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이 최초로 한글로 번역되는 것은 1461년 간경도감이 설치되고 1464년에 『금강경언해』가 나오면서 부터이다. 그 이후 1922년에 용성선사에 의해 한글로 번역되었다. 그 후에도 60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00954
김치온 (위덕대학교)
2014
Korean
금강경 한글역 ; 용성 ; 운허 ; 모양 ; 모양다리 ; 고집 ; 몸매 ; 四相의 해 석 ; 아상 ; 중생상 ;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Diamond Sutra ; Yong-seng ; Un-hea ; appearance(모양) ; form(모양다리) ; stubbornness(고집) ; figure(몸매) ; Ātma-saṃjñā ; Sattva-saṃjñā ; the interpretation of Four appearance ; 相
KCI등재
학술저널
37-68(32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금강경』이 최초로 한글로 번역되는 것은 1461년 간경도감이 설치되고 1464년에 『금강경언해』가 나오면서 부터이다. 그 이후 1922년에 용성선사에 의해 한글로 번역되었다. 그 후에도 60년...
『금강경』이 최초로 한글로 번역되는 것은 1461년 간경도감이 설치되고 1464년에 『금강경언해』가 나오면서 부터이다. 그 이후 1922년에 용성선사에 의해 한글로 번역되었다. 그 후에도 60년대에 들어와서야 1965년에 백봉 김기추, 해안에 의해서, 그리고 그 이듬해 1966년 운허에 의해 한글로 번역되었다. 1966년에 초판 발행된 운허의 『금강경』번역은, 선행하는 세 분들의 번역과 비교해 볼 때 확실한 차이를 느끼게 한다. 먼저 운허가 사용하고 있는 번역용어는 당시 그 시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던 한글용어를 채택하고 있다. 즉 한자투의 불교용어를 최대한 뜻에 맞추어 한글용어를 채택하고 전체적인 문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문장을 구성하였다. 구마라집은 nimitta, saṃjñā, lakṣaṇa 등 세 용어에 대해 동일하게 相으로 한역하였고 용성, 백봉, 해안이 모두 相으로 번역하였지만, 운허는 『금강경』의 문맥과 전체적인 뜻에 맞추어 모양, 모양다리, 고집, 몸매 등으로 구분하여 번역하고 있다. 즉 nimitta는 모양다리라고 번역하였으며, saṃjñā에 대해서는 모양다리, 고집, 모양 등으로 각각 문맥에 따라 달리 번역하였으며, lakṣaṇa의 경우도 몸매라고 번역하였으나 모양이라고 번역한 경우도 있다. 특히 모양이라고 번역한 경우는 두 경우인데, 구마라집의 한역에서 ‘是實相者則是非相 是故如來說名實相’과 ‘凡所有相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則見如來’의 경우이다. 實相의 경우 相의 범어 원어는 saṃjñā이며, 뒷 문장에서의 相의 원어는 lakṣaṇa이다. 이 경우 용성, 해안, 백봉 등은 모두 상으로 번역하고 있고 운허는 모양으로 번역하고 있으나, 그 의미 내용은 모두 nimitta, saṃjñā, lakṣaṇa 등 세 용어의 의미 내용을 넘어서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는 동아시아 『금강경』해석의 특징적인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四相의 해석에 있어서도 운허는 앞서 행한 풀이와는 달리하고 있는데, 특히 我相을 ‘五蘊으로 된 이 몸을 참말 나라고 집착하는 것’이라고 하여 我의 실체성을 부정하는 『금강경』본래의 뜻에 부합하고 있다. 또한 중생상에 대해서도 ‘나는 오온에 의지하여 살아간다는 집착’이라고 하여 오온의 상속에 의지하여 살아가는 것이 ‘나’라고 집착하는 것이라고 해석하게 된다면, 범어 원어로 살펴본 중생상이 ‘지금 그 생명의 당체가 상속하여 끊어지지 않는 것’이라고 하는 해석과 다르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운허는 선행하는 용성, 백봉, 해안의 한글역과 달리 그 당시 세간에서 널리 사용함직한 쉽고도 다양한 한글용어를 번역용어로 사용하였으며, 『금강경』의 전체적인 문맥과 뜻에 맞춘 번역이었다고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iamond Sutra(金剛經) had been, for the first time, translated into Korean at the Gangeongdogam(刊經都監) - Royal institution for publishing Buddhist canons - where founded in 1461. Since first translation, the Diamond Sutra was re-transl...
The Diamond Sutra(金剛經) had been, for the first time, translated into Korean at the Gangeongdogam(刊經都監) - Royal institution for publishing Buddhist canons - where founded in 1461. Since first translation, the Diamond Sutra was re-translated by Yong-seong at 1922. Subsequently, it was translated by Baek-bung and Hea-an in 1965, then, Un -hea in 1966. Translations by Yong-seong, Baek-bung and Hea-an were, comparatively, used Chinese terminology in the chinese translation of the diamond Sutra. On the other hand, Un-hea's made use of current korean idioms for his translation. Kumārajīva translated all three Sanskrit words of nimitta, saṃjñā and lakṣaṇa into appearance(相), and so did Yong-seng, Baek-bung and Hea-an, as well. Un-hea, however, translated those words in accord with context and general meanings in Diamond Sutra. For example, nimitta was translated into form, and saṃjñā into form, stubbornness, appearance, and Lakṣaṇa into figure or appearance in a diverse textual context. As far as the Four appearances(四相) are concerned, Un-hea, differently with his forerunners, interpreted in his own ways. Especially Un-hea interpreted Ātma-saṃjñā(我相) into the attachment of Five khandhas as real Self. This interpretation corresponds to real meaning of the Diamond Sutra. In Sattva-saṃjñā(衆生相), Un-hea interpreted Sattva-saṃjñā(衆生相) as the attachment that we exist dependent on the Five khandhas. This interpretation does not differ from meaning of Sanskrit. Geneally speaking, Un-hea, unlikely other translations, used easy and various terminology for translation that was widely used in that time. Therefore, his translation could be evaluated high in public estimation as for the context and meaning of the Diamond Sutr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신규탁, "운허의 생애와 불교사상 소고 ―불교의 경학 방면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19 (19): 183-223, 2008
2 삼장역회, "신역대장경금강경강의" 삼장역회 1922
3 김운학, "신역금강경오가해" 현암사 1980
4 용성 백상규, "상역과해 금강반야바라밀경" 1926
5 용성 백상규, "상역과해 금강경" 제일문화사 1974
6 이병욱, "불교 한문번역을 위한 몇 가지 제언" 불교학연구회 7 (7): 2-46, 2003
7 조성택, "번역과 독창적 사유 -동아시아불교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한국불교연구원 (31) : 75-110, 2009
8 이운허, "무봉탑․금강경" 홍법원 1972
9 김탄허, "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 화엄학연구소 1882
10 김월운, "금강반야바라밀경강화" 보현각 1977
1 신규탁, "운허의 생애와 불교사상 소고 ―불교의 경학 방면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19 (19): 183-223, 2008
2 삼장역회, "신역대장경금강경강의" 삼장역회 1922
3 김운학, "신역금강경오가해" 현암사 1980
4 용성 백상규, "상역과해 금강반야바라밀경" 1926
5 용성 백상규, "상역과해 금강경" 제일문화사 1974
6 이병욱, "불교 한문번역을 위한 몇 가지 제언" 불교학연구회 7 (7): 2-46, 2003
7 조성택, "번역과 독창적 사유 -동아시아불교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한국불교연구원 (31) : 75-110, 2009
8 이운허, "무봉탑․금강경" 홍법원 1972
9 김탄허, "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 화엄학연구소 1882
10 김월운, "금강반야바라밀경강화" 보현각 1977
11 白峯 金基秋, "금강반야바라밀경강송" 동국출판사 1965
12 삼장역회, "금강반야바라밀경" 삼장역회 1926
13 삼장역회, "금강반야바라밀경" 삼장역회 1924
14 김해안, "금강반야바라밀경" 불서보급사 1971
15 이대성, "금강경의 핵심논리와 그 해석" 9 : 2008
16 신소천, "금강경강의" 명문당 1980
17 각묵, "금강경 역해" 불광출판부 2001
18 鳩摩羅什, "金剛般若波羅蜜經"
19 강경구, "『금강경』 한글 번역 및 해석의 현황과 특징"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6) : 89-122, 2010
20 玄奘, "『大般若波羅蜜多經』卷第五百七十七, 第九能斷金剛分"
동산법문(東山法門)ㆍ북종(北宗)과 『단경(壇經)』의 수증관(修證觀) 비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3 | 0.48 | 1.03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