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에듀테인먼트 분야의 국내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것으로,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4년까지의 15년간의 에듀테인먼트 분야의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109개를 선정하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25872
2015
Korean
37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86-101(16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에듀테인먼트 분야의 국내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것으로,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4년까지의 15년간의 에듀테인먼트 분야의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109개를 선정하여 ...
본 연구의 목적은 에듀테인먼트 분야의 국내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것으로,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4년까지의 15년간의 에듀테인먼트 분야의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109개를 선정하여 발행연도, 구현유형, 연구대상(학습자, 콘텐츠), 연구방법, 교육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듀테인먼트 연구의 구현유형은 웹, 컴퓨터, CD타이틀에서 애니메이션, 체험활동, 모바일 중심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에듀테인먼트 연구의 학습자 동향은 학위논문에서는 유아.아동과 초등학생의 비율이 높았고 학술지 논문에서는 전체 연령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다. 그리고 에듀테인먼트 연구의 콘텐츠 분석에서는 학위논문은 영어, 콘텐츠 전반, 국어의 순서로 비율이 높았고 학술지 논문에서는 콘텐츠 전반, 영어의 순서로 비율이 높았다. 셋째, 에듀테인먼트 연구의 연구방법과 학습자 간, 연구방법과 콘텐츠 간의 교차분석 결과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넷째, 에듀테인먼트 연구에서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진 교육효과는 학습에 대한 관심.참여와 학업점수 향상이었다. 다섯째, 에듀테인먼트의 연구방법과 교육효과 간의 분석에서는 문헌고찰과 설문.면담으로 연구를 수행한 경우에는 학습에 대한 관심.참여를, 현장에 에듀테인먼트를 투입하여 측정.평가한 연구는 학업점수의 향상을 더욱 비중 있게 다룬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터한 제언들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에듀테인먼트의 개념을 명확히 규명하고 이를 안전하게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후속연구들이 절실히 요청된다. 둘째, 온라인 활동과 오프라인 활동이 스마트기반이나 모바일 기반으로 연계되는 블렌디드형 에듀테인먼트와 창의적 체험활동 등과 연계된 교육현장 연계 강화형 에듀테인먼트 등에 대한 연구들이 요청된다. 셋째, 에듀테인먼트에 대한 교육현장의 인식과 태도, 요구 조사 등과 같은 연구들과 에듀테인먼트의 장단점과 스마트 시대의 부작용들을 극복할 수 있는 교육 커뮤니티 등에 대한 이해와 연구들이 나와야 할 때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educational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edutainment through analyzing recent researches. This study analyzed 109 theses and articles according to publication year, learners and co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educational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edutainment through analyzing recent researches. This study analyzed 109 theses and articles according to publication year, learners and contents, and accounted for recent research trends using a frequency analysis. Addition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and educational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edutainment using a crossover analysi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dutainment application types changed from web-based, computer and CD models to activity-based animation for mobile devices. Second, the theses focused on children and elementary students learning English, focusing on the whole learner and on general content. Third, the correlation results between edutainment and learner and edutainment and contents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as were the results of crossover analysis. Fourth, the educational effects from edutainment were concentrated in increasing attention and participation to learning for both learners and content application. Fifth, in relation to the application edutainment and its educational effects, researches and focused surveys have increased its interesting in learners’ attention and participation to learning, while researches of filed application have mainly studied the increasing scores for academic achievement.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future studies should clearly define and expand the application of the edutainment concept to include to all educational fields. Second, future studies should investigate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the various types of edutainment such as blending smart devices with field activity, and the edutainment with formal curriculum (ex. creative field activity) and local community. Third, future studies should measure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field-applied edutainment. These researches will play a role for coping with negative results from universally using smart devices and frequently applying edutainment in the near future.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식, "한국교육공학 연구 동향 분석" 12 (12): 173-193, 1996
2 신나민, "한국 원격교육 연구의 동향과 전망 : 1985-2005년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1 (21): 195-227, 2005
3 김영환, "학교현장의 스마트 교육 정착 방안 탐색 모색을 위한 제언" 7 (7): 31-46, 2014
4 전영국, "필리핀 학교에서 적용한 에듀테인먼트 기반의 로봇 AEEP 사례에 대한 형성 평가" 과학교육연구소 53 (53): 77-93, 2014
5 김영환, "취약계층 포함 초등․중학생 집단의 다문화 인식변화를 위한 APEC 에듀테인먼트교류프로그램 적용 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 (20): 423-452, 2014
6 이건남, "초등학생 대상의 체험학습 연구동향"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5 (15): 229-248, 2009
7 정지언, "초ㆍ중등학교에서의 프로젝트기반 블렌디드 국제교류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교사의 직무분석: AEEP를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소 51 (51): 215-230, 2012
8 진영은, "자기주도학습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및 과제"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221-249, 2007
9 황정숙, "유아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7 (7): 19-35, 2007
10 이상수, "웹기반 교육의 최근 연구동향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1 (21): 229-254, 2005
1 김동식, "한국교육공학 연구 동향 분석" 12 (12): 173-193, 1996
2 신나민, "한국 원격교육 연구의 동향과 전망 : 1985-2005년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1 (21): 195-227, 2005
3 김영환, "학교현장의 스마트 교육 정착 방안 탐색 모색을 위한 제언" 7 (7): 31-46, 2014
4 전영국, "필리핀 학교에서 적용한 에듀테인먼트 기반의 로봇 AEEP 사례에 대한 형성 평가" 과학교육연구소 53 (53): 77-93, 2014
5 김영환, "취약계층 포함 초등․중학생 집단의 다문화 인식변화를 위한 APEC 에듀테인먼트교류프로그램 적용 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 (20): 423-452, 2014
6 이건남, "초등학생 대상의 체험학습 연구동향"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5 (15): 229-248, 2009
7 정지언, "초ㆍ중등학교에서의 프로젝트기반 블렌디드 국제교류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교사의 직무분석: AEEP를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소 51 (51): 215-230, 2012
8 진영은, "자기주도학습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및 과제"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221-249, 2007
9 황정숙, "유아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7 (7): 19-35, 2007
10 이상수, "웹기반 교육의 최근 연구동향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1 (21): 229-254, 2005
11 박성택, "온라인게임 기반 에듀테인먼트에 관한 태도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251-263, 2012
12 백영균, "에듀테인먼트의 이해와 활용" 도서출판 정일 2005
13 김영환, "에듀테인먼트 파크 :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3 (3): 3-19, 2010
14 안성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기획" 커뮤티케이션북스 2008
15 김영환, "에듀테인먼트 관련 연구를 통한 에듀테인먼트 재개념화에 대한 검토 -최근 6년 간(2008-2013년)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 (20): 621-648, 2014
16 김영환, "에듀테인먼트 개념의 재개념화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173-192, 2008
17 이용배, "애니메이션의 장르와 역사" 살림출판사 2003
18 김건희, "스마트러닝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특수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 : 2000-2012년 국내 논문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191-218, 2013
19 임희석, "스마트 교육 : 스마트하게 가르쳐라" 휴먼싸이언스 2012
20 김영순, "문화산업과 에듀테인먼트콘텐츠" 한국문화사 2008
21 이효림, "문학적 접근을 활용한 유아 창의성 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315-334, 2013
22 송상호, "로봇활용수업의 에듀테인먼트적 특성 탐색"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8 (18): 389-416, 2012
23 송상호, "디지털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개념과 발전방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159-188, 2008
24 유명식, "남경필, 군포에 ‘에듀테인먼트 테마파크 구상’"
25 정지은, "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동향 분석: 창의성 교육의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659-682, 2012
26 허희옥, "교육정보미디어 분야의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189-212, 2006
27 봉미미, "교육공학 연구에 관한 이론적 고찰" 34 (34): 41-70, 2003
28 박양주, "‘교육공학연구’에 나타난 최근의 국내 교수설계 관련 연구 주제의 동향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7 (27): 449-474, 2011
29 Phipps, R., "What's the difference? A review of contemporary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distanc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30 Corona, F., "The new frontiers of edutainment :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and socio-cultural phenomenon over time of globalization" 7 : 408-411, 2011
31 Rapeepisarn, K.,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learn through play and edutainment" 28-32, 2006
32 Addis, M., "New technologies and cultural consumption–edutainment is born!" 39 (39): 729-736, 2005
33 Driscoll, M. P., "New research paradigms in instructional technology : an inquiry" 47 (47): 7-18, 1999
34 Maximov, V., "Need Assessments for Designing APEC Edutainment Exchange Program(AEEP)in Sakha" 24 (24): 163-180, 2014
35 송연옥, "ICT 교수·학습 측면에서 본 국내 수업모형 연구동향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539-548, 2014
36 McClarty, K. L., "Gaming In Education" Pearson 2012
37 Charsky, D., "Games are made for fun : lessons on the effects of concept maps in the classroom use of computer games" 56 : 604-615, 2011
38 Resnick, M., "Edutainment? No thanks. I prefer playful learning" Lifelong kindergarten group 2004
39 Garret, M., "Edutainment : the challenge" 8 (8): 3-7, 1996
40 Cai, Y., "Bio-edutainment : Learning life science through X gaming" 30 : 3-9, 2006
41 박경민, "APEC Edutainment Exchange Program(AEEP) 기반 디지털 직업체험관 설계원리 탐색" 원격교육연구소 10 (10): 91-117, 2014
42 한국콘텐츠진흥원, "2014년 콘텐츠 산업 전망보고서" 문화관광체육부, 한국콘텐츠진흥원 2014
과학예술 융합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키네틱 아트를 중심으로
메타포 분석을 활용한 현재교육체제와 미래교육체제의 이미지 차이 분석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1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2 | 1.16 | 1.396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