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진입가로의 경관이미지 및 만족도분석 : 동국대학교 가로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2857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of university towns in Korea have been degenerated uniformly into commercial streets without reflecting campus image, identity and local characteristics. For the landscape improvement which has the image as university street, the landscape recogn...

      Most of university towns in Korea have been degenerated uniformly into commercial streets without reflecting campus image, identity and local characteristics. For the landscape improvement which has the image as university street, the landscape recognition of the students who are the primary user must preced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reet images by on-site street users' reactions, such as satisfaction, university image coincidence and improv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Being an evaluation tool where the landscape image adjective is a reliability to evaluating the view which appears in university street will be able to confirm. Cronbach alpha coefficients where the reliability analytical result appears concretely are 0.930, Based on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KMO measurements which are measured reliability of adjective variable of 19 pair are high very with 0.955. Based on the result of extraction of common factors executed in order to elucidate the landscape images of university street by types through the rotation of 19 adjective variables by Varimax, the landscape images express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facilities using landscape images were anylized to be 2 factors. The explanation of the 2 factor groups to explain the entire distribution was 59.5% and these factor groups are the psychological attributes felt when using facilities are constructed by securing the street spaces in university town and the factors were named as aesthetics(factor 1) and activity(factor 2)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university image correspondence, aesthetics and improvement necessity were exert important influences to explaining landscape satisfaction. When compares the variable by beta coefficient which is measured effects which reaches in satisfaction with aesthetic > University image correspondence > Improvement necessity > activity are appearing order. The university image correspondence, aesthetic and improvement necessity, which are factor where affects in satisfaction is big, but the activity was small. also, as a result of scheffe analysis, as University image correspondence and aesthetic characteristic get higher, as improvement necessity gets lower, satisfaction increa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장 서 론 = 1
      • 1-1. 연구의 배경 = 1
      • 1-2. 연구의 목적 = 3
      • Ⅱ장 도시와 가로경관의 이론적 고찰 = 5
      • 2-1. 도시경관이론과 도시이미지 = 5
      • Ⅰ장 서 론 = 1
      • 1-1. 연구의 배경 = 1
      • 1-2. 연구의 목적 = 3
      • Ⅱ장 도시와 가로경관의 이론적 고찰 = 5
      • 2-1. 도시경관이론과 도시이미지 = 5
      • 2-1-1. 도시경관의 이론적 해석 = 5
      • 2-1-2. 도시이미지 형성과정 = 8
      • 2-1-3. 도시이미지 구성요소 = 9
      • 2-2. 가로경관의 특성과 구성요소 = 11
      • 2-2-1. 가로경관의 특성 = 11
      • 2-2-2. 가로경관의 구성체계 및 분류 = 14
      • 2-2-3. 가로경관의 물리적요소 = 15
      • 2-3. 대학이미지와 대학가로 = 18
      • 2-3-1. 대학이미지와 형성요인 = 18
      • 2-3-2. 대학가로의 기능 = 20
      • 2-3-3. 대학가로의 문제점 = 22
      • Ⅲ장 연구사 = 23
      • 3-1. 도시경관 = 23
      • 3-2. 가로경관 = 24
      • 3-3. 대학가로경관 = 27
      • Ⅳ장 연구방법 = 30
      • 4-1. 조사대상지 = 30
      • 4-1-1. 조사대상지 현황 = 30
      • 4-1-2. 조사대상지 개요 = 31
      • 4-1-3. 연구대상 경관선정 = 33
      • 4-2. 조사방법 = 37
      • 4-2-1. 설문지구성 = 37
      • 4-2-2. 경관이미지 형용사 선정 = 37
      • 4-2-3. 경관만족도 평가 = 39
      • 4-2-4. 평가방법 = 40
      • 4-2-5. 분석방법 = 40
      • Ⅴ장 분석결과 = 42
      • 5-1. 응답자 특성 = 42
      • 5-2. 경관이미지 형용사 중요도 = 43
      • 5-3. 경관만족도 = 47
      • 5-4. 경관이미지 형용사 요인분석 = 48
      • 5-5. 경관만족도 예측모형 = 51
      • 5-5-1. 회귀모형 정립의 오류와 정립 = 52
      • 5-5-2. 모형의 적합도 = 52
      • 5-5-3. 독립변수에 대한 검정 = 53
      • 5-6. 경관만족도에 대한 변수의 구체적 영향력 = 55
      • 5-7. 경관의 특질에 따른 군집 유형화 = 57
      • 5-7-1. 경관만족도와 대학이미지 부합성 군집 = 58
      • 5-7-2. 경관만족도와 심미성 군집 = 59
      • 5-7-3. 경관만족도와 개선필요성 군집 = 61
      • 5-8. 유형별 군집의 물리적 특성 = 62
      • 5-8-1. 경관만족도와 대학이미지 부합성 군집 특성 = 64
      • 5-8-2. 심미성 군집 특성 = 64
      • 5-8-3. 개선필요성 군집 특성 = 65
      • Ⅵ장 결론 및 한계점 = 66
      • 참고문헌 = 69
      • 부 록 = 81
      • ABSTRACT = 1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