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Computational Thinking의 개념을 활용한 정보영재 판별도구의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277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 알고리즘 능력을 측정하여 정보 영재를 판별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판별 도구는 Computational Thinking의 Concept을 재구성하여 해당 영역이 중점적으로 포함되어있는 문항을 제작하였다. 문항의 유형을 단일 속성 문항, 복합 동일 속성 문항, 복합 집중 속성 문항으로 나누어 세분화하였으며 문제 해결 방식을 전체 스크립트 제작, 스크립트의 일부 수정, 스크립트의 결과 추측하기로 나누어 스크래치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개발한 판별도구를 영재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 알고리즘 능력을 측정하여 정보 영재를 판별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판별 도구는 Computational Thinking의 Concept을 재구성하여 해당 영역이 중점적으로 포함되어있는 문항을 ...

      본 연구에서 알고리즘 능력을 측정하여 정보 영재를 판별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판별 도구는 Computational Thinking의 Concept을 재구성하여 해당 영역이 중점적으로 포함되어있는 문항을 제작하였다. 문항의 유형을 단일 속성 문항, 복합 동일 속성 문항, 복합 집중 속성 문항으로 나누어 세분화하였으며 문제 해결 방식을 전체 스크립트 제작, 스크립트의 일부 수정, 스크립트의 결과 추측하기로 나누어 스크래치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개발한 판별도구를 영재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oposed new approach for the information gifted discrimination test using EPL. We tried to distinguish high level thinking in the information gifted through test of this study. We categorized testing tool according to context type: simple attribute problem, complex same attribute problem, complex focus attribute problem, mathematic-verbal ability required problem. And testing tool divided into modifying scripts, guess scripts’s result, using scratch program. In the effectiveness test of proposed tool, we confirmed content validity and credibility.
      번역하기

      This study proposed new approach for the information gifted discrimination test using EPL. We tried to distinguish high level thinking in the information gifted through test of this study. We categorized testing tool according to context type: simple...

      This study proposed new approach for the information gifted discrimination test using EPL. We tried to distinguish high level thinking in the information gifted through test of this study. We categorized testing tool according to context type: simple attribute problem, complex same attribute problem, complex focus attribute problem, mathematic-verbal ability required problem. And testing tool divided into modifying scripts, guess scripts’s result, using scratch program. In the effectiveness test of proposed tool, we confirmed content validity and credibi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2.1 정보영재의 판별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2.1 정보영재의 판별
      • 2.2 EPL과 스크래치
      • 2.3 Computational Thinking
      • 3. 정보영재 판별 도구의 개발
      • 3.1 판별 요소 설정
      • 3.2 판별 문항의 구조와 설계
      • 3.3 판별 문항의 개발
      • 3.4 판별 문항 개발
      • 4. 연구결과의 적용 및 분석
      • 4.1 대상자 선정
      • 4.2 판별 도구 적용 결과 및 분석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선관, "초등 SW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19 (19): 187-196, 2015

      2 류미영, "초등 SW교육을 위한 CT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19 (19): 11-20, 2015

      3 한선관, "언플러그드 컴퓨팅과 EPL을 이용한 초등정보영재교육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15 (15): 31-38, 2011

      4 김수환, "스크래치데이 참여학생들의 SW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8 (18): 461-470, 2014

      5 Lee, H. K., "Study on the Status of Elementary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formation" 19 (19): 479-502, 2004

      6 Kim, J. H., "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Korea University 2008

      7 한선관, "EPL을 활용한 수학문제해결 통합교육프로그램의 학년 수준 비교" 한국정보교육학회 14 (14): 311-318, 2010

      8 김수환, "Computational Thinking 향상을 위한 디자인기반 학습" 한국정보교육학회 16 (16): 319-326, 2012

      9 Wing, J. M., "Computational Thinking" 49 (49): 33-35, 2006

      10 Karen, B., "Computational Thinki ng, ScratchEd Webinar Series"

      1 한선관, "초등 SW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19 (19): 187-196, 2015

      2 류미영, "초등 SW교육을 위한 CT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19 (19): 11-20, 2015

      3 한선관, "언플러그드 컴퓨팅과 EPL을 이용한 초등정보영재교육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15 (15): 31-38, 2011

      4 김수환, "스크래치데이 참여학생들의 SW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8 (18): 461-470, 2014

      5 Lee, H. K., "Study on the Status of Elementary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formation" 19 (19): 479-502, 2004

      6 Kim, J. H., "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Korea University 2008

      7 한선관, "EPL을 활용한 수학문제해결 통합교육프로그램의 학년 수준 비교" 한국정보교육학회 14 (14): 311-318, 2010

      8 김수환, "Computational Thinking 향상을 위한 디자인기반 학습" 한국정보교육학회 16 (16): 319-326, 2012

      9 Wing, J. M., "Computational Thinking" 49 (49): 33-35, 2006

      10 Karen, B., "Computational Thinki ng, ScratchEd Webinar Series"

      11 조성환, "CPS에 기반한 스크래치 EPL이 문제해결력과 프로그래밍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 12 (12): 77-88,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1 1.25 1.991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