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운허의 『법화경』번역과 그 입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009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근세 한국불교계에서 역경의 화신으로 추앙받았던 운허는 1972년 한문본 『묘법연화경』을 한글로 번역했으며, 이것을 보완해서 1994년도에는 동국대학교 역경원에서 한글 『법화경』을 출...

      근세 한국불교계에서 역경의 화신으로 추앙받았던 운허는 1972년 한문본 『묘법연화경』을 한글로 번역했으며, 이것을 보완해서 1994년도에는 동국대학교 역경원에서 한글 『법화경』을 출간했다. 본고는 운허가 번역한 한글 『법화경』에 대해 몇 가지 시 각에서 살펴보았다. 고찰의 결과는 매우 전통적인 사고에 입각해 『법화경』을 이해 하고 있다는 점이다. 『법화경』전체를 이등분하고, 그것을 체용의 논리에 입각해 이 해하고자 했던 것은 道生 이래 전개되는 중국의 『법화경』연구가들에게서 흔히 발 견할 수 있는 일이다. 특히 三周說에 입각해 『법화경』을 설명하는 것은 중생들의 근기가 다양하고 삶의 방식이 일률적이지 않은 현실을 전제한 것이다. 운허는 그런 점을 수용하여 『법화경』을 해제하고 있다. 그런 점은 특히 천태의 사상적 영향을 받은 것 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운허의 『법화경』에 대한 입장은 천태사상의 영향에 머물러 있는 것만은 아니다. 묘법이나 불성을 해석할 때 스며들어 있는 화엄이나 선사상의 영향도 발견할 수 있다. 그런 점은 한국불교의 전통과도 무관하지 않다. 화엄과 선의 융합은 이미 한국 불교사상의 핵심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러한 사상적 전통은 『법화경』을 번역하고 이해하는데도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운허가 번역한 한글 『법화경』은 읽는 사람들을 고려한 배려의 따스함이 스며있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특히 동국대 출간본은 법보원 판본을 수정 보완했다는 점에서는 보다 완벽하다고 평가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소박하고 토속적인 번역어를 음역으로 많이 바꾸었다는 점에서는 오히려 퇴보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현재 시중에는 수많은 판본의 『법화경』이 출간되어 있다. 아마 그 母本 중의 하나가 운허가 번역한 『법화경』이라 볼 수 있다. 그만큼 한국불교계에 미친 영향이 크다. 보다 쉽고, 그러면서도 일상적인 용어를 활용해 『법화경』을 번역하는 것은 한국불 교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일 중의 하나라 본다. 그렇지만 어떤 경우는 한글로 번역된 경전이 더욱 어렵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한문을 음역만 하거나 의미를 제대로 살리지 못한 경우가 그렇다. 오히려 운허처럼 일상에서 우리들이 사용하는 용어를 잘 살려 번역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중과 유리된 불교, 대중들의 종교적 감성을 승화시켜주지 못하는 번역은 진정한 의미에서 번역이라 말할 수 없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en. Un-heo, a great priest translator of the Buddhist scriptures, translated The Lotus Sutra(Chinese edition) into Korean, in 1972. Based on it, the Institute for translating the Buddhist scriptures at Dongguk University published The Lotus Sutra ...

      Ven. Un-heo, a great priest translator of the Buddhist scriptures, translated The Lotus Sutra(Chinese edition) into Korean, in 1972. Based on it, the Institute for translating the Buddhist scriptures at Dongguk University published The Lotus Sutra in Korean in 199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in looking into The Lotus Sutra in Korean in depth. This edition seems to understand it in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thought. Dividing The Lotus Sutra into two groups and understanding it in Cheyong (Substance and Function:體用) was common among the researchers of The Lotus Sutra in China since Daosheng(道生). In particular, interpreting The Lotus Sutra, based on Samjuseol(三周說), is premised on the fact that sentient beings's ability is different and their way of life is also not same. Actually, Ven. Un-heo accepted such a perspective and interpreted The Lotus Sutra, which appears to be influenced by Tientai thought. However, Ven Un-heo's perspective seems to be not only influenced by Tientai thought but also by Hwaeom(華嚴: the Dharmadhatu) and Seon(禪) thought in interpreting the marvelous Dharma and Buddha-nature, which has something to do with Korean tradition. Above all, Hwaeom and Seon is the core of Korean Buddhist thought. It had a great influence on translating and understanding The Lotus Sutra. Ven. Un-heo's translating edition gives a feeling of warmth and care to the reader. While Dongguk University edition is more perfect in that revised and supplemented Beopbowon edition, it is evaluated a little bit a backward step because of translating simple and native translating language into transliterating one. In fact, there are many translating editions of The Lotus Sutra. But Ven. Un-heo's translating edition may be one of parent bodies. It is contributable to his good translating by the use of common language used in our daily liv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해제를 통해 본 법화경관
      • Ⅲ. 번역문에 나타난 법화경관
      • Ⅳ. 맺는 말
      • 한글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해제를 통해 본 법화경관
      • Ⅲ. 번역문에 나타난 법화경관
      • Ⅳ. 맺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자, "천태사교의" 경서원 1988

      2 월운, "운허선사어문집" 동국역경원 1992

      3 이운허, "불교의 깨묵" 동국역경원 1972

      4 규기 찬, "법화현찬"

      5 길장 찬, "법화의소"

      6 법운 찬, "법화의기"

      7 천태 찬, "법화문구"

      8 길장 찬, "법화론소"

      9 세친 찬, "법화경우파제사"

      10 이운허, "법화경" 동국역경원 1992

      1 이영자, "천태사교의" 경서원 1988

      2 월운, "운허선사어문집" 동국역경원 1992

      3 이운허, "불교의 깨묵" 동국역경원 1972

      4 규기 찬, "법화현찬"

      5 길장 찬, "법화의소"

      6 법운 찬, "법화의기"

      7 천태 찬, "법화문구"

      8 길장 찬, "법화론소"

      9 세친 찬, "법화경우파제사"

      10 이운허, "법화경" 동국역경원 1992

      11 안진호, "묘법연화경" 법륜사 1989

      12 이운허, "묘법연화경" 법보원 1972

      13 신규탁, "규봉종밀의 자아관"

      14 도생 찬, "法華經疏"

      15 坂本幸男, "法華經の中國的展開" 平樂寺書店 1975

      16 植木雅俊, "梵漢和對照『法華經』上" 岩波書店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8 1.03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