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부모 모자가정의 가정환경변인, 유아변인 및 어머니 변인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 관련성: 이혼가정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 mental health of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and parenting on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 in divorced famil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404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 mental health of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and parenting on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 in 147 divorced families. Preschooler's age range was from 2 years old to 5 years ol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in middle class showed more controlling parenting and promoted more for children's dependency on their mothers. Preschoolers in middle class showed more external behavior problems than those in poverty. Second, social support, economic support from ex-husband, child custody, preschooler's difficult temperament, mother's alcohol abuse, dysfunctional parenting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both preschooler'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heoretical and therapeutical implications for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in divorced family of results a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 mental health of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and parenting on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 in 147 divorced families. Preschooler's age range was from 2 years old to 5 y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 mental health of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and parenting on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 in 147 divorced families. Preschooler's age range was from 2 years old to 5 years ol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in middle class showed more controlling parenting and promoted more for children's dependency on their mothers. Preschoolers in middle class showed more external behavior problems than those in poverty. Second, social support, economic support from ex-husband, child custody, preschooler's difficult temperament, mother's alcohol abuse, dysfunctional parenting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both preschooler'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heoretical and therapeutical implications for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in divorced family of results a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가 이혼한 후 어머니가 자녀양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부모 모자가정 147명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정환경(근로소득, 이혼 후 양육기간, 사회적 지원, 전 배우자의 경제적 지원, 전 배우자와 자녀 간 만남), 유아변인(까다로운 기질, 정서조절), 및 어머니 변인(어머니 정신건강; 우울, 알코올 의존, 양육스트레스, 양육신념; 과다애정 경계, 훈육/통제 중시, 양육태도; 긍정적 평가, 평등주의, 엄격함, 간섭, 의존성 조장,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 관련성이 어떠한 지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정환경 변인 중 사회적 지원, 전 배우자와 자녀와의 만남 유무, 유아변인 중 유아의 까다로운 기질, 어머니 변인 중 어머니의 알코올 의존과 양육스트레스, 지나친 훈육과 통제를 중시하는 양육태도가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유형별로 각 변인의 영향력 측면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의 이혼으로 인한 한부모 모자가정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각 유형에 따른 중재와 개입을 위한 상담 및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논의들이 제안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부모가 이혼한 후 어머니가 자녀양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부모 모자가정 147명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정환경(근로소득, 이혼 후 양육기간, 사회적 지원, 전 배우자의 경제적 지원, 전...

      본 연구는 부모가 이혼한 후 어머니가 자녀양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부모 모자가정 147명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정환경(근로소득, 이혼 후 양육기간, 사회적 지원, 전 배우자의 경제적 지원, 전 배우자와 자녀 간 만남), 유아변인(까다로운 기질, 정서조절), 및 어머니 변인(어머니 정신건강; 우울, 알코올 의존, 양육스트레스, 양육신념; 과다애정 경계, 훈육/통제 중시, 양육태도; 긍정적 평가, 평등주의, 엄격함, 간섭, 의존성 조장,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 관련성이 어떠한 지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정환경 변인 중 사회적 지원, 전 배우자와 자녀와의 만남 유무, 유아변인 중 유아의 까다로운 기질, 어머니 변인 중 어머니의 알코올 의존과 양육스트레스, 지나친 훈육과 통제를 중시하는 양육태도가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유형별로 각 변인의 영향력 측면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의 이혼으로 인한 한부모 모자가정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각 유형에 따른 중재와 개입을 위한 상담 및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논의들이 제안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진아, "한부모 모자가정 유아와 어머니의 정신건강 및 모-자녀관계 실태조사: 사회계층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14 (14): 759-778, 2009

      2 보건복지가족부, "한국 아동청소년 종합실태조사 보고서" 2009

      3 이영문, "한 도시지역 저소득층 주민의 정신 건강 수준" 38 (38): 1234-1244, 1999

      4 이경숙, "저소득층 이혼여성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관한 연구" 338-339, 2005

      5 정지연, "저소득층 이혼가정 아동의 사회적지지 및 문제해결력이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16 (16): 491-504, 2007

      6 이종한, "이혼제도와 실태" 5 (5): 59-83, 2000

      7 이훈구,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효과에 관한 개관 연구"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0 (10): 47-53, 2004

      8 박한샘, "이혼부모의 자녀양육관련 상담분석; 사이버상담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상담원 11 (11): 137-151, 2003

      9 유정이, "이혼경험에 대한 질적분석- 부모자녀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157-176, 2006

      10 최혜영, "이혼가족 아동의 복리 증진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 135-148, 2009

      1 박진아, "한부모 모자가정 유아와 어머니의 정신건강 및 모-자녀관계 실태조사: 사회계층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14 (14): 759-778, 2009

      2 보건복지가족부, "한국 아동청소년 종합실태조사 보고서" 2009

      3 이영문, "한 도시지역 저소득층 주민의 정신 건강 수준" 38 (38): 1234-1244, 1999

      4 이경숙, "저소득층 이혼여성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관한 연구" 338-339, 2005

      5 정지연, "저소득층 이혼가정 아동의 사회적지지 및 문제해결력이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16 (16): 491-504, 2007

      6 이종한, "이혼제도와 실태" 5 (5): 59-83, 2000

      7 이훈구,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효과에 관한 개관 연구"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0 (10): 47-53, 2004

      8 박한샘, "이혼부모의 자녀양육관련 상담분석; 사이버상담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상담원 11 (11): 137-151, 2003

      9 유정이, "이혼경험에 대한 질적분석- 부모자녀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157-176, 2006

      10 최혜영, "이혼가족 아동의 복리 증진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 135-148, 2009

      11 주소희, "이혼가정자녀의 부모 이혼 후 심리사회적응을 위한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9 (9): 78-106, 2002

      12 조경미, "이혼가정 청소년과 양부모 가정 청소년의 정신 건강, 행동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12 (12): 543-551, 2003

      13 이경숙, "이혼 후 편모 양육 아동과 일반 아동의 심리사회적 특성 비교: 가족지각, 문제행동, 성격" 90-91, 2005

      14 정문자, "이혼 부모와 자녀의 건강한 사회적응을 위한 통합적 집단치료 모형 개발" 대한가정학회 43 (43): 161-183, 2005

      15 박경자, "이혼 가족 아동. -한국아동의 현재와 미래-" 91-93, 2009

      16 김승경, "이혼 가정 아동의 탄력성에 대한 위험-보호요인들 간의 경로분석" 한국아동학회 26 (26): 261-278, 2005

      17 이순형, "아동의 성별, 부모의 이혼 및 아동의 부모 양육행동 지각이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181-192, 2006

      18 옥선화, "빈곤 여성가장의 모-자녀 관계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7 (7): 55-78, 2002

      19 문혁준, "부모의 효율적 훈육태도에 관련된 변인분석" 22 (22): 5-50, 2001

      20 서지영, "부모의 이혼이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유연성 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21 유안진, "부모의 이혼여부에 따른 청소년의 우울지작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교우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25 (25): 191-204, 2004

      22 "경향신문"

      23 Wallerstein, J. S, "The unexpected legacy of divorce: Report of a 25-year study" 21 (21): 353-, 2004

      24 Wallerstein, J. S, "The overburdened child: Some long-term consequences of divorce" 30 : 116-123, 1985

      25 McLoyd, V. C, "The impact of economic hardship on black families and children: Psychological distress, parenting,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61 : 311-326, 1990

      26 Gove, W. R, "The effect of marriage on the well-being of adults" 11 : 4-35, 1990

      27 Gucciardi, E., "Single-mother families in Canada" 95 (95): 70-74, 2004

      28 Osborn, A. F, "Resilient children: A longitudinal study of high achieving socially disadvantage children" 62 : 23-47, 1990

      29 McLeod, J. D, "Poverty, parenting and children's mental health" 58 (58): 351-366, 1993

      30 Amato, P. R, "Parental divorce and the well-being of children: A meta-analysis" 110 (110): 26-46, 1991

      31 Emery, R. E, "Parental divorce and children's well-being: A focus on resilience. In Stress, risk, and resilie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4-99, 1994

      32 Werner, E. E, "Overcoming the odds: High risk children from birth to adulthood.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92

      33 Wolchick, S. A, "Maternal acceptance and consistency of discipline as buffers of divorce stressors on children's psychological adjustment problems" 28 (28): 87-102, 2000

      34 Hetherington, E. M, "Long-term effects of divorce and remarriage on the adjustment of children" 24 : 518-530, 1985

      35 Gilman, S. E, "Family disruption in childhood and risk of adult depression" 160 (160): 939-1006, 2003

      36 Kurdek, L, "Children's beliefs about parental divorce scale: Psychometric characteristic and concurrent validity" 55 (55): 712-718, 1987

      37 Kelly, J. E, "Children's adjustment in conflicted marriage and divorce: A decade review of research" 39 : 963-973, 2000

      38 Hetherington, E. M, "An overview of the Virginia longitudinal study of divorce and remarriage with a focus in early adolescence" 7 : 39-56, 1993

      39 통계청, "2008년 이혼 통계결과"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1.04 1.316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