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주의 중심 이동` 서사와 로컬리티(Locality)의 균열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국 서사에 재현된 ‘우주의 중심 이동’이라는 신화적 사건에 주목한다. 특히 마을 중심산이 어디선가 떠내려와 ‘지금 여기’에 있게 되었다거나 마고할미 등의 존재가 마을 중심산을 ‘이곳’에 옮겨 두었다는 내용의 구술 서사가 이 글의 주요 분석 대상이다. 이 글에서는 이들 이야기의 서사적 구성과 연행 및 전승 조건을 분석하여 신화적 사건인 ‘우주의 중심 이동’이 해당 지역 공동체에서 어떤 사회적 효과를 만들어내는지 ‘로컬리티(locality)’의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들 이야기가 재현하는 로컬리티의 서사는 연행 및 전승 주체가 속한 공동체의 우주가 중심에 대한 주변으로 설정되었다는 내용으로 구성된다.〈떠내려온 산〉에서는 이와 같은 내용이 더욱 명확하게 드러나는데, 특히 이 이야기에서는 주변부 정체성의 열등감과 피해의식이 현재적 한계의 모든 과오를 여성에게 돌리는 젠더 전략을 통해 회피되거나 방어된다.
      이들 이야기의 연행 및 전승 동력은 마을 공동체 및 마을 우주에 대한 자부심인데 이것은 중심에 대한 종속과 대내적 결속-내부의 차이를 배제하고 균질화하는-을 부추긴다는 점에서 중심-주변, 지배-종속의 이분법을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낸다. 그러나 다른 한편 이 구도에 균열을 만드는 역동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밀양 동북부 지역에서 전승되는〈경주산〉이야기에서는 이와 같은 자부심이 중심에 대한 도전과 승리의 서사로 표출된다. 이 승리는 어린 아이에 의해 주도됨으로써 더욱 극적으로 형상화되며, 산세(山稅)나 지세(地稅) 등 실제 현실에서 직면하는 계층적인 이슈와 맞물리면서 신화적 사건이 사회정치적 사건으로 재담론화되는 국면을 보여준다. 주변부 로컬리티 내부에서 나타나는 이와 같은 균열은 중심-주변의 논리를 완전히 해체하는 새로운 단계로 나아가지는 못하지만 이른바 ‘지형 전설’류 이야기에 개입된 로컬 구도의 안정성을 뒤흔든다는 점에서 충분히 문제적이다.
      번역하기

      이 글은 한국 서사에 재현된 ‘우주의 중심 이동’이라는 신화적 사건에 주목한다. 특히 마을 중심산이 어디선가 떠내려와 ‘지금 여기’에 있게 되었다거나 마고할미 등의 존재가 마을 중...

      이 글은 한국 서사에 재현된 ‘우주의 중심 이동’이라는 신화적 사건에 주목한다. 특히 마을 중심산이 어디선가 떠내려와 ‘지금 여기’에 있게 되었다거나 마고할미 등의 존재가 마을 중심산을 ‘이곳’에 옮겨 두었다는 내용의 구술 서사가 이 글의 주요 분석 대상이다. 이 글에서는 이들 이야기의 서사적 구성과 연행 및 전승 조건을 분석하여 신화적 사건인 ‘우주의 중심 이동’이 해당 지역 공동체에서 어떤 사회적 효과를 만들어내는지 ‘로컬리티(locality)’의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들 이야기가 재현하는 로컬리티의 서사는 연행 및 전승 주체가 속한 공동체의 우주가 중심에 대한 주변으로 설정되었다는 내용으로 구성된다.〈떠내려온 산〉에서는 이와 같은 내용이 더욱 명확하게 드러나는데, 특히 이 이야기에서는 주변부 정체성의 열등감과 피해의식이 현재적 한계의 모든 과오를 여성에게 돌리는 젠더 전략을 통해 회피되거나 방어된다.
      이들 이야기의 연행 및 전승 동력은 마을 공동체 및 마을 우주에 대한 자부심인데 이것은 중심에 대한 종속과 대내적 결속-내부의 차이를 배제하고 균질화하는-을 부추긴다는 점에서 중심-주변, 지배-종속의 이분법을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낸다. 그러나 다른 한편 이 구도에 균열을 만드는 역동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밀양 동북부 지역에서 전승되는〈경주산〉이야기에서는 이와 같은 자부심이 중심에 대한 도전과 승리의 서사로 표출된다. 이 승리는 어린 아이에 의해 주도됨으로써 더욱 극적으로 형상화되며, 산세(山稅)나 지세(地稅) 등 실제 현실에서 직면하는 계층적인 이슈와 맞물리면서 신화적 사건이 사회정치적 사건으로 재담론화되는 국면을 보여준다. 주변부 로컬리티 내부에서 나타나는 이와 같은 균열은 중심-주변의 논리를 완전히 해체하는 새로운 단계로 나아가지는 못하지만 이른바 ‘지형 전설’류 이야기에 개입된 로컬 구도의 안정성을 뒤흔든다는 점에서 충분히 문제적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narrative and performance of the oral-narratives having a mythological motif of “the moving of the center of the universe(axis mundi)”. This analysis is focused on two stories. In one story, a woman-she is to be a sacred being-witnessed a mythological accident of a mountain floating down. The mountain stopped on the spot where it stands today. This was very long ago and the mountain has been there since then. The name of this story is “the mountain floating down”. Another story is is called “the Mountain Gyeongju”. This story is about a sacred grandmother named “Gyeongju-Halmi(경주할미)”, a goddess who created the universe. She laid the Gyeongju Mountain by carrying it with her to the spot where it stands today. The mountain has been there since then, which was very long ago.
      Both of the stories are about the mythological origins of the mountains which were the centers of the world of the local communities. The mountains represent the history and the tradition of the communities as sacred symbols. They are very much involved in locality: composing identity, presenting collective memory, integrating society, and combining individuals into groups. The performance of these oral-narratives produces the local subjects. The identity of the locals which are presented in two stories is based on the sense that local subjects consider themselves as the surrounding while they consider locals as center in another.
      In the former narrative “the mountain floating down”, the locality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center and circumference tend to be settled and expanded. But in the latter narrative “the mountain Gyeongju”, the symptom of the fissure breaking the locality of center and circumference can be seen. We can ascertain that the sense against the structure of center and circumference is beginning to spring up by analysis of the latter story.
      번역하기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narrative and performance of the oral-narratives having a mythological motif of “the moving of the center of the universe(axis mundi)”. This analysis is focused on two stories. In one story, a woman-she is to be a...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narrative and performance of the oral-narratives having a mythological motif of “the moving of the center of the universe(axis mundi)”. This analysis is focused on two stories. In one story, a woman-she is to be a sacred being-witnessed a mythological accident of a mountain floating down. The mountain stopped on the spot where it stands today. This was very long ago and the mountain has been there since then. The name of this story is “the mountain floating down”. Another story is is called “the Mountain Gyeongju”. This story is about a sacred grandmother named “Gyeongju-Halmi(경주할미)”, a goddess who created the universe. She laid the Gyeongju Mountain by carrying it with her to the spot where it stands today. The mountain has been there since then, which was very long ago.
      Both of the stories are about the mythological origins of the mountains which were the centers of the world of the local communities. The mountains represent the history and the tradition of the communities as sacred symbols. They are very much involved in locality: composing identity, presenting collective memory, integrating society, and combining individuals into groups. The performance of these oral-narratives produces the local subjects. The identity of the locals which are presented in two stories is based on the sense that local subjects consider themselves as the surrounding while they consider locals as center in another.
      In the former narrative “the mountain floating down”, the locality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center and circumference tend to be settled and expanded. But in the latter narrative “the mountain Gyeongju”, the symptom of the fissure breaking the locality of center and circumference can be seen. We can ascertain that the sense against the structure of center and circumference is beginning to spring up by analysis of the latter sto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우주의 중심 이동’이라는 신화적 사건
      • Ⅲ. ‘떠내려온 산’ 이야기의 연행과 중심-주변의 문제
      • Ⅳ. 밀양 ‘경주산’ 이야기의 연행과 탈주변부 로컬리티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우주의 중심 이동’이라는 신화적 사건
      • Ⅲ. ‘떠내려온 산’ 이야기의 연행과 중심-주변의 문제
      • Ⅳ. 밀양 ‘경주산’ 이야기의 연행과 탈주변부 로컬리티
      • Ⅴ. ‘우주의 중심 이동’과 로컬리티(locality)의 분열
      • Ⅵ. 나오며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태효, "한국의 거인 설화" 역락 1-214, 2002

      2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탈근대 탈중심의 로컬리티" 혜안 1-364, 2010

      3 엘리아데, "종교형태론" 한길사 26-421, 1996

      4 에밀 뒤르케임, "종교 생활의 원초적 형태" 민영사 1-611, 1992

      5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장소성의 형성과 재현" 혜안 1-401, 2010

      6 심재중, "영원회귀의 신화" 이학사 1-189, 2003

      7 천혜숙, "여성신화연구1: 대모신 상징과 그 변용" 안동대 민속학연구소 1 : 103-126, 1991

      8 조지프 켐벨, "신화의 이미지" 살림 1-435, 2006

      9 조지프 켐벨, "신화의 세계" 까치 1-209, 1998

      10 엘리아데, "신화와 현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244, 1985

      1 권태효, "한국의 거인 설화" 역락 1-214, 2002

      2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탈근대 탈중심의 로컬리티" 혜안 1-364, 2010

      3 엘리아데, "종교형태론" 한길사 26-421, 1996

      4 에밀 뒤르케임, "종교 생활의 원초적 형태" 민영사 1-611, 1992

      5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장소성의 형성과 재현" 혜안 1-401, 2010

      6 심재중, "영원회귀의 신화" 이학사 1-189, 2003

      7 천혜숙, "여성신화연구1: 대모신 상징과 그 변용" 안동대 민속학연구소 1 : 103-126, 1991

      8 조지프 켐벨, "신화의 이미지" 살림 1-435, 2006

      9 조지프 켐벨, "신화의 세계" 까치 1-209, 1998

      10 엘리아데, "신화와 현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244, 1985

      11 천혜숙, "신화로 본 여계신성의 양상과 변모" 비교민속학회 17 : 53-73, 1999

      12 엘리아데, "성과 속-종교의 본질" 학민사 1-34, 1996

      13 현승환, "섬이동 설화고" 제주도연구회 7 : 318-322, 1990

      14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선망과 질시의 로컬리티" 소명출판 1-357, 2013

      15 엘리아데, "상징, 신성, 예술" 서광사 1-189, 1991

      16 질베르 뒤랑,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문학동네 183-188, 2007

      17 일연, "삼국유사" 을유문화사 1-505, 1994

      18 김영희, "비극적 구전서사의 연행과 '여성의 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19 김영희, "마을 지형 및 지명 유래담의 공동체 구성력 탐구" 비교민속학회 (46) : 603-641, 2011

      20 강진옥, "마고할미설화에 나타난 여성신 관념" 민속학회 25 : 185-234, 1993

      21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로컬리티, 인문학의 새로운 지평" 혜안 1-319, 2009

      22 레비스트로스, "구조인류학" 종로서적 1-369, 1983

      23 류지석, "공간의 사유와 공간이론의 사회적 전유" 소명출판 1-287, 2013

      24 권태효, "거인설화적 관점에서 본 산이동설화의 성격과 변이" 구비문학회 4 : 215-249,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4 0.79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