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머니신을 낳은 신화적 주체의 시선과 표현 방식 = Mythic Subject’s Gaze Which Bore Ancient Korean Mother Goddess and Its Expre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628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yths have been transmitted without determined authorship in Korea.
      Mythic subjects who created myths in ancient Korea have not been known.
      However, by the psychoanalyst Jacques Lacan’s theory, information of mythic subjects could be drawn from narratives’ expression and characters of myth,because expressions hold mythic subject’s desire and gaze.
      In the level of psychoanalysis, mother is the Other who interprets a baby’s desire in its signals. As an infant desires mother, mythic subjects desired mother. In myth, the desire was expressed as ‘mother goddess’. Mother goddess as Other projects the gazes of mythic subjects.
      At first, Korean mythic subject depicted a goddess as mother nor a spouse nor a maid. Later, goddess expressed as spouse and a maid.
      Korean mother goddesses are mainly two types: goddess nature and female giant. Goddess nature is a deity who resides in natural beings like mountains,water, a bear and an imaginary animal like a combination of chicken and dragon. The other type is female giants. She was so big she could be laid her body between mountains and island.
      Mother was regarded as a mountain, at the same time mother regarded as a divine being, a national ancestor of ancient kingdom. All these four different beings treated as ‘one being’ naturally and harmoniously. In this way, mythic signified was formed by layers of metaphor in ancient Korea.
      The mythic way of combining all four beings is by metaphor and imagination.
      For example, two different beings, that is, a mother and a mountain were merged into a being by metaphor. Motherhood of mother was transferred into mountain and then, mountain gained the new signified, a mother. Once metaphor is formed, mountain was regarded as a mother. Like this way, mother became a divine being, a national ancestor as well as a mountain.
      Nationwide found female giant’s narrative has several types. Among the types,the depiction of huge female body is understood as a reflecting mythic world view because mythic subjects have more interests in the features of being itself comparatively. Meanwhile the other types of narrative seem afar from mythic era.
      The productive motherhood was imagined into enormous volume by the mythic gaze. The motherhood is so great enough to be a giant. Even though the giant does not bear children, her body represented itself a signifier of productivity,creativity as like mother’s body. Therefore, her productivity could be easily connected to female giants’ creative works, such as formulation of mountain, water stream in the other female giant myth.
      In light of the relationship with amain leading character,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 goddesses are various in Korean ancient myth. A type of self-sufficient goddess is self-regulating. She has no relation with spouse even when she bore children. A type of complementary goddess, aiding son’s mythic task. A goddess with lack asking phallus in Lacanian sense has not her own law or order.
      The gaze of mythic subjects of ancient Korea, corresponds to child’s gaze who happened to see mother as Other in the developmental times of the Oedipus complex. The Korean mother goddesses can b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gaze as below.
      Ungnyeo[웅녀, 熊女] of proto-Chosun projects mythic subjects’ gaze at the third time of the Oedipus complex with symbolic father’s intervention.
      Ungnyeo prayed for her pregnancy to male god Hwanung[환웅, 桓雄]. Yuhwa [유화, 柳花] of Koguryeo and Junggyeon-moju[정견모주, 正見母主] of Kaya project mythic subject’s gaze at the second time of Oedipus complex. The mother and child’s harmonious relationship is dramatized in the events of narrative while the male spouse gods, Haemosu[해모수, 解慕漱] and Ibiga[이비가, 夷毗訶] are situated behind the events. They are imaginary father at this time. Seosul-seongmo[서술성모, 西述聖母] of Silla projects mythic subjects’s gaze at the first time of Oedipus ...
      번역하기

      Myths have been transmitted without determined authorship in Korea. Mythic subjects who created myths in ancient Korea have not been known. However, by the psychoanalyst Jacques Lacan’s theory, information of mythic subjects could be drawn from narr...

      Myths have been transmitted without determined authorship in Korea.
      Mythic subjects who created myths in ancient Korea have not been known.
      However, by the psychoanalyst Jacques Lacan’s theory, information of mythic subjects could be drawn from narratives’ expression and characters of myth,because expressions hold mythic subject’s desire and gaze.
      In the level of psychoanalysis, mother is the Other who interprets a baby’s desire in its signals. As an infant desires mother, mythic subjects desired mother. In myth, the desire was expressed as ‘mother goddess’. Mother goddess as Other projects the gazes of mythic subjects.
      At first, Korean mythic subject depicted a goddess as mother nor a spouse nor a maid. Later, goddess expressed as spouse and a maid.
      Korean mother goddesses are mainly two types: goddess nature and female giant. Goddess nature is a deity who resides in natural beings like mountains,water, a bear and an imaginary animal like a combination of chicken and dragon. The other type is female giants. She was so big she could be laid her body between mountains and island.
      Mother was regarded as a mountain, at the same time mother regarded as a divine being, a national ancestor of ancient kingdom. All these four different beings treated as ‘one being’ naturally and harmoniously. In this way, mythic signified was formed by layers of metaphor in ancient Korea.
      The mythic way of combining all four beings is by metaphor and imagination.
      For example, two different beings, that is, a mother and a mountain were merged into a being by metaphor. Motherhood of mother was transferred into mountain and then, mountain gained the new signified, a mother. Once metaphor is formed, mountain was regarded as a mother. Like this way, mother became a divine being, a national ancestor as well as a mountain.
      Nationwide found female giant’s narrative has several types. Among the types,the depiction of huge female body is understood as a reflecting mythic world view because mythic subjects have more interests in the features of being itself comparatively. Meanwhile the other types of narrative seem afar from mythic era.
      The productive motherhood was imagined into enormous volume by the mythic gaze. The motherhood is so great enough to be a giant. Even though the giant does not bear children, her body represented itself a signifier of productivity,creativity as like mother’s body. Therefore, her productivity could be easily connected to female giants’ creative works, such as formulation of mountain, water stream in the other female giant myth.
      In light of the relationship with amain leading character,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 goddesses are various in Korean ancient myth. A type of self-sufficient goddess is self-regulating. She has no relation with spouse even when she bore children. A type of complementary goddess, aiding son’s mythic task. A goddess with lack asking phallus in Lacanian sense has not her own law or order.
      The gaze of mythic subjects of ancient Korea, corresponds to child’s gaze who happened to see mother as Other in the developmental times of the Oedipus complex. The Korean mother goddesses can b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gaze as below.
      Ungnyeo[웅녀, 熊女] of proto-Chosun projects mythic subjects’ gaze at the third time of the Oedipus complex with symbolic father’s intervention.
      Ungnyeo prayed for her pregnancy to male god Hwanung[환웅, 桓雄]. Yuhwa [유화, 柳花] of Koguryeo and Junggyeon-moju[정견모주, 正見母主] of Kaya project mythic subject’s gaze at the second time of Oedipus complex. The mother and child’s harmonious relationship is dramatized in the events of narrative while the male spouse gods, Haemosu[해모수, 解慕漱] and Ibiga[이비가, 夷毗訶] are situated behind the events. They are imaginary father at this time. Seosul-seongmo[서술성모, 西述聖母] of Silla projects mythic subjects’s gaze at the first time of Oedipus ...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고대신화의 제작자, 제작층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다시피 하나 정신분석학 이론을원용하여 일부 도출할 수 있다. 자크 라캉의 시선(gaze)이론은 물리적인 바라봄(seeing)과욕망이 결부된 시선(gaze)을 구분한다. 또 주체가 자신의 욕망으로부터 대타자(Other)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신화의 인물을 바라보는 제작자의 심리적 위치를 이해할 수있다.
      고대의 어머니신화는 신화적 주체가 대타자인 어머니를 상호주체적 시선으로 이해하여은유와 상상의 방식으로 구성한 서사이다. 한 예로, 어머니와 산은 각기 다른 존재이지만신화적 주체의 시선에 의해 은유적으로 통합되었다. 나아가 어머니, 자연물, 신, 국가적 조상은 은유적 방식을 통해 하나의 존재로 간주되었다. 여기서 신화 특유의 기의가, 기표들의클러스터(cluster)를 통해서 형성되고 있음을 보게 된다.
      한편 여성거인 신화 중 육체성에 초점이 맞추어진 신화는 외견상 출산을 하지 않은 여신이지만 특유의, 풍요로움은 신화적 모성과 동질적이므로 어머니신으로 분류 가능하다. 다른 여성거인 신화 유형보다 신화적 세계관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이 유형은 ‘경이로운,큰 육체’만을 강조하는데 이렇게 존재 자체의 특징에 대한 관심만으로 서사가 구성되는 것은 신화의 보편적인 특징이다. 거대한 육체는 상대적으로 왜소한 자의 시선에서 바라본 결과로 인간이 모성을 크기로 상상했음을 뜻한다.
      어머니신은 자기 완결적인, 완벽한 어머니, 주인공과 상보적 관계에 있는 어머니, 배우자의 팰러스를 희구하는 ‘결핍된 어머니’ 등으로 표현되었다. 이 어머니신들은 각각 신화적주체의 시선을 투사한다. 이 시선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의 단계에서 어머니를 바라보는 유아의 시선에 대응한다. 라캉주의 맥락에서 웅녀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셋째 단계에 위치한 유아 시선의 국면을 보여주며 유화[주몽의 어머니로 여겨졌던 부여신도 해당됨]와 정견모주는 母子의 二者 관계적 시선을, 서술성모는 첫째 단계 유아의 시선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현재 고대신화의 제작자, 제작층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다시피 하나 정신분석학 이론을원용하여 일부 도출할 수 있다. 자크 라캉의 시선(gaze)이론은 물리적인 바라봄(seeing)과욕망이 결부된 ...

      현재 고대신화의 제작자, 제작층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다시피 하나 정신분석학 이론을원용하여 일부 도출할 수 있다. 자크 라캉의 시선(gaze)이론은 물리적인 바라봄(seeing)과욕망이 결부된 시선(gaze)을 구분한다. 또 주체가 자신의 욕망으로부터 대타자(Other)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신화의 인물을 바라보는 제작자의 심리적 위치를 이해할 수있다.
      고대의 어머니신화는 신화적 주체가 대타자인 어머니를 상호주체적 시선으로 이해하여은유와 상상의 방식으로 구성한 서사이다. 한 예로, 어머니와 산은 각기 다른 존재이지만신화적 주체의 시선에 의해 은유적으로 통합되었다. 나아가 어머니, 자연물, 신, 국가적 조상은 은유적 방식을 통해 하나의 존재로 간주되었다. 여기서 신화 특유의 기의가, 기표들의클러스터(cluster)를 통해서 형성되고 있음을 보게 된다.
      한편 여성거인 신화 중 육체성에 초점이 맞추어진 신화는 외견상 출산을 하지 않은 여신이지만 특유의, 풍요로움은 신화적 모성과 동질적이므로 어머니신으로 분류 가능하다. 다른 여성거인 신화 유형보다 신화적 세계관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이 유형은 ‘경이로운,큰 육체’만을 강조하는데 이렇게 존재 자체의 특징에 대한 관심만으로 서사가 구성되는 것은 신화의 보편적인 특징이다. 거대한 육체는 상대적으로 왜소한 자의 시선에서 바라본 결과로 인간이 모성을 크기로 상상했음을 뜻한다.
      어머니신은 자기 완결적인, 완벽한 어머니, 주인공과 상보적 관계에 있는 어머니, 배우자의 팰러스를 희구하는 ‘결핍된 어머니’ 등으로 표현되었다. 이 어머니신들은 각각 신화적주체의 시선을 투사한다. 이 시선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의 단계에서 어머니를 바라보는 유아의 시선에 대응한다. 라캉주의 맥락에서 웅녀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셋째 단계에 위치한 유아 시선의 국면을 보여주며 유화[주몽의 어머니로 여겨졌던 부여신도 해당됨]와 정견모주는 母子의 二者 관계적 시선을, 서술성모는 첫째 단계 유아의 시선을 보여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진옥, "「마고할미설화」에 나타난 여성신 관념" 한국민속학회 25 : 3-47, 1993

      2 노제운,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나타난 변형된 모성, 나르시시즘적 욕망 ?정신분석학적 접근?" 민족어문학회 47 : 10-326, 2003

      3 김광일, "한국전통문화의 정신분석" 교문사 1-561, 1991

      4 송화섭, "한국의 마고할미 고찰" 한국역사민속학회 (27) : 127-171, 2008

      5 이나미, "한국의 마고 여신에 관한 고찰: 한국 신화의 고태적 상징" 한국분석심리학회 24 (24): 151-173, 2009

      6 권태효, "한국의 거인 설화" 역락 1-256, 2002

      7 김광일, "한국신화의 정신분석학적 연구 - (1) Edipus 복합 -" 한국문화인류학회 2 : 27-46, 1969

      8 서대석, "한국신화의 연구" 집문당 1-579, 2001

      9 이부영, "한국민담의 심층분석" 집문당 1-318, 1995

      10 강철중, "한국민담 「바늘 상자 속에 넣어 둔 눈알」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해석" 한국분석심리학회 23 (23): 20-49, 2008

      1 강진옥, "「마고할미설화」에 나타난 여성신 관념" 한국민속학회 25 : 3-47, 1993

      2 노제운,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나타난 변형된 모성, 나르시시즘적 욕망 ?정신분석학적 접근?" 민족어문학회 47 : 10-326, 2003

      3 김광일, "한국전통문화의 정신분석" 교문사 1-561, 1991

      4 송화섭, "한국의 마고할미 고찰" 한국역사민속학회 (27) : 127-171, 2008

      5 이나미, "한국의 마고 여신에 관한 고찰: 한국 신화의 고태적 상징" 한국분석심리학회 24 (24): 151-173, 2009

      6 권태효, "한국의 거인 설화" 역락 1-256, 2002

      7 김광일, "한국신화의 정신분석학적 연구 - (1) Edipus 복합 -" 한국문화인류학회 2 : 27-46, 1969

      8 서대석, "한국신화의 연구" 집문당 1-579, 2001

      9 이부영, "한국민담의 심층분석" 집문당 1-318, 1995

      10 강철중, "한국민담 「바늘 상자 속에 넣어 둔 눈알」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해석" 한국분석심리학회 23 (23): 20-49, 2008

      11 박상학, "한국민담 “구복여행”의 분석심리학적 고찰" 한국분석심리학회 24 (24): 174-210, 2009

      12 "한국구비문학대계, 1980-1992"

      13 "한국구비문학대계"

      14 홍태한, "한국 신모 신화(神母神話)의 변화상 연구" 경희대 인문학연구소 (3) : 183-200, 1999

      15 이유경, "한국 민담에서 살펴본 여성의 부성 콤플렉스 -<심청전>과 <바리공주>중심으로" 한국분석심리학회 25 (25): 65-101, 2010

      16 김영희, "한국 구전서사 속 여성 섹슈얼리티에 대한 신경증 탐색 -<월경혈 묻은 빗자루가 도깨비로 변하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5) : 45-89, 2012

      17 류인균, "한국 고소설에 나타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서울대학교출판부 1-94, 2004

      18 윤혜신, "한국 고대 여신의 유형과 역사적 先後 관계: 神格 획득방식을 기준으로" 국학연구원 (162) : 135-166, 2013

      19 조두영, "프로이트와 한국문학" 일조각 1-444, 1999

      20 張漢喆, "표해록" 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21 김현진, "토마스 만 소설의 정신분석적 연구 - 프로이트 , 라캉의 무의식론과 토마스만의 「트리스탄」" 한국독어독문학회 79 : 171-193, 2001

      22 강상순, "조선후기 장편소설과 가족 로망스" 한국고전여성문학회 (7) : 33-64, 2003

      23 현용준, "제주도 전설" 서문당 1-269, 2002

      24 조현설, "웅녀·유화 신화의 행방과 사회적 차별의 체계" 한국구비문학회 9 : 1-20, 1999

      25 조현설, "우리 신화의 수수께끼" 한겨레출판 1-309, 2006

      26 박상란, "여성신화의 원리"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19 : 461-484, 1997

      27 권태효, "여성거인설화의 자료 존재양상과 성격" 탐라문화연구소 (37) : 223-260, 2010

      28 이강엽, "알레고리로서의 女神, 그 양상과 의미 -동아시아 신화의 경우-" 한국어문학회 (86) : 163-186, 2004

      29 김현진, "시선을 중심으로 본 주체와 욕망의 메커니즘 - 자크 라캉의 시각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뷔히너학회 27 : 363-384, 2006

      30 이성준, "설문대할망설화 연구: 特徵과 變異過程을 中心으로" 제주대 국문과 10 : 54-80, 1990

      31 문영미, "설문대할망 설화 연구"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32 박종성, "비교신화의 관점에서 본 설문대할망" 한국구비문학회 (31) : 235-268, 2010

      33 이부영, "분석심리학" 일조각 1-422, 1998

      34 표인주, "부안 죽막동 수성당의 고고민속학적 고찰" 비교민속학회 15 : 285-311, 1998

      35 송화섭, "부안 죽막동 수성당의 개양할미 고찰" 국립민속박물관 (22) : 81-106, 2008

      36 최원오, "모성(母性)의 문화에 대한 신화적 담론: 모성의 기원과 원형" 한국고전여성문학회 0 (0): 185-222, 2007

      37 조현설, "마고할미ㆍ개양할미ㆍ설문대할망 설문대할망 전승의 성격과 특징에 대하여" 민족문학사학회 (41) : 140-173, 2009

      38 이창재, "동아시아 신화 해석을 위한 정신분석 관점 및 개념고찰" 한국기호학회 1 (1): 101-145, 2004

      39 박찬부, "대타자에 대한 주체의 위치--라캉의 성 담론" 한국영어영문학회 51 (51): 69-98, 2005

      40 李恩奉, "단군신화의 종교적 의미" 한국학중앙연구원 32 (32): 3-18, 1987

      41 윤혜신, "귀신과 트라우마"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196, 2010

      42 강상순, "고전소설 연구와 정신분석학의 접합, 그 가능성과 지점 및 한계들" 민족문학사학회 (39) : 320-359, 2009

      43 윤혜신, "고대 여신, In 한국학 주제별 연구 매뉴얼" 한국학중앙연구원 80-127, 2010

      44 김열규, "韓國의 神話" 일조각 1-203, 1976

      45 김열규, "韓國民俗과 文學硏究" 일조각 1-321, 1971

      46 김태곤, "韓國巫俗의 原型 硏究" 민속학회 12 : 29-62, 1980

      47 천혜숙, "神話로 본 女界 神聖의 양상과 변모" 비교민속학회 17 : 53-73, 1999

      48 金俊基, "神母神話 연구"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5

      49 노사신, "東國輿地勝覽" 명문당 1981

      50 이행, "新增 東國輿地勝覽, In 한국고전종합DB"

      51 국사편찬위원회, "中國 正史 朝鮮傳 譯註 一" 신서원 1987

      52 일연, "三國遺事" 이회문화사 2003

      53 김부식, "三國史記" 솔 출판사 1997

      54 윤혜신, "『於于野談』 소재 鬼神譚의 트라우마(trauma)적 성격" 대동문화연구원 (63) : 227-262, 2008

      55 노제운, "「나무꾼과 선녀」,「우렁각시」 설화의 정신분석적 의미 비교연구" 민족어문학회 (57) : 5-39, 2008

      56 노제운, "‘쥐 둔갑 설화’에 나타난 주체의 분열과 재현" 민족어문학회 41 : 193-209, 2000

      57 천혜숙, "‘父性 不在’의 신화학과 聖母신앙의 문제" 한국역사민속학회 15 : 7-40, 2002

      58 최상수, "[단행본] 한국민간전설집" 통문관 1-579, 1958

      59 Malone, K., "The Subject of Lacan : A Lacanian Reader for Psychologist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388, 2000

      60 M. Klein, "Some Reflection on The Oresteia 1963, Envy and Gratitude & Other Works: 1946-1963" The Free Press 275-299, 1975

      61 Jacques Lacan, "Logical Time and the Assertion of Anticipated Certainty" W.W.Norton & Company 161-175, 2002

      62 M. Esther Harding, "Les Mystères de la femme ; Woman’s Mysteries Ancient and Modern" Shambhala 1-256, 1990

      63 Knowles, Murray, "Introducing Metaphor" Routledge 1-142, 2006

      64 Dylan Evans, "An Introductory Dictionary of Lacanian Psychoanalysis" Routledge 1-264, 1996

      65 조현설, "<해와 달이 된 오누이>형 민담의 창조신화적 성격 재론" 비교민속학회 (33) : 107-130,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4 1.57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