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실행기능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274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and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o do this, the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ree main variables for 47 dyads of children in the 1st and 2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ir mothers.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how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influences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how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nfluences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whether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o research about this study, the following measures were used. First,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was measured by using ‘Parent Meta-Emotion Interview (PMEI)’ developed by Katz and Gottman (1986)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Nahm (2006). Also,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coded and analyzed by using ‘Meta-Emotion Coding System’ developed by Katz et al. (1994)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Nahm (2006). Next,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was measured by using ‘Korean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Preschool Version (K-BRIEF-P)’ translated to suit the domestic situation by Seo Jung Eun and Park Hye Won (2011), which was developed by Gioia et al. (2003) and validated for 2~6 ages of preschoolers by Isquith et al. (2004). Finally,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was measured by using ‘School Life Adjustment Scale’ developed by Jung Soo Kyung (2011) who referred to school life adjustment tests used in previous studies and suited 1st grade children based on expert advice.
      The study’s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and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o begin with, whe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mother’s acceptance of their own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inhibition, emotional control and working memory in their executive function. Also,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emotional control and planning-organization in their executive function. Next, whe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other’s acceptance of their own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adjustment to friends at school. Also,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adjustment to learning at school. Finally, whe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and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ll sub-factors of the children’s inhibition, shifting, emotional control, working memory and planning-organization in their executive function and the children’s adjustment to friends, learning and rules at school.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between the three variables of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and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o begin with, when examining the effect of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the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increased the level of the children’s emotional control in their executive function. In addition, this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also increased the level of the children’s planning-organization. Next, when examining the effect of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did not directly influence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Finally, when examining the effect of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on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he children’s emotional control in their executive func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level of the children’s adjustment to learning at school.
      Third,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plays th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As a result, the children’s emotional control in their executive function played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adjustment to learning at school. In other words, it shows that the mother’s high level of the emotion coaching can improve her child’s adjustment to learning by positively influencing his/her ability to control emotions. Also, the children’s planning-organization played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and the children’s adjustment to friends. In other words, it shows that the mother’s high level of the emotion coaching can improve her child’s adjustment to friends by positively influencing his/her ability to plan and organiz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his study carries large significance in that it clearly revealed that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plays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path from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to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his suggests that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plays a key role more than any other factor in successfully adjusting to their school life, such as learning actively and forming intimate relationships at school, and that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indirectly influences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Second, this study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it is the only study to examine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s a factor which can positively influence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highly related to early school-ag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s materials for constructing improving programs of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emotion coaching in preparing educational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to increase the level of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n the future.
      Third, this study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results that can help improve school life problems and maladaptive behaviors of children in the post-Corona era by examining the school life adjustment of early school-age children most influenced by Corona 19.
      Finally, this study used semi-structured interview to measure the higher cognitive concept of emotions of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so that we could collect rich qualitative data regarding the mother's own and their child’s emotional experiences, especially negative emotions. In addition, it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this study secured objectivity and validity of evaluation by analyzing them through a repeatedly verified coding system.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and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children’s executive func...

      The present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and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o do this, the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ree main variables for 47 dyads of children in the 1st and 2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ir mothers.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how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influences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how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nfluences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whether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o research about this study, the following measures were used. First,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was measured by using ‘Parent Meta-Emotion Interview (PMEI)’ developed by Katz and Gottman (1986)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Nahm (2006). Also,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coded and analyzed by using ‘Meta-Emotion Coding System’ developed by Katz et al. (1994)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Nahm (2006). Next,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was measured by using ‘Korean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Preschool Version (K-BRIEF-P)’ translated to suit the domestic situation by Seo Jung Eun and Park Hye Won (2011), which was developed by Gioia et al. (2003) and validated for 2~6 ages of preschoolers by Isquith et al. (2004). Finally,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was measured by using ‘School Life Adjustment Scale’ developed by Jung Soo Kyung (2011) who referred to school life adjustment tests used in previous studies and suited 1st grade children based on expert advice.
      The study’s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and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o begin with, whe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mother’s acceptance of their own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inhibition, emotional control and working memory in their executive function. Also,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emotional control and planning-organization in their executive function. Next, whe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other’s acceptance of their own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adjustment to friends at school. Also,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adjustment to learning at school. Finally, whe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and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ll sub-factors of the children’s inhibition, shifting, emotional control, working memory and planning-organization in their executive function and the children’s adjustment to friends, learning and rules at school.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between the three variables of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and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o begin with, when examining the effect of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the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increased the level of the children’s emotional control in their executive function. In addition, this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also increased the level of the children’s planning-organization. Next, when examining the effect of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did not directly influence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Finally, when examining the effect of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on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he children’s emotional control in their executive func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level of the children’s adjustment to learning at school.
      Third,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plays th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As a result, the children’s emotional control in their executive function played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adjustment to learning at school. In other words, it shows that the mother’s high level of the emotion coaching can improve her child’s adjustment to learning by positively influencing his/her ability to control emotions. Also, the children’s planning-organization played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and the children’s adjustment to friends. In other words, it shows that the mother’s high level of the emotion coaching can improve her child’s adjustment to friends by positively influencing his/her ability to plan and organiz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his study carries large significance in that it clearly revealed that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plays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path from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to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his suggests that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plays a key role more than any other factor in successfully adjusting to their school life, such as learning actively and forming intimate relationships at school, and that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indirectly influences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Second, this study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it is the only study to examine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s a factor which can positively influence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highly related to early school-ag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s materials for constructing improving programs of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emotion coaching in preparing educational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to increase the level of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n the future.
      Third, this study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results that can help improve school life problems and maladaptive behaviors of children in the post-Corona era by examining the school life adjustment of early school-age children most influenced by Corona 19.
      Finally, this study used semi-structured interview to measure the higher cognitive concept of emotions of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so that we could collect rich qualitative data regarding the mother's own and their child’s emotional experiences, especially negative emotions. In addition, it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this study secured objectivity and validity of evaluation by analyzing them through a repeatedly verified coding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실행기능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아동의 실행기능이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과 그의 어머니 47쌍을 대상으로 주요 세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실행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아동의 실행기능이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나아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실행기능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고찰을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은 Katz와 Gottman(1986)이 개발한 부모 상위정서 인터뷰(Parent Meta-Emotion Interview: PMEI)를 Nahm(2006)이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후 인터뷰 내용은 Katz 외 연구진(1994)이 개발하고 Nahm(2006)이 한국어로 번안한 상위정서 코딩시스템(Meta-Emotion Coding System)을 사용하여 코딩 및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아동의 실행기능은 Gioia 외 연구진(2003)이 개발한 실행기능 행동평정 척도(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 BRIEF)를 Isquith 외 연구진(2004)이 만 2~6세 유아용(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Preschool: BRIEF-P)으로 타당화하고 서정은과 박혜원(2011)이 국내 상황에 맞도록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은 정수경(2011)이 이전 연구들에서 사용되었던 학교생활적응 검사들을 참고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1학년에게 적합하도록 개발한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실행기능,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먼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실행기능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어머니 자신의 정서수용은 아동의 실행기능 중 억제, 감정통제, 작업기억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자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실행기능 중 감정통제, 계획조직화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어머니 자신의 정서수용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중 친구에 대한 적응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자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중 학습에 대한 적응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실행기능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실행기능 중 억제, 전환, 감정통제, 작업기억, 계획조직화의 모든 하위요인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중 친구에 대한 적응, 학습에 대한 적응, 규칙에 대한 적응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실행기능, 학교생활적응의 세 변인 간의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먼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자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실행기능 중 감정통제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자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계획조직화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실행기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아동의 실행기능 중 감정통제는 학교생활적응 중 학습에 대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실행기능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자녀의 정서코칭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중 학습에 대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실행기능 중 감정통제가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높은 수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감정통제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학습에 대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자녀의 정서코칭과 친구에 대한 적응 간의 관계에서 계획조직화가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높은 수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계획조직화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친구에 대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으로부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이르는 경로에서 아동의 실행기능이 완전 매개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명확히 밝혔다는 데 의의가 크다. 이는 아동이 학교에서 적극적으로 학습에 임하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등 학교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데 다른 어떤 요인보다 아동의 실행기능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본 연구는 학령초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과 관련이 높은 실행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을 살펴본 유일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아동의 실행기능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 및 상담 개입을 마련하는 데 있어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및 감정코칭 향상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부터 가장 큰 영향을 받은 학령초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코로나 이후 시대의 아동의 학교생활 문제와 부적응적인 행동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라는 정서에 대한 상위인지적 개념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사용함으로써 어머니 자신과 자녀의 정서적인 경험, 특히 부정적인 정서에 대한 가치 및 신념과 관련된 풍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또한 수집된 인터뷰 내용을 반복적으로 검증된 코딩시스템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평정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실행기능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아동의 실행기능이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본 연구는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실행기능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아동의 실행기능이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과 그의 어머니 47쌍을 대상으로 주요 세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실행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아동의 실행기능이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나아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실행기능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고찰을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은 Katz와 Gottman(1986)이 개발한 부모 상위정서 인터뷰(Parent Meta-Emotion Interview: PMEI)를 Nahm(2006)이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후 인터뷰 내용은 Katz 외 연구진(1994)이 개발하고 Nahm(2006)이 한국어로 번안한 상위정서 코딩시스템(Meta-Emotion Coding System)을 사용하여 코딩 및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아동의 실행기능은 Gioia 외 연구진(2003)이 개발한 실행기능 행동평정 척도(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 BRIEF)를 Isquith 외 연구진(2004)이 만 2~6세 유아용(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Preschool: BRIEF-P)으로 타당화하고 서정은과 박혜원(2011)이 국내 상황에 맞도록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은 정수경(2011)이 이전 연구들에서 사용되었던 학교생활적응 검사들을 참고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1학년에게 적합하도록 개발한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실행기능,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먼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실행기능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어머니 자신의 정서수용은 아동의 실행기능 중 억제, 감정통제, 작업기억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자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실행기능 중 감정통제, 계획조직화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어머니 자신의 정서수용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중 친구에 대한 적응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자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중 학습에 대한 적응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실행기능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실행기능 중 억제, 전환, 감정통제, 작업기억, 계획조직화의 모든 하위요인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중 친구에 대한 적응, 학습에 대한 적응, 규칙에 대한 적응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실행기능, 학교생활적응의 세 변인 간의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먼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자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실행기능 중 감정통제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자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계획조직화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실행기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아동의 실행기능 중 감정통제는 학교생활적응 중 학습에 대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실행기능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자녀의 정서코칭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중 학습에 대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실행기능 중 감정통제가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높은 수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감정통제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학습에 대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자녀의 정서코칭과 친구에 대한 적응 간의 관계에서 계획조직화가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높은 수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계획조직화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친구에 대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으로부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이르는 경로에서 아동의 실행기능이 완전 매개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명확히 밝혔다는 데 의의가 크다. 이는 아동이 학교에서 적극적으로 학습에 임하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등 학교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데 다른 어떤 요인보다 아동의 실행기능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본 연구는 학령초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과 관련이 높은 실행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을 살펴본 유일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아동의 실행기능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 및 상담 개입을 마련하는 데 있어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및 감정코칭 향상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부터 가장 큰 영향을 받은 학령초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코로나 이후 시대의 아동의 학교생활 문제와 부적응적인 행동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라는 정서에 대한 상위인지적 개념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사용함으로써 어머니 자신과 자녀의 정서적인 경험, 특히 부정적인 정서에 대한 가치 및 신념과 관련된 풍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또한 수집된 인터뷰 내용을 반복적으로 검증된 코딩시스템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평정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ⅰ
      • 논문개요 ⅵ
      • Ⅰ. 서론 1
      • 목차 ⅰ
      • 논문개요 ⅵ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이론적 배경 9
      • 1)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9
      • 2) 아동의 실행기능 13
      • 3)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17
      • 4)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실행기능,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19
      • (1)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실행기능 19
      • (2)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22
      • (3) 아동의 실행기능과 학교생활적응 24
      • (4)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실행기능 및 학교생활적응 25
      • 3. 연구문제 27
      • Ⅱ. 연구방법 28
      • 1. 연구대상 28
      • 2. 연구도구 31
      • 1)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31
      • (1) 어머니 자신의 정서에 대한 상위정서철학 32
      • (2) 자녀의 정서에 대한 상위정서철학 34
      • 2) 아동의 실행기능 36
      • 3)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38
      • 3. 자료분석 40
      • Ⅲ. 연구결과 41
      • 1.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실행기능, 학교생활적응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42
      • 1) 주요변인의 기술통계 42
      • 2)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실행기능, 학교생활적응 간의 상관관계 44
      • 2.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47
      • 3.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49
      • 4. 아동의 실행기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51
      • 5.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실행기능의 매개적 역할 검증 53
      • 1) 자녀의 정서코칭과 학습에 대한 적응 간의 관계에서 감정통제의 매개적 역할 54
      • 2) 자녀의 정서코칭과 친구에 대한 적응 간의 관계에서 계획조직화의 매개적 역할 56
      • Ⅳ. 논의 58
      • 참고문헌 73
      • 부록 96
      • ABSTRACT 1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