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의 확대와 탈산업화, 그리고 기술의 혁명적 발전은 현존하는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우려로 이어지고 있으며, 기본소득은 미래 사회보장의 대안으로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244459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1-96(26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세계화의 확대와 탈산업화, 그리고 기술의 혁명적 발전은 현존하는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우려로 이어지고 있으며, 기본소득은 미래 사회보장의 대안으로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기...
세계화의 확대와 탈산업화, 그리고 기술의 혁명적 발전은 현존하는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우려로 이어지고 있으며, 기본소득은 미래 사회보장의 대안으로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기본소득제도의 도입 여부에 대해서는 찬성과 반대의 논리가 서로 팽팽히 맞서고 있기에 어느 한쪽의 주장을 쉬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몇몇 정부에서는 정책실험을 통해 기본소득이 가져올 정치・경제적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기본소득제도의 도입여부를 결정하려 한다. 본 연구는 이 중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두 나라, 핀란드와 네덜란드의 기본소득 실험을 방법론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들 두 나라에서의 실험결과는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 복지국가에서 기본소득 찬반론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이 자명하다. 그러나, 양국의 실험결과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위험하며, 실험의 방법론적 의미와 한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앞으로의 기본소득 도입 논의에 반드시 필요하다. 그 이유는 양국에서의 실험이 정부의 개입 등으로 기본소득의 일부 특성만을 반영하거나, 실험 설계의 취지가 상당 부분 퇴색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찬반 진영의 어느 한쪽에서 실험 결과를 그대로 자신들의 주장 강화에 이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보다는 이들 실험의 한계를 이해하고 제한적인 교훈만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핀란드와 네덜란드의 실험을 면밀히 고찰하여 그 방법론적 의미와 한계를 밝히고 더 나아가 만약 한국에서 기본소득 실험이 설계된다면 이들 국가들에서의 경험이 제공하는 시사점을 도출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lobalization, deindustrialization, and the revolutionary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led to the concerns that existing social policies might not be fit for the current and upcoming society. At the same time, the idea of universal basic income has d...
Globalization, deindustrialization, and the revolutionary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led to the concerns that existing social policies might not be fit for the current and upcoming society. At the same time, the idea of universal basic income has drawn significant attentions as the alternative to the old welfare state. There are pros and cons of basic income, and scholars of both sides stand against each other with their equivalently strong logics. In this situation, some governments have planned or conducted field experiments in order to estimate the causal effects of basic income. This study explores the Finnish and Dutch basic income experiments in methodological perspective. All the World have been watching the experiments in these two countries with keen interest.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will surely influence on the pros and cons of basic income in numerous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It is important to precisely figure out the methodological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e experiments, for the experiments in both countries deal with only some partial components of basic income and have been exposed to many threats to internal validity. Therefore, scholars for and against basic income should be careful in interpreting the findings from these experiments. This study elucidate the methodological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e Finnish and Dutch basic income experiments. Furthermore, this study extracts some lessons from these experiments that would be useful if scholars would have an opportunity to design and conduct a basic income experiment in South Kore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금민, "한국에서도 기본소득 가능할까?" 237 : 17-19, 2016
2 김인춘, "핀란드 복지국가와 기본소득 실험: 배경, 맥락, 의의"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18) : 31-72, 2016
3 장지연, "프레카리아트의 확산과 사회보험의 미래: 디지털 플랫폼 노동을 중심으로" 2017
4 강남훈, "제4차 산업혁명과 기본소득" 237 : 14-16, 2016
5 김교성, "이 시대 ‘복지국가’의 쓸모?!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제언"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52) : 179-222, 2016
6 양임석, "기술혁명과 미래복지국가의 사회보장 토론문" 2017
7 김영순, "기본소득제 부상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의미: 하나의 비판적 검토" 221 : 5-13, 2017
8 양재진, "기본소득은 미래 사회보장의 대안인가?" 한국사회정책학회 25 (25): 45-70, 2018
9 윤홍식, "기본소득, 복지국가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기초연금, 사회수당, 그리고 기본소득"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54) : 81-119, 2017
10 백승호, "기본소득 실현을 위한 기본소득 모형들" 221 : 14-21, 2017
1 금민, "한국에서도 기본소득 가능할까?" 237 : 17-19, 2016
2 김인춘, "핀란드 복지국가와 기본소득 실험: 배경, 맥락, 의의"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18) : 31-72, 2016
3 장지연, "프레카리아트의 확산과 사회보험의 미래: 디지털 플랫폼 노동을 중심으로" 2017
4 강남훈, "제4차 산업혁명과 기본소득" 237 : 14-16, 2016
5 김교성, "이 시대 ‘복지국가’의 쓸모?!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제언"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52) : 179-222, 2016
6 양임석, "기술혁명과 미래복지국가의 사회보장 토론문" 2017
7 김영순, "기본소득제 부상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의미: 하나의 비판적 검토" 221 : 5-13, 2017
8 양재진, "기본소득은 미래 사회보장의 대안인가?" 한국사회정책학회 25 (25): 45-70, 2018
9 윤홍식, "기본소득, 복지국가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기초연금, 사회수당, 그리고 기본소득"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54) : 81-119, 2017
10 백승호, "기본소득 실현을 위한 기본소득 모형들" 221 : 14-21, 2017
11 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 "World robotics report 2016" 2016
12 Simon, H., "UBI and the flat tax"
13 Gilliam, F. D., "The “welfare queen” experiment: How viewers react to images of African-American mothers on welfare" 53 (53): 1999
14 Arntz, M., "The risk of automation for jobs in OECD countries: A comparative analysis" OECD 2016
15 World Economic Forum, "The future of jobs: 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rld Economic Forum 2016
16 Frey, C. B., "The future of employment: how susceptible are jobs to computerisation?" 114 : 254-280, 2017
17 Bloom, H. S., "The benefits and costs of JTPA Title II-A programs: Key findings from the national job training partnership act study" 32 (32): 549-576, 1997
18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Routledge 1988
19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1 (1): 98-101, 1992
20 Rushkoff, D., "Silicon valley’s push for universal basic income is — surprise! — totally self-serving"
21 Blake, J., "Return of the “welfare queen”"
22 Pulkka, V. -V., "Notes on the Finnish basic income experiment. Presented at the How to experiment basic income in Europe" Yonsei University 2017
23 Abadie, A., "Instrumental variables estimates of the effect of subsidized training on the quantiles of trainee earnings" 70 (70): 91-117, 2002
24 Manyika, J., "Independent work: Choice, necessity, and the gig economy" McKinsey Global Institute 2016
25 KELA., "From idea to experiment: Report on universal basic income experiment in finland" KELA –FPA 2016
26 Jarvinen, J., "Finland tests a new form of welfare"
27 Orr, L. L., "Does training for the disadvantaged work?: Evidence from the national JTPA study" The Urban Insitute 1996
28 Rosenbaum, P. R., "Design of observational studies" Springer 2009
29 Roh, J., "Concern about the rise of lazy welfare queens? An empirical explanation of the underdevelopment of the redistributive welfare system in south korea" 50 (50): 289-298, 2013
30 Greenstein, R., "Commentary: Universal basic income may sound attractive but, if it occurred, would likelier increase poverty than reduce it"
31 Friedman, M., "Capitalism and freedo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2
32 Jagoda, N., "Biden rejects universal basic income idea popular in silicon valley"
33 Raventós, D., "Basic income: The material conditions of freedom" Pluto Press 2007
34 Standing, G., "Basic income: And how we can make it happen" Pelican 2017
35 Freedman, D. H., "Basic income: A sellout of the american dream"
36 Van Parijs, P., "Basic income: A radical proposal for a free society and a sane economy" Harvard University Press 2017
37 Van der Veen, R. J., "A capitalist road to communism" 15 (15): 635-655, 1986
38 이광석, "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 그리고 기본소득" 워커스
장기요양 인정자의 사망 전 의료 및 요양서비스 이용 양상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4-10-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ocial Policy Review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6-07-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ocial Policy Review -> Korean Association of Social Policy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 | 1.2 | 1.1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5 | 1.16 | 1.544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