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클레르보 드 베르나르(Bernhardus de Clairvaux)의 신비 사상 이해를 위한 한 시도 -contemplativa vita et activa vita의 상호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686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베르나르의 사상은 오늘날 이중적인 형태, 즉 사변적 혹은 경험적, 정치적 혹은 신비적, 그리고 내적 혹은 외적으로 이해되고 있지만 본 연구는 이런 이중적인 이해를 통합해보려 했다. 이중적인 이해에 있어 그의 생애-교회정치가 혹은 수도사-가 큰 몫을 차지하고 있지만 사상적인 측면에서도 그러한 이해가 지배적이다. 특히 관상과 활동의 관계를 이해하는데도 관상의 우위에 두려는 경향으로 인해 앞선 연구자들은 마치 베르나르의 사상을 내적인 것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만들어 버렸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베르나르의 사상 관상의 우위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오늘날의 연구에 대한 비판적인 고찰에서 시작된 것이다.
      연구자는 본론의 첫 부분(Ⅱ장)에서 관상의 내적인 성향과 활동의 외적인 성향을 살피보고 관상적인 삶이 활동적인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혀보려 했다. 그 결과, 베르나르에게서 대체로 내적인 변화가 외적인 변화를 수반한다는 것이다. 내적인 것에서 외적인 것으로의 전환은 베르나르의 사상에서 수도원적인 사고의 표현이지만, 또한 그것은 자기애의 상실을 통한 이웃 사랑으로의 확장이며 종교적인 실천으로 표출되는 내적인 것과 외적인 것의 상호 공존한다는 것이다.
      연구자는 본론의 두 번째 부분(Ⅲ장)에서 사도직 안에서 관상과 활동과의 관계를 살폈다. 여기선 베르나르의 사도직에 대한 이해는 관상하는 삶을 전제로 한 활동하는 삶의 구현이다. 그것은 관상과 활동이 조화를 이룰 뿐만 아니라 수도원생활의 은둔적인 삶보다 세상 속에서 관상하는 삶을 통해 신적인 충만한 사랑을 다른 영혼들에게 전달하는 사역이다. 사도적인 삶의 형식은 중세 초기의 관상하는 삶을 넘어서 중세 후기로 이어지는 교량적 이해인 “관상하는 삶과 활동하는 삶의 혼합된 삶”이다.
      연구자는 본론의 세 번째(Ⅳ)에서 중세의 관상과 활동의 성서적인 모델로 적용된 마리아와 마르다와의 상호관계를 베르나르가 어떻게 이해했는가를 다루었다. 일반적으로 중세 신학자들은 두 인물을 관상과 활동의 대표적인 인물들로 해석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베르나르는 성서의 또 다른 인물인 욥을 등장 시켜 활동과 관상의 혼합적인 형태를 제시하면서 관상과 활동의 조화를 피력하고 있다. 여기서 그는 정화-관상-활동을 순서적으로 이해하지만 그것은 단지 순서적인 차이일 뿐 서열적인 차이가 아님을 밝힌다.
      번역하기

      베르나르의 사상은 오늘날 이중적인 형태, 즉 사변적 혹은 경험적, 정치적 혹은 신비적, 그리고 내적 혹은 외적으로 이해되고 있지만 본 연구는 이런 이중적인 이해를 통합해보려 했다. 이중...

      베르나르의 사상은 오늘날 이중적인 형태, 즉 사변적 혹은 경험적, 정치적 혹은 신비적, 그리고 내적 혹은 외적으로 이해되고 있지만 본 연구는 이런 이중적인 이해를 통합해보려 했다. 이중적인 이해에 있어 그의 생애-교회정치가 혹은 수도사-가 큰 몫을 차지하고 있지만 사상적인 측면에서도 그러한 이해가 지배적이다. 특히 관상과 활동의 관계를 이해하는데도 관상의 우위에 두려는 경향으로 인해 앞선 연구자들은 마치 베르나르의 사상을 내적인 것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만들어 버렸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베르나르의 사상 관상의 우위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오늘날의 연구에 대한 비판적인 고찰에서 시작된 것이다.
      연구자는 본론의 첫 부분(Ⅱ장)에서 관상의 내적인 성향과 활동의 외적인 성향을 살피보고 관상적인 삶이 활동적인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혀보려 했다. 그 결과, 베르나르에게서 대체로 내적인 변화가 외적인 변화를 수반한다는 것이다. 내적인 것에서 외적인 것으로의 전환은 베르나르의 사상에서 수도원적인 사고의 표현이지만, 또한 그것은 자기애의 상실을 통한 이웃 사랑으로의 확장이며 종교적인 실천으로 표출되는 내적인 것과 외적인 것의 상호 공존한다는 것이다.
      연구자는 본론의 두 번째 부분(Ⅲ장)에서 사도직 안에서 관상과 활동과의 관계를 살폈다. 여기선 베르나르의 사도직에 대한 이해는 관상하는 삶을 전제로 한 활동하는 삶의 구현이다. 그것은 관상과 활동이 조화를 이룰 뿐만 아니라 수도원생활의 은둔적인 삶보다 세상 속에서 관상하는 삶을 통해 신적인 충만한 사랑을 다른 영혼들에게 전달하는 사역이다. 사도적인 삶의 형식은 중세 초기의 관상하는 삶을 넘어서 중세 후기로 이어지는 교량적 이해인 “관상하는 삶과 활동하는 삶의 혼합된 삶”이다.
      연구자는 본론의 세 번째(Ⅳ)에서 중세의 관상과 활동의 성서적인 모델로 적용된 마리아와 마르다와의 상호관계를 베르나르가 어떻게 이해했는가를 다루었다. 일반적으로 중세 신학자들은 두 인물을 관상과 활동의 대표적인 인물들로 해석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베르나르는 성서의 또 다른 인물인 욥을 등장 시켜 활동과 관상의 혼합적인 형태를 제시하면서 관상과 활동의 조화를 피력하고 있다. 여기서 그는 정화-관상-활동을 순서적으로 이해하지만 그것은 단지 순서적인 차이일 뿐 서열적인 차이가 아님을 밝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dieser Arbeit handelt es sich um den Zusammenhang zwischen Contemplatio et Actio bei Bernhard von Clairvaux. Die heutigen Untersuchungen zu Bernhards Gedanken haben zwar verschiedene Richtungen, dennoch ist diese Studie auf die Harmonizierung seiner Gedanken, die zweifach - speculativ oder experimental, politisch oder mystisch, innerlich oder äußlich - begriffen wird, basiert. Daraus folgen einige wichtige Ergebnisse:
      Erstens, in Bernhards Denken äußert sich die Relation zwischen Innerlichem als contemplativer Eigenschaft und Äußerlichem als activer Eigenschaft. Hier gibt es keine Trennung, aber eine Kontuität der Contemplatio in der Actio. Die Contemplatio bleibt nicht einfach in dem inneren Leben, dennoch verursacht die Actio durch ihre Überfluss. Es ist zu sagen: die Actio ist ein äußlicher Ausdruck der inneren Contemplatio.
      Zweitens, seine Mystik basiert sich auf die biblischen und plotonischen Gedanken. Seine Hauptzitat aus der Bible ist LK 10:38-42. In seiner Interpretation unterscheidet sich das Leben der Maria von dem der Martha. Er verstandet Maria als vita contemplativa und Martha als vita activa. Bis vor Bernhard liegt die Primat der Maria vor Martha, aber er versucht beide Leben zu harmonieren. Daraus folgt, dass er keine Primat beider Leben, aber ihr harmonisches Verständnis erfodert.
      Drittens, seine Mystik hat zwar zweifache Seite - Spekulation or Erfahrung - dennoch fndet sich der Wechsel zur Erfahrung von der Spekulation. Jedenfalls vertrit sich dieser Gedanke in der Relation zwischen Contemplatio und Actio. Die Contemplatio gilt als Innerliche, die Actio als Äußerliche. In der Erklärung wird seine Intention erkannt, dass sein mystisches Leben nicht einfach in der Innerlichen bleibt, sondern sich als Action ausdruckt. Das heißt, über das klosterliche Leben zu reflektieren.
      Bernhards Mystik ist also folgende: 1. Harmonie zwischen Actio und Contemplatio. 2. Weschel zum Äußerlichen vom Innerlichen. 3. Reflektion über das klosterliche Leben. Hier basiert sich auf der Bible und der platonischen Gedanken.
      번역하기

      In dieser Arbeit handelt es sich um den Zusammenhang zwischen Contemplatio et Actio bei Bernhard von Clairvaux. Die heutigen Untersuchungen zu Bernhards Gedanken haben zwar verschiedene Richtungen, dennoch ist diese Studie auf die Harmonizierung seine...

      In dieser Arbeit handelt es sich um den Zusammenhang zwischen Contemplatio et Actio bei Bernhard von Clairvaux. Die heutigen Untersuchungen zu Bernhards Gedanken haben zwar verschiedene Richtungen, dennoch ist diese Studie auf die Harmonizierung seiner Gedanken, die zweifach - speculativ oder experimental, politisch oder mystisch, innerlich oder äußlich - begriffen wird, basiert. Daraus folgen einige wichtige Ergebnisse:
      Erstens, in Bernhards Denken äußert sich die Relation zwischen Innerlichem als contemplativer Eigenschaft und Äußerlichem als activer Eigenschaft. Hier gibt es keine Trennung, aber eine Kontuität der Contemplatio in der Actio. Die Contemplatio bleibt nicht einfach in dem inneren Leben, dennoch verursacht die Actio durch ihre Überfluss. Es ist zu sagen: die Actio ist ein äußlicher Ausdruck der inneren Contemplatio.
      Zweitens, seine Mystik basiert sich auf die biblischen und plotonischen Gedanken. Seine Hauptzitat aus der Bible ist LK 10:38-42. In seiner Interpretation unterscheidet sich das Leben der Maria von dem der Martha. Er verstandet Maria als vita contemplativa und Martha als vita activa. Bis vor Bernhard liegt die Primat der Maria vor Martha, aber er versucht beide Leben zu harmonieren. Daraus folgt, dass er keine Primat beider Leben, aber ihr harmonisches Verständnis erfodert.
      Drittens, seine Mystik hat zwar zweifache Seite - Spekulation or Erfahrung - dennoch fndet sich der Wechsel zur Erfahrung von der Spekulation. Jedenfalls vertrit sich dieser Gedanke in der Relation zwischen Contemplatio und Actio. Die Contemplatio gilt als Innerliche, die Actio als Äußerliche. In der Erklärung wird seine Intention erkannt, dass sein mystisches Leben nicht einfach in der Innerlichen bleibt, sondern sich als Action ausdruckt. Das heißt, über das klosterliche Leben zu reflektieren.
      Bernhards Mystik ist also folgende: 1. Harmonie zwischen Actio und Contemplatio. 2. Weschel zum Äußerlichen vom Innerlichen. 3. Reflektion über das klosterliche Leben. Hier basiert sich auf der Bible und der platonischen Gedanke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준섭, "삶의 스승과 실천적인 신비주의자로서 요하네스 타울러(Johannes Tauler)- “관상하는 삶(Vita contemplativa)과 행동하는 삶의 일치성(Vita activa)”을 중심으로" 한국교회사학회 27 (27): 93-125, 2010

      2 Benedictus of Nursia, "베네딕도 수도 규칙" 분도출판사 2009

      3 Leclercq, J, "Toward a soci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various Saint Bernards, In Bernardus Magister" Cistercian Publications 1992

      4 Gilson, É., "The Mystical Theology of Saint Bernard" Cistercian Publications 1990

      5 Berhard von Clairvaux, "Sämtliche Werke II, V, VI, IX(Latein/Deustch)" Tyrolia 1998

      6 James, B. S., "Saint Bernard of Clairvaux: An Essey in Biography" Haper & Brothers Publishers 1957

      7 Köpf, U., "Religiöse Erfahrung in der Theologie Berhards von Clairvaux" J. C. B. Mohr 1980

      8 Merton, T., "On St. Bernard" Cistercin Publications 1980

      9 Flasch, K., "Geschichte der abendländischen Mystik I: Die Grundlegung durch die Kichenväter und die Mönchstheologie des 12. Jahrhunderts" Verlag C.H.Beck 2001

      10 Fuhrmann,H., "Deutsche Geschichte im hohen Mittelalter" Vandenhoeck & Ruprecht 1978

      1 이준섭, "삶의 스승과 실천적인 신비주의자로서 요하네스 타울러(Johannes Tauler)- “관상하는 삶(Vita contemplativa)과 행동하는 삶의 일치성(Vita activa)”을 중심으로" 한국교회사학회 27 (27): 93-125, 2010

      2 Benedictus of Nursia, "베네딕도 수도 규칙" 분도출판사 2009

      3 Leclercq, J, "Toward a soci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various Saint Bernards, In Bernardus Magister" Cistercian Publications 1992

      4 Gilson, É., "The Mystical Theology of Saint Bernard" Cistercian Publications 1990

      5 Berhard von Clairvaux, "Sämtliche Werke II, V, VI, IX(Latein/Deustch)" Tyrolia 1998

      6 James, B. S., "Saint Bernard of Clairvaux: An Essey in Biography" Haper & Brothers Publishers 1957

      7 Köpf, U., "Religiöse Erfahrung in der Theologie Berhards von Clairvaux" J. C. B. Mohr 1980

      8 Merton, T., "On St. Bernard" Cistercin Publications 1980

      9 Flasch, K., "Geschichte der abendländischen Mystik I: Die Grundlegung durch die Kichenväter und die Mönchstheologie des 12. Jahrhunderts" Verlag C.H.Beck 2001

      10 Fuhrmann,H., "Deutsche Geschichte im hohen Mittelalter" Vandenhoeck & Ruprecht 1978

      11 Heer, F., "Der Aufgang Europas" Europa-Verl 1949

      12 Köpf, U, "Bernhardus von Clairvaux: Monastische Theologie, In Theologen des Mittelalter: Eine Einführung"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2002

      13 Sommerfeldt, J. R., "Bernhardus Magister" Cistercian Publications 1992

      14 Diers, M., "Bernhard von Clairvaux: Elitäre Frömmigkeit und Begnadetes Wirkens" Aschendorf Münster 1991

      15 Bredero,A. H, "Bernhard von Clairvaux im Widerstreit der Historie" Zabern 1966

      16 Flasch, K., "Bernhard of Clairvaux: Between Cult and History" T & T Clark 1996

      17 Leclercq, J, "Berhard von Clairvaux: Mystiker und Mann der Tat" Neue Stadt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9 0.19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2 0.452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