

      9 동북아역사재단, "부거리 일대의 발해유적" 동북아역사재단 2011

      10 동북아역사재단, "발해의 역사와 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07

      1 바실리예프 S.K., "트로이츠코예 고분군"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2 국립문화재연구소, "트로이츠코예 고분군" 2008

      3 오멜코 V.E.,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2013년도 발굴조사" 동북아역사재단 2014

      4 빠나센꼬 V.E.,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2012년도 발굴조사" 동북아역사재단 2013

      5 정석배, "연해주 체르냐찌노 5 발해고분군: 제1ㆍ2차 한ㆍ러 공동 연해주 발해문화유적 발굴조사 1" 한국전통문화학교 2005

      6 조태섭, "연해주 체르냐찌노 2 옥저ㆍ발해 주거유적(I): 제5차 한ㆍ러 공동 연해주 발해문화유적 발굴조사" 2008

      7 한국전통문화학교, "연해주 체르냐찌노 2 옥저ㆍ발해 주거유적 (II): 제6차 한ㆍ러 공동 연해주 발해문화유적 발굴조사" 2009

      8 한인덕, "성상리토성에 대하여" 1993

      9 동북아역사재단, "부거리 일대의 발해유적" 동북아역사재단 2011

      10 동북아역사재단, "발해의 역사와 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07

      11 중앙문화재연구원, "발해의 고분문화 II" 진인진 2014

      12 중앙문화재연구원, "발해의 고분문화 I" 진인진 2014

      13 정석배, "발해의 가마(窯)에 대한 일고찰" 한국고대학회 (43) : 169-212, 2015

      14 김은국, "발해 염주성 이야기" 청아출판사 2017

      15 샤프쿠노프 E.V., "러시아 연해주와 발해 역사" 민음사 1996

      16 김종혁, "동해안 일대의 발해 유적에 대한 연구" 중심 2002

      17 王培新, "黑龙江海林市细鳞河遗址发掘报告" (1) : 2018

      18 陈全家, "黑龙江海林市细林河遗址出土的动物骨骼遗存研究" (7) : 2004

      19 金太顺, "黑龙江东宁县小地营遗址渤海房址" (3) : 2003

      20 魏存成, "渤海考古" 文物出版社 2008

      21 黒龍江省文物考古研究所, "河口与振兴 : 牡丹江莲花水库发掘报告" 科学出版社 2001

      22 黒龍江省文物考古研究所, "寧安虹鱒魚場 : 1992~1995年度勃海墓地考古発掘報告" 文物出版社 2009

      23 胡梧挺, "唐代东亚麝香的产地及其流向-以渤海国与东亚麝香交流为中心" (2) : 2018

      24 吉林省文物考古研究所, "吉林永吉查理巴勒辑墓地" (9) : 1995

      25 中国社会科学院考古研究所, "六顶山与渤海镇 : 唐代渤海国的贵族墓地与都城遗址" 中国大百科全书出版社 1997

      26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六頂山渤海墓葬 : 2004-2009年 清理發掘報告" 出版社 2012

      27 吉林省文物考古研究所, "俄羅斯濱海辺疆区渤海文物集粹" 文物出版社 2013

      28 王玺明, "从渤海遗址遗物看渤海国的社会经济" 黑龙江省社会科学院 2015

      29 Деревянко Е.И., "Троицкий могильник" Наука 224-, 1977

      30 Лещенко Н.В., "Терракотовое навершие с Краскинского городища" (4) : 188-192, 2002

      31 Винокурова М.А., "Териофауна России и сопредельных территорий" 72-, 2016

      32 Семениченко Л.E., "Отчет об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ях на Старорече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ском крае в 1982 году" Архив ИА РАН 1984

      33 Болдин В.И., "Отчет об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ях на Корсаковском поселении в Уссурийском районе Приморского края в 1981 году" 1982

      34 Алексеева Э.В., "Новые материалы по средневековой археологии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СССР" ДВО АН СССР 80-85, 1989

      35 Алексеева Э.В., "Новые материалы по археологии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России и смежных территорий: (Докл. V сес. Науч.-пробл. совета археологов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77-80, 1993

      36 Лещенко Н.В., "Морское собирательство и рыболовство. По материалам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й Краскинского городищ" (1) : 45-49, 2002

      37 Алексеева Э.В., "Методы естественных наук в археологическом изучении древних производств на Дальнем Востоке СССР" 77-85, 1986

      38 Алексеева Э.В., "Медиевист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на Дальнем Востоке России" 37-47, 1994

      39 Шавкунов Э.В., "Медиевист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на Дальнем Востоке России" 48-56, 1994

      40 Панасенко В.Е., "Костные млекопитающие из бохайского городища Горбатка" (5) : 164-165, 2008

      41 Асташенкова Е.В., "К вопросу об изображениях всадников с памятников бохайского времени" 170-178, 2004

      42 Шавкунов Э.В., "Исследования на Абрикосовском селище в 1996 г" 1997 (1997): 82-85, 1997

      43 아르쩨미예바 N.G, "Земледелие и животноводство у чжурчжэней Приморья в XII-XIII вв. (по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м материалам)" 고구려발해학회 48 : 207-250, 2014

      44 Рыбаков В.М., "Законы династии Тан 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м животноводстве" 47 (47): 30-52, 2015

      45 Гасилин В.В., "Заключение по костным остаткам животных из Николаевского I городища , (Прокопец С.Д.) Отчет об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ях на Николаевском I городище в Михайловском районе Приморского края в 2012 году" 2013

      46 Гасилин В.В., "Заключение по костным остаткам животных из Николаевского I городища , (Прокопец С.Д.) Отчет об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ях на Николаевском I городище в Михайловском районе Приморского края в 2010-2011 гг" 2012

      47 Гасилин В.В., "Заключение по костным остаткам животных из Николаевского I городища (раскоп 2, 2013 г.) , (Прокопец С.Д.) Отчет об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ях на Николаевском I городище в Михайловском районе Приморского края в 2013 году" 2014

      48 Лещенко Н.В., "Домашние ремёсла у бохайцев (на основе изучения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памятников в Приморье)" (4) : 173-189, 2018

      49 Беседнов Л. Н., "Дальний Восток России в древности и средневековье: проблемы, поиски, решения" ООО «Рея» 187-194, 2011

      50 Гельман Е.И., "Археология и культурная антропология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и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167-187, 2002

      51 Kim A.A., "Osteological studies of archaeological materials from Bohai sites in Russia. A state of the art XI" Medium Aevum 97-116, 2017

      52 윤재운, "8∼10세기 발해의 문물교류" 고려사학회 (23) : 309-340,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1-07-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Balhae -> Association of Koguryo Balha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2-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 -> 고구려발해연구
      외국어명 : The Koguryo Yonku -> The KoguryoBalhae Yonku
      KCI등재후보
      2008-02-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회 -> 고구려발해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 Institute of KoguryoBalha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3 2.013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