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차별(ageism)의 사회경제적 관련요인과 건강영향 = Ageism and Health: Focus on Socioeconomic Fa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01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현대사회에 들어서며 전통적으로 공경의 대상이었던 노인은 나이로 인한 부당한 대우 및 차별을 경험하게되었다. 이 연구는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고려하여 노인차별경험의 관련요인을 파악하고, 차별경험으로인한 건강 영향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편의표집으로 추출된 60세-89세 345명을 대상으로 Palmore 의 ‘The Ageism Survey’ 도구를 사용하여, 노인차별경험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자의 약 45.8%가 한번이상의 노인차별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차별경험은 남자, 무배우자, 수입이 낮은 노인이 유의미하게높았다. 또한 노인차별경험은 노년기 우울감과 유의미하게 높은 연관성을 보였으나, 주관적 건강수준과 고혈압과의 연관성은 보이지 않았다. 사회적 지지가 있는 경우, 노인차별경험이 크게 증가할수록 우울증상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이 연구결과는 한국사회의 노인차별에 대한 정책적 관심을 촉구하고, 사회적 관계를 고려한 노인차별과 건강영향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번역하기

      현대사회에 들어서며 전통적으로 공경의 대상이었던 노인은 나이로 인한 부당한 대우 및 차별을 경험하게되었다. 이 연구는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고려하여 노인차별경험의 관련요인...

      현대사회에 들어서며 전통적으로 공경의 대상이었던 노인은 나이로 인한 부당한 대우 및 차별을 경험하게되었다. 이 연구는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고려하여 노인차별경험의 관련요인을 파악하고, 차별경험으로인한 건강 영향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편의표집으로 추출된 60세-89세 345명을 대상으로 Palmore 의 ‘The Ageism Survey’ 도구를 사용하여, 노인차별경험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자의 약 45.8%가 한번이상의 노인차별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차별경험은 남자, 무배우자, 수입이 낮은 노인이 유의미하게높았다. 또한 노인차별경험은 노년기 우울감과 유의미하게 높은 연관성을 보였으나, 주관적 건강수준과 고혈압과의 연관성은 보이지 않았다. 사회적 지지가 있는 경우, 노인차별경험이 크게 증가할수록 우울증상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이 연구결과는 한국사회의 노인차별에 대한 정책적 관심을 촉구하고, 사회적 관계를 고려한 노인차별과 건강영향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Korean elders experience ageism, with a focus on the social determinants, and how those experiences relate to their subjective, physical and mental health. Data was gathered from a convenient sample of 345 people aged 60-89 via face-to-face interviews. Ageism was measured using a 20 item questionnaire from ‘The Ageism Survey’ by Palmore. Health outcomes included self-rated health, hypertension, and depressive symptom. Half of the respondents reported having experienced ageism ‘more than once’ in 20 listed situations. The prevalence of ageism and sub-group characteristics appeared to show a different picture compared to the results in the Palmore's US study in which higher levels of ageism were reported by men (vs. women), people without spouses (vs. with spouses), and people with lower income (vs. higher). Furthermore, the ageism experience increased the risk of having depressive symptoms, with the association still significantly consistent even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OR 1.18 (95%CI 1.09-1.28). The health effect of ageism was not observed in hypertension or self-rated health.
      Interestingly, for those who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ageism, having social support appeared to increase the risk of depressive symptoms. Ageism and the harmful impact on health need to be better understood in social context.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Korean elders experience ageism, with a focus on the social determinants, and how those experiences relate to their subjective, physical and mental health. Data was gathered from a convenient sample of 345 people aged 60...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Korean elders experience ageism, with a focus on the social determinants, and how those experiences relate to their subjective, physical and mental health. Data was gathered from a convenient sample of 345 people aged 60-89 via face-to-face interviews. Ageism was measured using a 20 item questionnaire from ‘The Ageism Survey’ by Palmore. Health outcomes included self-rated health, hypertension, and depressive symptom. Half of the respondents reported having experienced ageism ‘more than once’ in 20 listed situations. The prevalence of ageism and sub-group characteristics appeared to show a different picture compared to the results in the Palmore's US study in which higher levels of ageism were reported by men (vs. women), people without spouses (vs. with spouses), and people with lower income (vs. higher). Furthermore, the ageism experience increased the risk of having depressive symptoms, with the association still significantly consistent even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OR 1.18 (95%CI 1.09-1.28). The health effect of ageism was not observed in hypertension or self-rated health.
      Interestingly, for those who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ageism, having social support appeared to increase the risk of depressive symptoms. Ageism and the harmful impact on health need to be better understood in social contex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양곤, "현대사회에서의 노인차별-노인의 경제활동을 중심으로" 2002

      2 이상림, "한국의 노년과 연령주의-차별과 배제의 중층성" 759-777, 2009

      3 박종우, "한국사회의 연령주의와 노인문제" 11 : 51-68, 1999

      4 김윤정,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 노인에 대한 인식과 행동 간의 관계 규명을 중심으로" 19 (19): 193-183, 2001

      5 차종천, "차별의 개념 및 실태와 원인" 95 : 6-20, 2004

      6 김주현, "연령주의(Ageism) 척도의 개발 및 타당성 연구" 한국인구학회 35 (35): 53-75, 2012

      7 김주현, "연령주의(Ageism) 관점을 통한 노년의 이해" 한국사회사학회 82 (82): 361-391, 2009

      8 박경란, "대학생이 갖고 있는 노인에 대한 고정관념 분석" 21 (21): 71-83, 2001

      9 김욱, "노인차별의 실태 및 관련요인에 관한 탐색적 조사연구" 한국노년학회 23 (23): 21-35, 2003

      10 이지영, "노인차별에 대한 노인의 의미화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1205-1232, 2009

      1 고양곤, "현대사회에서의 노인차별-노인의 경제활동을 중심으로" 2002

      2 이상림, "한국의 노년과 연령주의-차별과 배제의 중층성" 759-777, 2009

      3 박종우, "한국사회의 연령주의와 노인문제" 11 : 51-68, 1999

      4 김윤정,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 노인에 대한 인식과 행동 간의 관계 규명을 중심으로" 19 (19): 193-183, 2001

      5 차종천, "차별의 개념 및 실태와 원인" 95 : 6-20, 2004

      6 김주현, "연령주의(Ageism) 척도의 개발 및 타당성 연구" 한국인구학회 35 (35): 53-75, 2012

      7 김주현, "연령주의(Ageism) 관점을 통한 노년의 이해" 한국사회사학회 82 (82): 361-391, 2009

      8 박경란, "대학생이 갖고 있는 노인에 대한 고정관념 분석" 21 (21): 71-83, 2001

      9 김욱, "노인차별의 실태 및 관련요인에 관한 탐색적 조사연구" 한국노년학회 23 (23): 21-35, 2003

      10 이지영, "노인차별에 대한 노인의 의미화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1205-1232, 2009

      11 신학진, "노인차별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절망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56 (56): 191-216, 2012

      12 전상남, "노인차별경험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고독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31 (31): 925-938, 2011

      13 원영희, "노인차별 피해경험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1 (21): 297-322, 2005

      14 최인, "노인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한국보건사회학회 25 (25): 35-58, 2009

      15 원영희, "노인에 대한 사회차별 실태조사: 개인적 및 제도적 차별경험을 중심으로" 국가인권위원회 2006

      16 박현식, "공공부조노인과 일반노인의 노인차별경험과 우울의 관계" 한국노인복지학회 (41) : 7-26, 2008

      17 Vaux, A., "Variations in social support associated with gender, ethnicity, andage" 41 : 89-110, 1985

      18 Palmore, E. B., "The ageism survey: First findings" 41 : 572-575, 2001

      19 Pearlin, L. I., "Stress and Mental Health: A Conceptual Overview, In AHandbookfor the Study ofMental Health: Social Context, Theories, and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1-175, 1999

      20 Wilcox, B., "Social support, life stress, and pscyhological adjustment: A test of the buffering hypothesis" 9 : 371-386, 1981

      21 Brugha, T. S., "Social support and psychiatric disorder : Research finding and guidelines for clinical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22 Kessler, R. C., "Sexdifferences inthe vulnerability to undesirable life events" 49 : 620-631, 1984

      23 Pernice, R., "Refugees and immigrants mental health : Association of demographic and post-immigration factors" 136 : 511-519, 1996

      24 Ren, X. S., "Racial/ethnic disparities in health: the interplay between discrimination and socioeconomic status" 9 (9): 151-165, 1999

      25 Krieger, N., "Racial andgenderdiscrimination:Risk factors for high blood pressure?" 30 (30): 1273-1281, 1990

      26 Hirsch, B. J., "Psychological dimensions of social networks : amultimethod analysis" 7 : 263-277, 1980

      27 Waern, M., "Predictors of suicide inthe oldelderly" 49 : 328-334, 2003

      28 Bird, S. T., "Perceivedrace-basedand socioeconomic status(SES)-based discrimination in interactions with health care providers" 11 (11): 554-563, 2001

      29 Kessler, R. C., "Perceived support and adjustment to stress in a general population sample of female twins" 24 : 317-334, 1994

      30 Din-Dzietham, R., "Perceived stress following race-based discriminationatworkis associatedwithhypertension inAfrican-Americans. Themetro Atlanta heart disease study, 1999-2001" 58 : 449-461, 2004

      31 Finch, B. K., "Perceived discriminationanddepressionamong Mexican-origin adults inCalifornia" 41 : 295-313, 2000

      32 Flores,E., "Perceived discrimination, perceived stress, and mental and physical health among Mexican-origin adult" 30 : 401-424, 2008

      33 Hahm, H. C.,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health outcomes: a gender comparison among Asian-American Nationwide" 20 : 350-358, 2010

      34 Pascoe, E.A.,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health : A meta-analysis review" 135 : 531-554, 2009

      35 Gellis, Z. D., "Kim and nonkin social support in a community sample of Vietnamese immigrants" 48 : 248-258, 2003

      36 Piccinelli, M.,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on" 177 : 486-492, 2000

      37 Turner, H. A., "Gender and social support: Taking the badwith the good?" 30 : 521-541, 1994

      38 Cuddy, A. J. C., "Doddering but dear: Process, content, and function in stereotyping of oder persons, In Ageism: stereotypingand prejudiceagainst olderpersons" MIT Press 1-26, 2004

      39 Williams, D. R., "Discrimination and racial disparities in health : evidence and needed research" 32 : 20-47, 2009

      40 Taylor, S. E., "Culture andsocial support:Who seeks it and why?" 87 : 354-365, 2004

      41 Kim, H. S., "Culture and social support" 40 : 208-230, 2008

      42 Wurtele, S. K., "Changing students sterotypes of older adults" 40 : 59-61, 2013

      43 Wellman, B., "Applying network analysis to the study of support, In social networks andsocial support" Sage Publications 171-200, 1981

      44 Banks, K. H., "American experience of everyday discrimination and symptoms of psychological distress" 42 : 555-570, 2006

      45 Nolan, M., "Ageism: what's in a word" 41 : 8-9, 2003

      46 Nelson, T. D., "Ageism: Stereotyping and prejudice against older persons" MIT Press 2002

      47 Palmore, E. B., "Ageism: Negative and positive"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99

      48 Butler, R., "Ageism, In The Encyclopedia of Aging" Springer 1987

      49 Dennis, H., "Ageism in the work place" 31 (31): 371-386, 2007

      50 Palmore, E. B., "Ageism i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2004

      51 Victor, W. M., "Advancing the sociology ofAgeism" 86 (86): 257-264, 2007

      52 Paradies, Y., "A systematic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on self-reported racism and health" 35 : 888-901,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