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lberto Ginastera의 Piano Sonata No.1 , Op.22에 나타난 민속적인 요소와 현대적인 요소 고찰 = A Study on the appear folk elements and modern elements in the works of Alberto Ginastera by Piano Sonata No.1, Op.2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2558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20th century nationalistic and Argentina representive composer Alberto Ginastera(1916-1983) composed many works by combination of many techniques of Argentin’s folk music and modern music.

      His work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each, objective nationalism, subjective nationalism, and Neo-expressionism.

      In objective nationalism period, Argentina folk elements directly showed and Incas 5 scale, Malambo rhythms was used characteristically. In subjective nationalism period that he had been in the United States, folk element was expressed indirectly and transitional figure to Expressionism shows and open code, 5 scale system was used, which was supposed to come from Africa.

      In Neo- Expressionism period, which modern elements was used in most portion of his works rather than the folk element by using of 12-tone technique, transposition, backward and so on. His works were more closer to modernism. Also in this period, he completed Opera in addition to the piano works, and he tried to new tones in combination of traditional and modern style. This sonata No.1 is appeared a proper musical harmony between folk music elements and modern music expression on the basis of classical sonata form. Twelve tone was used for th first time in this work.

      The work is composed with the use of the elements of folk music, such as hemiola, Malambo rhythm and the elements of modern music were used twelve tone technique and atonality.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help the performers effectively play by searching how can each techniques and elements like folk music technique of Argentina and modern music technique of 20th century, be appeared in Ginastera’s Piano Sonata No. 1 .
      번역하기

      The 20th century nationalistic and Argentina representive composer Alberto Ginastera(1916-1983) composed many works by combination of many techniques of Argentin’s folk music and modern music. His work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each, obj...

      The 20th century nationalistic and Argentina representive composer Alberto Ginastera(1916-1983) composed many works by combination of many techniques of Argentin’s folk music and modern music.

      His work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each, objective nationalism, subjective nationalism, and Neo-expressionism.

      In objective nationalism period, Argentina folk elements directly showed and Incas 5 scale, Malambo rhythms was used characteristically. In subjective nationalism period that he had been in the United States, folk element was expressed indirectly and transitional figure to Expressionism shows and open code, 5 scale system was used, which was supposed to come from Africa.

      In Neo- Expressionism period, which modern elements was used in most portion of his works rather than the folk element by using of 12-tone technique, transposition, backward and so on. His works were more closer to modernism. Also in this period, he completed Opera in addition to the piano works, and he tried to new tones in combination of traditional and modern style. This sonata No.1 is appeared a proper musical harmony between folk music elements and modern music expression on the basis of classical sonata form. Twelve tone was used for th first time in this work.

      The work is composed with the use of the elements of folk music, such as hemiola, Malambo rhythm and the elements of modern music were used twelve tone technique and atonality.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help the performers effectively play by searching how can each techniques and elements like folk music technique of Argentina and modern music technique of 20th century, be appeared in Ginastera’s Piano Sonata No. 1 .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목적과 의의 1
      • 2. 연구 방법과 내용 1
      • Ⅱ. 본 론 2
      • Ⅰ. 서 론 1
      • 1. 연구목적과 의의 1
      • 2. 연구 방법과 내용 1
      • Ⅱ. 본 론 2
      • 1. 20C 현대음악 예술사조 2
      • (1) 인상주의 3
      • (2) 민족주의 4
      • (3) 12음 기법 5
      • (4) 표현주의 6
      • (5) 우연성 음악 6
      • (6) 미니멀 음악 7
      • 2. 아르헨티나 민속음악 8
      • (1) 인디안 음악 9
      • 1) 크레올 음악 9
      • 2) 메스티조 음악 10
      • (2) 스페인 음악 11
      • 1) 토나다 12
      • 2) 마람보 13
      • (3) 아프리카 음악 13
      • 3. A. Ginastera의 생애와 음악양식 14
      • (1) Ginastera 생애 14
      • (2) 시기별 음악양식 15
      • 1) 객관적 민족주의 15
      • 2) 주관적 민족주의 16
      • 3) 신 표현주의 17
      • 4. Piano Sonata No. 1, Op.22 19
      • (1) 작품 개요 19
      • (2) 작품 분석 19
      • 1) 1악장 19
      • 2) 2악장 32
      • 3) 3악장 40
      • 4) 4악장 46
      • Ⅲ. 결 론 57
      • <참고문헌> 59
      • Abstract(영문초록) 61
      • <표 목차>
      • <표 1> Malambo 리듬의 패턴 13
      • <표 2> 주요 객관적 민족주의 작품 16
      • <표 3> 주요 주관적 민족주의 작품 17
      • <표 4> 주요 신표현주의 작품 18
      • <표 5> 1악장에서의 민속적인 요소와 현대적인 요소 31
      • <표 6> 2악장에서의 민속적인 요소와 현대적인 요소 39
      • <표 7> 3악장에서의 현대적인 요소 46
      • <표 8> 4악장에서의 현대적인 요소 56
      • <그림 목차>
      • <그림 1> 비달라 민요 선율 10
      • <그림 2> 야라비 선율 11
      • <그림 3> 토나다 선율 12
      • <그림 4> 제시부 제 1주제 1-4마디 20
      • <그림 5> 악보2 제 1악장 9-11마디 21
      • <그림 6> 제1악장 23-28마디 21
      • <그림 7> 제1악장 28-35마디 22
      • <그림 8> 제 1악장 35-46마디 23
      • <그림 9> 제1악장 46-55마디 24
      • <그림 10> 제 1악장 56-66마디 악구의 변화 25
      • <그림 11> 제1악장 67-76마디 26
      • <그림 12> 제1악장 81-96마디 27
      • <그림 13> 제1악장 97-104마디 28
      • <그림 14> 제1악장 128-142마디 29
      • <그림 15> 제1악장 184-188마디 30
      • <그림 16> 제1악장 200-204마디 Coda 31
      • <그림 17> 악보 제 2악장 1-9마디(12음렬에 의한 주제 motive) 32
      • <그림 18> 제2악장 15-20마디 33
      • <그림 19> 제2악장 30-36마디 33
      • <그림 20> 제2악장 40-49마디 34
      • <그림 21> 제2악장 45-59마디 35
      • <그림 22> 제2악장 60-64마디 경과구 36
      • <그림 23> 제2악장 85-90마디 36
      • <그림 24> 제2악장 109-110마디 Zamba rhythm, 기타 코드 37
      • <그림 25> 제2악장 162-166마디 37
      • <그림 26> 제2악장 167-172마디 분석 38
      • <그림 27> 제2악장 183-192마디 Coda 39
      • <그림 28> 제3악장 1-6마디 40
      • <그림 29> 제3악장 12-17마디 41
      • <그림 30> 제3악장 21-33마디 42
      • <그림 31> 제3악장 34-36마디 43
      • <그림 32> 제3악장 40-44마디 B부분의 주제 재등장 44
      • <그림 33> 제3악장 57-70마디 45
      • <그림 34> 제4악장 1-5마디 47
      • <그림 35> 제4악장 18-29마디 47
      • <그림 36> 제4악장 24-39마디 48
      • <그림 37> 제4악장 41-55마디 49
      • <그림 38> 제4악장 61-74마디 50
      • <그림 39> 제4악장 90-99마디 51
      • <그림 40> 제4악장 100-107마디 52
      • <그림 41> 제4악장 134-143마디 53
      • <그림 42> 제4악장 21-22마디와 156-157마디 53
      • <그림 43> 제4악장 159-166마디 54
      • <그림 44> 제4악장 171-184마디 5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