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진옥, "「마고할미설화」에 나타난 여성신 관념" 한국민속학회 25 : 3-47, 1993
2 노제운,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나타난 변형된 모성, 나르시시즘적 욕망 ?정신분석학적 접근?" 민족어문학회 47 : 10-326, 2003
3 김광일, "한국전통문화의 정신분석" 교문사 1-561, 1991
4 송화섭, "한국의 마고할미 고찰" 한국역사민속학회 (27) : 127-171, 2008
5 이나미, "한국의 마고 여신에 관한 고찰: 한국 신화의 고태적 상징" 한국분석심리학회 24 (24): 151-173, 2009
6 권태효, "한국의 거인 설화" 역락 1-256, 2002
7 김광일, "한국신화의 정신분석학적 연구 - (1) Edipus 복합 -" 한국문화인류학회 2 : 27-46, 1969
8 서대석, "한국신화의 연구" 집문당 1-579, 2001
9 이부영, "한국민담의 심층분석" 집문당 1-318, 1995
10 강철중, "한국민담 「바늘 상자 속에 넣어 둔 눈알」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해석" 한국분석심리학회 23 (23): 20-49, 2008
1 강진옥, "「마고할미설화」에 나타난 여성신 관념" 한국민속학회 25 : 3-47, 1993
2 노제운,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나타난 변형된 모성, 나르시시즘적 욕망 ?정신분석학적 접근?" 민족어문학회 47 : 10-326, 2003
3 김광일, "한국전통문화의 정신분석" 교문사 1-561, 1991
4 송화섭, "한국의 마고할미 고찰" 한국역사민속학회 (27) : 127-171, 2008
5 이나미, "한국의 마고 여신에 관한 고찰: 한국 신화의 고태적 상징" 한국분석심리학회 24 (24): 151-173, 2009
6 권태효, "한국의 거인 설화" 역락 1-256, 2002
7 김광일, "한국신화의 정신분석학적 연구 - (1) Edipus 복합 -" 한국문화인류학회 2 : 27-46, 1969
8 서대석, "한국신화의 연구" 집문당 1-579, 2001
9 이부영, "한국민담의 심층분석" 집문당 1-318, 1995
10 강철중, "한국민담 「바늘 상자 속에 넣어 둔 눈알」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해석" 한국분석심리학회 23 (23): 20-49, 2008
11 박상학, "한국민담 “구복여행”의 분석심리학적 고찰" 한국분석심리학회 24 (24): 174-210, 2009
12 "한국구비문학대계, 1980-1992"
13 "한국구비문학대계"
14 홍태한, "한국 신모 신화(神母神話)의 변화상 연구" 경희대 인문학연구소 (3) : 183-200, 1999
15 이유경, "한국 민담에서 살펴본 여성의 부성 콤플렉스 -<심청전>과 <바리공주>중심으로" 한국분석심리학회 25 (25): 65-101, 2010
16 김영희, "한국 구전서사 속 여성 섹슈얼리티에 대한 신경증 탐색 -<월경혈 묻은 빗자루가 도깨비로 변하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5) : 45-89, 2012
17 류인균, "한국 고소설에 나타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서울대학교출판부 1-94, 2004
18 윤혜신, "한국 고대 여신의 유형과 역사적 先後 관계: 神格 획득방식을 기준으로" 국학연구원 (162) : 135-166, 2013
19 조두영, "프로이트와 한국문학" 일조각 1-444, 1999
20 張漢喆, "표해록" 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21 김현진, "토마스 만 소설의 정신분석적 연구 - 프로이트 , 라캉의 무의식론과 토마스만의 「트리스탄」" 한국독어독문학회 79 : 171-193, 2001
22 강상순, "조선후기 장편소설과 가족 로망스" 한국고전여성문학회 (7) : 33-64, 2003
23 현용준, "제주도 전설" 서문당 1-269, 2002
24 조현설, "웅녀·유화 신화의 행방과 사회적 차별의 체계" 한국구비문학회 9 : 1-20, 1999
25 조현설, "우리 신화의 수수께끼" 한겨레출판 1-309, 2006
26 박상란, "여성신화의 원리"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19 : 461-484, 1997
27 권태효, "여성거인설화의 자료 존재양상과 성격" 탐라문화연구소 (37) : 223-260, 2010
28 이강엽, "알레고리로서의 女神, 그 양상과 의미 -동아시아 신화의 경우-" 한국어문학회 (86) : 163-186, 2004
29 김현진, "시선을 중심으로 본 주체와 욕망의 메커니즘 - 자크 라캉의 시각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뷔히너학회 27 : 363-384, 2006
30 이성준, "설문대할망설화 연구: 特徵과 變異過程을 中心으로" 제주대 국문과 10 : 54-80, 1990
31 문영미, "설문대할망 설화 연구"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32 박종성, "비교신화의 관점에서 본 설문대할망" 한국구비문학회 (31) : 235-268, 2010
33 이부영, "분석심리학" 일조각 1-422, 1998
34 표인주, "부안 죽막동 수성당의 고고민속학적 고찰" 비교민속학회 15 : 285-311, 1998
35 송화섭, "부안 죽막동 수성당의 개양할미 고찰" 국립민속박물관 (22) : 81-106, 2008
36 최원오, "모성(母性)의 문화에 대한 신화적 담론: 모성의 기원과 원형" 한국고전여성문학회 0 (0): 185-222, 2007
37 조현설, "마고할미ㆍ개양할미ㆍ설문대할망 설문대할망 전승의 성격과 특징에 대하여" 민족문학사학회 (41) : 140-173, 2009
38 이창재, "동아시아 신화 해석을 위한 정신분석 관점 및 개념고찰" 한국기호학회 1 (1): 101-145, 2004
39 박찬부, "대타자에 대한 주체의 위치--라캉의 성 담론" 한국영어영문학회 51 (51): 69-98, 2005
40 李恩奉, "단군신화의 종교적 의미" 한국학중앙연구원 32 (32): 3-18, 1987
41 윤혜신, "귀신과 트라우마"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196, 2010
42 강상순, "고전소설 연구와 정신분석학의 접합, 그 가능성과 지점 및 한계들" 민족문학사학회 (39) : 320-359, 2009
43 윤혜신, "고대 여신, In 한국학 주제별 연구 매뉴얼" 한국학중앙연구원 80-127, 2010
44 김열규, "韓國의 神話" 일조각 1-203, 1976
45 김열규, "韓國民俗과 文學硏究" 일조각 1-321, 1971
46 김태곤, "韓國巫俗의 原型 硏究" 민속학회 12 : 29-62, 1980
47 천혜숙, "神話로 본 女界 神聖의 양상과 변모" 비교민속학회 17 : 53-73, 1999
48 金俊基, "神母神話 연구"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5
49 노사신, "東國輿地勝覽" 명문당 1981
50 이행, "新增 東國輿地勝覽, In 한국고전종합DB"
51 국사편찬위원회, "中國 正史 朝鮮傳 譯註 一" 신서원 1987
52 일연, "三國遺事" 이회문화사 2003
53 김부식, "三國史記" 솔 출판사 1997
54 윤혜신, "『於于野談』 소재 鬼神譚의 트라우마(trauma)적 성격" 대동문화연구원 (63) : 227-262, 2008
55 노제운, "「나무꾼과 선녀」,「우렁각시」 설화의 정신분석적 의미 비교연구" 민족어문학회 (57) : 5-39, 2008
56 노제운, "‘쥐 둔갑 설화’에 나타난 주체의 분열과 재현" 민족어문학회 41 : 193-209, 2000
57 천혜숙, "‘父性 不在’의 신화학과 聖母신앙의 문제" 한국역사민속학회 15 : 7-40, 2002
58 최상수, "[단행본] 한국민간전설집" 통문관 1-579, 1958
59 Malone, K., "The Subject of Lacan : A Lacanian Reader for Psychologist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388, 2000
60 M. Klein, "Some Reflection on The Oresteia 1963, Envy and Gratitude & Other Works: 1946-1963" The Free Press 275-299, 1975
61 Jacques Lacan, "Logical Time and the Assertion of Anticipated Certainty" W.W.Norton & Company 161-175, 2002
62 M. Esther Harding, "Les Mystères de la femme ; Woman’s Mysteries Ancient and Modern" Shambhala 1-256, 1990
63 Knowles, Murray, "Introducing Metaphor" Routledge 1-142, 2006
64 Dylan Evans, "An Introductory Dictionary of Lacanian Psychoanalysis" Routledge 1-264, 1996
65 조현설, "<해와 달이 된 오누이>형 민담의 창조신화적 성격 재론" 비교민속학회 (33) : 107-130,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