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자주(自周)식 마그누스 풍차의 풍력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Experimental study on magnus windmill with self-rotated blad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78635

      • 저자
      • 발행사항

        강릉 : 가톨릭관동대학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 環境工學科 , 2015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54.7 판사항(6)

      • DDC

        621.45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viii, 115장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金永德
        참고문헌: 장 105-108

      • 소장기관
        • 가톨릭관동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화석연료를 대체할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과 수요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커짐에 따라 국내에서도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많은 투자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지구온난화현상은 환경문제 중 우리가 빠른 시일 내에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 중 하나로 청정에너지의 필요성이 커진 현재 전 세계국가들이 다각도로 노력해야 할 과제이다. 우리나라 또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신·재생에너지 중 효율이 가장 높은 풍력에너지를 활용하는 방법이 활발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발전을 위한 풍차 중 그 효율면에서 우수한 수평축 풍차(Horizontal Axis Windmill : HAW)는 세계적으로 이미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있는 상태이며 높은 풍속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지역에서 풍차의 규모가 커질수록 이론적 최대효율에 근접해 진다. 그렇지만 우리나라는 산악지대가 매우 많고 평야지역이 부족하여 풍차의 규모를 크게 설계, 설치하기 어렵고, 풍속과 풍향이 일정하지 않아 지속적으로 높은 풍속과 풍향이 발생하는 지역을 찾기 어려워 높은 풍력 효율을 내기 힘들며, 또한 주거지역의 소음문제가 발생하고, 고층빌딩 옥상과 그 주변에 발생하는 강한 3차원 난류 때문에 도심지나 생활근거지 주변에는 설치가 제한적이다. 하지만 일정하지 않은 풍향과 풍속에 대해 안정적이며 소음이 적은 수직축 풍차(Vertical Axis Windmill : VAW)는 수평축 풍차에 비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마그누스형 풍차는 일반적으로 블레이드의 회전이 전기력으로 회전하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풍력에 의한 자주식 블레이드에 초점을 맞추어 바람에 의해 블레이드가 자율 구동하고 회전력에 의해 발생한 양면의 압력차가 발생하여 마그누스효과가 발생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 되었다.
      블레이드의 회전 특성과 그것을 바탕으로 자주식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의 마그누스 효과에 의한 수평축 풍차의 회전RPM 및 주속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으로써 블레이드 모형의 캡 지름별, 블레이드 piece수별 RPM, 파워계수, 로터회전성능과 로터파워 등을 검토하였고 자주식 회전력을 추진력으로 하여 마그누스 효과에 의해 회전하는 풍차를 풍동실험을 통하여 회전 RPM을 측정하여 주속비를 검토하였다.
      추가적으로 모형제작은 soundscape, 모빌 기능 및 유체역학적인 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번역하기

      화석연료를 대체할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과 수요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커짐에 따라 국내에서도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많은 투자와 연구가 이루어지고 �...

      화석연료를 대체할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과 수요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커짐에 따라 국내에서도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많은 투자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지구온난화현상은 환경문제 중 우리가 빠른 시일 내에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 중 하나로 청정에너지의 필요성이 커진 현재 전 세계국가들이 다각도로 노력해야 할 과제이다. 우리나라 또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신·재생에너지 중 효율이 가장 높은 풍력에너지를 활용하는 방법이 활발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발전을 위한 풍차 중 그 효율면에서 우수한 수평축 풍차(Horizontal Axis Windmill : HAW)는 세계적으로 이미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있는 상태이며 높은 풍속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지역에서 풍차의 규모가 커질수록 이론적 최대효율에 근접해 진다. 그렇지만 우리나라는 산악지대가 매우 많고 평야지역이 부족하여 풍차의 규모를 크게 설계, 설치하기 어렵고, 풍속과 풍향이 일정하지 않아 지속적으로 높은 풍속과 풍향이 발생하는 지역을 찾기 어려워 높은 풍력 효율을 내기 힘들며, 또한 주거지역의 소음문제가 발생하고, 고층빌딩 옥상과 그 주변에 발생하는 강한 3차원 난류 때문에 도심지나 생활근거지 주변에는 설치가 제한적이다. 하지만 일정하지 않은 풍향과 풍속에 대해 안정적이며 소음이 적은 수직축 풍차(Vertical Axis Windmill : VAW)는 수평축 풍차에 비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마그누스형 풍차는 일반적으로 블레이드의 회전이 전기력으로 회전하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풍력에 의한 자주식 블레이드에 초점을 맞추어 바람에 의해 블레이드가 자율 구동하고 회전력에 의해 발생한 양면의 압력차가 발생하여 마그누스효과가 발생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 되었다.
      블레이드의 회전 특성과 그것을 바탕으로 자주식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의 마그누스 효과에 의한 수평축 풍차의 회전RPM 및 주속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으로써 블레이드 모형의 캡 지름별, 블레이드 piece수별 RPM, 파워계수, 로터회전성능과 로터파워 등을 검토하였고 자주식 회전력을 추진력으로 하여 마그누스 효과에 의해 회전하는 풍차를 풍동실험을 통하여 회전 RPM을 측정하여 주속비를 검토하였다.
      추가적으로 모형제작은 soundscape, 모빌 기능 및 유체역학적인 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1 연구의 목적 1
      • Ⅱ. 문헌연구 4
      • 2.1 풍력발전개요 4
      • Ⅰ. 서 론 1
      • 1.1 연구의 목적 1
      • Ⅱ. 문헌연구 4
      • 2.1 풍력발전개요 4
      • 2.1.1 수평축 풍차 4
      • 2.1.2 수직축 풍차 5
      • 2.1.3 소형수직축 풍차 10
      • 2.2 풍차의 구조 11
      • 2.2.1 로터 11
      • 2.2.2 너셀 12
      • 2.2.3 타워(towers) 12
      • 2.2.4 타워의 최적 높이 16
      • 2.3 마그누스 효과 17
      • 2.3.1 마그누스 효과의 개요 17
      • 2.3.2 마그누스 효과의 적용 19
      • 2.4 풍속의 정의 20
      • 2.4.1 풍속 20
      • 2.4.2 평균풍속 20
      • 2.4.3 최대풍속 20
      • 2.4.4 최대순간풍속 21
      • Ⅲ. 실험방법 및 종류 22
      • 3.1 실험풍동 22
      • 3.2 실험 사용기기 24
      • 3.3 모형 및 실험의 종류 25
      • 3.3.1 자주식 블레이드의 풍속별 회전특성에 관한 실험(Ⅰ) 25
      • 3.2.2 풍속별 마그누스 풍차 rotor의 회전특성에 관한 실험(Ⅱ) 29
      • 3.4 실험 결과 표시 방정식 33
      • Ⅳ. 실험결과 및 해석 35
      • 4.1 자주식 블레이드의 풍속별 회전 특성 35
      • 4.1.1 1PC(S) 블레이드(실험A-Ⅰ) 35
      • 4.1.2 2PC(S) 블레이드(실험A-Ⅱ) 39
      • 4.1.3 Cap 지름별 1PC(S), 2PC(S) 블레이드의 비교 43
      • 4.2 풍속별 마그누스 풍차 rotor의 회전특성 45
      • 4.2.1 마그누스 풍차 1엽 1PC(S) 특성(실험B-1-Ⅰ) 45
      • 4.2.2 마그누스 풍차 1엽 2PC(S) 특성(실험B-1-Ⅱ) 47
      • 4.2.3 마그누스 풍차 2엽 1PC(S) 특성(실험B-2-Ⅰ) 49
      • 4.2.4 마그누스 풍차 2엽 2PC(S) 특성(실험B-2-Ⅱ) 51
      • 4.2.5 마그누스 풍차 3엽 1PC(S) 특성(실험B-3-Ⅰ) 53
      • 4.2.6 마그누스 풍차 3엽 2PC(S) 특성(실험B-3-Ⅱ) 55
      • 4.2.7 마그누스 풍차 4엽 1PC(S) 특성(실험B-4-Ⅰ) 57
      • 4.2.8 마그누스 풍차 4엽 2PC(S) 특성(실험B-4-Ⅱ) 59
      • 4.3 블레이드 수별 마그누스 풍차 rotor의 회전특성 61
      • 4.3.1 마그누스 풍차 1PC(S) 0.8D 61
      • 4.3.2 마그누스 풍차 1PC(S) 1.0D 63
      • 4.3.3 마그누스 풍차 1PC(S) 1.2D 65
      • 4.3.4 마그누스 풍차 1PC(S) 1.4D 67
      • 4.3.5 마그누스 풍차 2PC(S) 0.8D 69
      • 4.3.6 마그누스 풍차 2PC(S) 1.0D 71
      • 4.3.7 마그누스 풍차 2PC(S) 1.2D 73
      • 4.3.8 마그누스 풍차 2PC(S) 1.4D 75
      • 4.4 블레이드의 piece수별 rotor의 회전특성 77
      • 4.4.1 piece수별 1엽 마그누스 풍차 77
      • 4.4.2 piece수별 2엽 마그누스 풍차 83
      • 4.4.3 piece수별 3엽 마그누스 풍차 89
      • 4.4.4 piece수별 4엽 마그누스 풍차 95
      • 4.5 기타 정성적 결과 101
      • Ⅴ. 결론 및 향후과제 102
      • 참고문헌 105
      • 국문초록 109
      • ABSTRACT 111
      • 감사의 글 11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안서만, "연직축 풍차의 수치해석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관동대학교 석사논문, 2011

      2 김영덕, 이연원, 정호윤, "수직축 풍력터빈의 기동특성 시뮬레이션", 한국풍공학회, 한국풍공학회, 통권 제11호 2008.5 pp127∼132, 2008

      3 윤덕영, "풍속의 G.F.변화에 의한 지표면의 조도 분석", 2008

      4 신지영, "수직축 풍력터빈 블레이드의 공기역학적 특성",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제30권, 제8호, pp.877-844, 2006

      5 양현대, 권순만(S.M. Kwon), 신중호(J.H. Shin), 안성은(S. E. An), "“수직축 항력형 풍차의 형상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정밀공학회, 한국정밀공학회 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하), 2010.5, pp1229-1230, 2010

      6 유환봉, "회전 실린더의 마그너스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관동대학교 대학원, 관동대학교 석사논문, 2007

      7 홍철현, "“사보니우스 풍력 터빈의 효율 향상을 위한 연구”",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한국마린엔지니어링 학회지 제35권 제2호, pp.261, 2011

      8 추권철, 윤순현(Yoon Soon Hyun), 김동건(Kim Dong Keon), "“원호형상의 멀티 블레이드를 가진 풍력터빈 설계”", 한국유체기계학회, 유체기계공업학회 유체기계 연구개발 발표회 논문집, 2004.12, pp390-395, 2004

      9 김동현, "사보니우스형 풍차 블레이드의 효율 향상에 관한연구", 가톨릭관동대학교, 석사논문, 2015

      10 이하승, "고효율 저소음 소형 수직축 풍력터빈의 설계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논문, 2011

      1 안서만, "연직축 풍차의 수치해석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관동대학교 석사논문, 2011

      2 김영덕, 이연원, 정호윤, "수직축 풍력터빈의 기동특성 시뮬레이션", 한국풍공학회, 한국풍공학회, 통권 제11호 2008.5 pp127∼132, 2008

      3 윤덕영, "풍속의 G.F.변화에 의한 지표면의 조도 분석", 2008

      4 신지영, "수직축 풍력터빈 블레이드의 공기역학적 특성",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제30권, 제8호, pp.877-844, 2006

      5 양현대, 권순만(S.M. Kwon), 신중호(J.H. Shin), 안성은(S. E. An), "“수직축 항력형 풍차의 형상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정밀공학회, 한국정밀공학회 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하), 2010.5, pp1229-1230, 2010

      6 유환봉, "회전 실린더의 마그너스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관동대학교 대학원, 관동대학교 석사논문, 2007

      7 홍철현, "“사보니우스 풍력 터빈의 효율 향상을 위한 연구”",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한국마린엔지니어링 학회지 제35권 제2호, pp.261, 2011

      8 추권철, 윤순현(Yoon Soon Hyun), 김동건(Kim Dong Keon), "“원호형상의 멀티 블레이드를 가진 풍력터빈 설계”", 한국유체기계학회, 유체기계공업학회 유체기계 연구개발 발표회 논문집, 2004.12, pp390-395, 2004

      9 김동현, "사보니우스형 풍차 블레이드의 효율 향상에 관한연구", 가톨릭관동대학교, 석사논문, 2015

      10 이하승, "고효율 저소음 소형 수직축 풍력터빈의 설계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논문, 2011

      11 김영덕, 안서만(An Shu Man), 천희기(Cheon Hee Kee), 이영진(Lee Young Jin), 요하네스 조니(Yohanes J.T. Cahyono), "“S”자 다리우스형 풍차의 블레이드개발에 관한 수치해석", 한국풍공학회, 한국풍공학회지 Vol.14 No.3, 2010

      12 양현봉, 임희창, "“헬리컬 사보니우스 풍력터빈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지식경제부, (No. 20113020020010), 2011

      13 유기완, 최성옥(Seong-Ok Choy), 이창수(Chang-Su Lee), 윤성준(Seong-Jun Yoon), "“풍동실험을 통한 수평축 풍력터빈 모델의 공력성능 연구”", 한국항공우주학회,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35권 제11호, , pp.957-1060, 2007

      14 김동건, 윤순현(Soon-Hyun Yoon), 차득근(Duk-Keun Cha), 김문경(Moon-Kyung Kim), "“아크형 날개를 이용한 항력식 수직축 소형 풍력터빈 설계”", 유체기계공업학회, 유체기계 저널 제9권 제2호, pp.7-12, 2006

      15 정수윤, 장세명(S. M. Chang), "“전산유체기법을 이용한 H-다리우스형 수직축 풍력터빈의 유동해석”", 대한기계학회, 대한기계학회 년 추계학술대회 강연 및 논문 초록집, 2010.11, pp1379-138, 2010

      16 Son, Sung-Woo, Choi, Young-Do, Singh, Patrick Mark, "Influence of guide vane shape on the performance and internal flow of a cross flow wind turbine",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제37권 제2호, pp. 163∼169, 2013

      17 이준용, "“횡류형 수직축 풍력터빈의 유동 특성 연구”,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2010.4, pp259-260, 2010

      18 김영덕, "자주식 블레이드를 이용한 마그누스 풍차의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Ⅰ)", 가톨릭 관동대학교 대원환경연구소 논문집, pp.37∼50, 2014

      19 김준모, 오세종, "“풍력 터빈 블레이드의 항공 역학적 최적 설계 및 풍동실험을 통한 검증”", 한국항공우주학회,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27권 제7호, , pp.1-174, 1999

      20 김영덕, "사보니우스 풍차의 블레이드 Overlapping 정도에 따른 풍력특성에 관한 풍동실험", 관동대학교 대원환경연구소 논문집 pp.45∼pp56, 2013

      21 이지웅, 정윤경, "An optimal mix of greenhouse gas reduction policies in the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models", 기본연구보고서 2014-11,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22 김범석, "“2MW급 풍력터빈 블레이드 설계 및 단방향 유체-구조연성해석, 대한기계학회논문집", B권 제33권 제12호, pp.1007-1013, 2009

      23 박준용, "“고효율소형 수직형 풍력터빈의 공력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기계학회논문집", B권제33권, 제8호, pp.580-588, 2009

      24 이영태, 임희창, "“수직축 사보니우스 풍력 블레이드의 최적화 형상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대한기계학회", 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 169-174, 2013

      25 조성호, "“윈드실드를 장착한 사보니우스형 풍력 발전기의 최적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정밀공학회", 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