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러 디스플레이 제품을 위한 GUI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 척추 기능 평가 서비스를 중심으로 = GUI Design Guidelines for Mirror Display Products -Focus on Spinal Function Assessment Serv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616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dvancement of multimedia has led to the emergence of various display technologies beyond traditional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developed for commercial purposes. Unlike conventional one-way LCDs, these new technologies leverage the environment and user appearance as additional elements for information provision. Despite the rapid development of these display technologies, there is insufficient emphasis on the service provision environment for products utilizing them. Specifically, GUI design, crucial for user-product interaction, has predominantly focused on the service UIs of past LCD methods rather than evolving interfaces.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ppropriate GUI design principles for services provided in the widely distributed and commercialized mirror display environment.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including literature review and evaluation of existing mirror display products, this study examines the overall mirror display product environment and develops GUI design guidelines for new mirror display products. Given the scarcity of prior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GUI design in mirror display environments, this research analyzed GUI components from actual mirror display application case products to identify common characteristics.
      Based on these findings, GUI design guidelines for mirror display products were developed, followed by usability evaluations to validate these guidelines. To gather detailed user perspectives, questionnaire evaluations and Think Aloud evaluations were conducted, leading to the formulation of GUI design principles for mirror display products. The final results include a spine function evaluation service, providing a design format aligned with the service information encountered by users during their service search, spine function evaluation, and result review processe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offers a standard for service interface design in the novel mirror display environment and serves as foundational data for interface design research focused on new interaction technologies, moving beyond traditional service-oriented UI design research frameworks.
      번역하기

      The advancement of multimedia has led to the emergence of various display technologies beyond traditional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developed for commercial purposes. Unlike conventional one-way LCDs, these new technologies leverage the environm...

      The advancement of multimedia has led to the emergence of various display technologies beyond traditional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developed for commercial purposes. Unlike conventional one-way LCDs, these new technologies leverage the environment and user appearance as additional elements for information provision. Despite the rapid development of these display technologies, there is insufficient emphasis on the service provision environment for products utilizing them. Specifically, GUI design, crucial for user-product interaction, has predominantly focused on the service UIs of past LCD methods rather than evolving interfaces.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ppropriate GUI design principles for services provided in the widely distributed and commercialized mirror display environment.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including literature review and evaluation of existing mirror display products, this study examines the overall mirror display product environment and develops GUI design guidelines for new mirror display products. Given the scarcity of prior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GUI design in mirror display environments, this research analyzed GUI components from actual mirror display application case products to identify common characteristics.
      Based on these findings, GUI design guidelines for mirror display products were developed, followed by usability evaluations to validate these guidelines. To gather detailed user perspectives, questionnaire evaluations and Think Aloud evaluations were conducted, leading to the formulation of GUI design principles for mirror display products. The final results include a spine function evaluation service, providing a design format aligned with the service information encountered by users during their service search, spine function evaluation, and result review processe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offers a standard for service interface design in the novel mirror display environment and serves as foundational data for interface design research focused on new interaction technologies, moving beyond traditional service-oriented UI design research framework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멀티미디어의 발전과 함께 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디스플레이의 기술이 점차 발전하면서 기존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넘어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기술이 등장하고 상용화를 목적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미러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단방향 정보제공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한계를 넘어 환경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습을 정보제공의 또 다른 요소로 활용하여 확장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기술적인 장점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꾸준한 개발 및 연구를 통해 등장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에 비해 이를 활용한 제품의 서비스 제공환경에 대해서는 많은 관심과 중요성이 강조되지 않고 있다. 특히 사용자와 제품 간의 인터렉션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하는 GUI 디자인의 경우, 디스플레이 등의 인터페이스 발전에 비해 여전히 과거의 액정 디스플레이 방식의 서비스 UI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그와 상호작용하는 사용자의 경험이 강조되므로,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 환경에서의 GUI 디자인 원칙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디스플레이 기술 중 보편적으로 보급되어 상용화된 미러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올바른 GUI 디자인 원칙을 도출하고자, 문헌 연구를 비롯한 미러 디스플레이 제품 환경을 전반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미러 디스플레이 제품을 위한 GUI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미러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GUI 디자인의 특성을 분석한 기존 선행 연구가 부족하므로 실제 제작된 미러 디스플레이 적용사례 제품을 중심으로 GUI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이의 공통적인 특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특징을 기반으로 미러 디스플레이 제품의 GUI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사용자 관점의 의견을 수집하기 위해 설문 평가 및 Think Aloud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수집한 의견의 특징을 정리하여 미러 디스플레이 제품의 GUI 디자인 원칙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 결과물인 척추 기능 평가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서비스를 탐색하고, 척추 기능 평가를 수행하며, 그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접하는 서비스 정보에 따른 디자인형식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미러 디스플레이라는 새로운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서비스 인터페이스 설계의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기존의 서비스 중심 UI 디자인 연구 형식을 벗어나 새로운 상호작용 기술 중심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번역하기

      멀티미디어의 발전과 함께 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디스플레이의 기술이 점차 발전하면서 기존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넘어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기술이 등장하고 상용화를 목적으로...

      멀티미디어의 발전과 함께 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디스플레이의 기술이 점차 발전하면서 기존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넘어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기술이 등장하고 상용화를 목적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미러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단방향 정보제공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한계를 넘어 환경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습을 정보제공의 또 다른 요소로 활용하여 확장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기술적인 장점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꾸준한 개발 및 연구를 통해 등장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에 비해 이를 활용한 제품의 서비스 제공환경에 대해서는 많은 관심과 중요성이 강조되지 않고 있다. 특히 사용자와 제품 간의 인터렉션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하는 GUI 디자인의 경우, 디스플레이 등의 인터페이스 발전에 비해 여전히 과거의 액정 디스플레이 방식의 서비스 UI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그와 상호작용하는 사용자의 경험이 강조되므로,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 환경에서의 GUI 디자인 원칙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디스플레이 기술 중 보편적으로 보급되어 상용화된 미러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올바른 GUI 디자인 원칙을 도출하고자, 문헌 연구를 비롯한 미러 디스플레이 제품 환경을 전반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미러 디스플레이 제품을 위한 GUI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미러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GUI 디자인의 특성을 분석한 기존 선행 연구가 부족하므로 실제 제작된 미러 디스플레이 적용사례 제품을 중심으로 GUI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이의 공통적인 특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특징을 기반으로 미러 디스플레이 제품의 GUI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사용자 관점의 의견을 수집하기 위해 설문 평가 및 Think Aloud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수집한 의견의 특징을 정리하여 미러 디스플레이 제품의 GUI 디자인 원칙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 결과물인 척추 기능 평가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서비스를 탐색하고, 척추 기능 평가를 수행하며, 그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접하는 서비스 정보에 따른 디자인형식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미러 디스플레이라는 새로운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서비스 인터페이스 설계의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기존의 서비스 중심 UI 디자인 연구 형식을 벗어나 새로운 상호작용 기술 중심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