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보영재아동의 정보과목과 과학과목의 상관관계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277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영재교육은 정부방침에 따라 융합형태의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에 있어 서 정보과목과 과학과목(물리, 화학, 생물, 지학)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내 한 대학부 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정보영재아동을 대상으로 재학기간의 성적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정보과 목과 생물과목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즉 정보과목을 잘하면 생물과목도 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머지 물리, 화학 및 지구과학과목에 대해서는 상관관계가 없음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정보영재교육에 있 어서 과학과목의 비중, 교육내용의 구성 등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번역하기

      현재 영재교육은 정부방침에 따라 융합형태의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에 있어 서 정보과목과 과학과목(물리, 화학, 생물, 지학)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현재 영재교육은 정부방침에 따라 융합형태의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에 있어 서 정보과목과 과학과목(물리, 화학, 생물, 지학)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내 한 대학부 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정보영재아동을 대상으로 재학기간의 성적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정보과 목과 생물과목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즉 정보과목을 잘하면 생물과목도 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머지 물리, 화학 및 지구과학과목에 대해서는 상관관계가 없음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정보영재교육에 있 어서 과학과목의 비중, 교육내용의 구성 등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ly gifted education aims for convergent gifted education according to government polic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orrelation of information subject and science subject(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geology) for the gifted children in IT. For this purpose, the gifted children in IT who attended a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attached to a university at Seoul Metropolitan Area are selected. Their grades during their the period of attendance are collected and analysed. The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information subject and biology subject for the gifted children in IT. It means that the higher scores information subject is, the higher scores biology subject is. The results can be used to make or change gifted curriculum and education contents for gifted IT education.
      번역하기

      Currently gifted education aims for convergent gifted education according to government polic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orrelation of information subject and science subject(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geology) for the gift...

      Currently gifted education aims for convergent gifted education according to government polic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orrelation of information subject and science subject(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geology) for the gifted children in IT. For this purpose, the gifted children in IT who attended a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attached to a university at Seoul Metropolitan Area are selected. Their grades during their the period of attendance are collected and analysed. The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information subject and biology subject for the gifted children in IT. It means that the higher scores information subject is, the higher scores biology subject is. The results can be used to make or change gifted curriculum and education contents for gifted IT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관련연구
      • 2.1 정보영재의 조건 및 특성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관련연구
      • 2.1 정보영재의 조건 및 특성
      • 2.2 정보영재의 정의
      • 2.3 과학영재의 정의 및 특성
      • 2.4 정보영재와 일반영재의 특성 비교분석
      • 2.5 선행연구
      • 3. 정보영재아동의 정보성적과 과학성적 상관관계
      • 3.1 대상학교 및 분석대상
      • 3.2 수행평가 및 평가기준
      • 3.3 상관관계분석
      • 4.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소아, "초등정보영재의 동기와 부모지지에 따른 창의적 산출물 성취도 차이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 (17): 41-51, 2014

      2 최미향, "초등과학영재 특성 도출을 위한 탐구활동에서의 담화분석" 한국영재학회 20 (20): 369-388, 2010

      3 김갑수, "정보영재아들의 인지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7 (17): 191-198, 2013

      4 전우천, "정보영재아동의 프로그래밍 능력과 논리적 사고능력 상관관계 분석 연구" 한국영재학회 21 (21): 761-772, 2011

      5 전우천, "정보영재아동의 과목별 성적 상관관계 분석 연구" 한국영재학회 23 (23): 407-419, 2013

      6 서성원, "관찰평가를 통한 정보과학영재의 특성 분석" 한국정보통신학회 13 (13): 1973-1979, 2009

      7 이영주, "과학영재의 인지특성 및 성격변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재학회 23 (23): 523-535, 2013

      8 송순현, "과학영재 고등학생과 일반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풍경구성법 반응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영재학회 24 (24): 313-333, 2014

      9 정덕호,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진로 상담 네트워크 특성" 한국영재학회 25 (25): 21-36, 2015

      10 Oh, S. K., "The Definition and Judgment System of a Computer-gifted Student" Sungkyunkwan University 2002

      1 곽소아, "초등정보영재의 동기와 부모지지에 따른 창의적 산출물 성취도 차이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 (17): 41-51, 2014

      2 최미향, "초등과학영재 특성 도출을 위한 탐구활동에서의 담화분석" 한국영재학회 20 (20): 369-388, 2010

      3 김갑수, "정보영재아들의 인지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7 (17): 191-198, 2013

      4 전우천, "정보영재아동의 프로그래밍 능력과 논리적 사고능력 상관관계 분석 연구" 한국영재학회 21 (21): 761-772, 2011

      5 전우천, "정보영재아동의 과목별 성적 상관관계 분석 연구" 한국영재학회 23 (23): 407-419, 2013

      6 서성원, "관찰평가를 통한 정보과학영재의 특성 분석" 한국정보통신학회 13 (13): 1973-1979, 2009

      7 이영주, "과학영재의 인지특성 및 성격변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재학회 23 (23): 523-535, 2013

      8 송순현, "과학영재 고등학생과 일반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풍경구성법 반응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영재학회 24 (24): 313-333, 2014

      9 정덕호,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진로 상담 네트워크 특성" 한국영재학회 25 (25): 21-36, 2015

      10 Oh, S. K., "The Definition and Judgment System of a Computer-gifted Student" Sungkyunkwan University 2002

      11 Kim, S. J.,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Students and Independent Study Skill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5

      12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ducation Guide Manual"

      13 Tak, J. S., "EEG Differences between Gifted Students and Average Ones in Information Scienc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0

      14 Choi, Y. S.,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Elementary School in Computers" 9 (9): 289-297, 2004

      15 Yu, K. M., "A Study on the Outlook of Computer Teachers on Gifted Education in Information Science" Hanyang University 2003

      16 Yang, T. Y., "A Comparative Study on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ally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Inchon University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1 1.25 1.991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