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업과 무역수지 간 동태적 영향 분석 = A Dynamic Analysis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and Trade Bal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278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업과 무역수지 간의 동태적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LDA 토픽 모델링과 벡터오차수정모형(VECM)을 결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뉴스 기사 텍스트 분석을 통해 신조선 계약, 조선업 수출액, 조선업 수출 비중, PPI, 금리, 환율, 무역수지 7개 주요 변수를 선정하였으며, 이후 VECM 결과 전월 조선업 수출액이 1% 증가할 경우 무역수지가 0.299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월 조선업 수출 비중이 1% 상승하면 컨테이너선 발주량이 0.2639% 줄어들어, 발주·건조 간 시차와 선석 제약 등 산업 특수성이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환율은 조선업 수출액과 수출 비중 모두에 음(-)의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조선업의 Heavy Tail 결제 구조와 환율 헤지 전략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조선업과 무역수지 간의 동태적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LDA 토픽 모델링과 벡터오차수정모형(VECM)을 결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뉴스 기사 텍스트 분석을 통해 신조선 계약, 조...

      본 연구는 조선업과 무역수지 간의 동태적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LDA 토픽 모델링과 벡터오차수정모형(VECM)을 결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뉴스 기사 텍스트 분석을 통해 신조선 계약, 조선업 수출액, 조선업 수출 비중, PPI, 금리, 환율, 무역수지 7개 주요 변수를 선정하였으며, 이후 VECM 결과 전월 조선업 수출액이 1% 증가할 경우 무역수지가 0.299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월 조선업 수출 비중이 1% 상승하면 컨테이너선 발주량이 0.2639% 줄어들어, 발주·건조 간 시차와 선석 제약 등 산업 특수성이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환율은 조선업 수출액과 수출 비중 모두에 음(-)의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조선업의 Heavy Tail 결제 구조와 환율 헤지 전략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bines LDA topic modeling with a VECM to examine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shipbuilding industry and the trade balance. Through text analysis of news articles, seven key variables were identified: new ship orders, shipbuilding exports, the share of shipbuilding exports, PPI, interest rate, the won-dollar exchange rate, and the trade balance. The VECM results indicate that a 1% increase in shipbuilding exports in the previous month leads to a 0.2999% decrease in the trade balance, and that a 1% rise in the previous month's share of shipbuilding exports reduces containership orders by 0.2639%.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ndustry's unique characteristics, such as time lags between ordering and construction and limited shipyard capacity. In additio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both shipbuilding exports and the share of shipbuilding exports,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Heavy Tail payment structure and foreign exchange hedging strategies prevalent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번역하기

      This study combines LDA topic modeling with a VECM to examine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shipbuilding industry and the trade balance. Through text analysis of news articles, seven key variables were identified: new ship orders, shipbuilding ...

      This study combines LDA topic modeling with a VECM to examine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shipbuilding industry and the trade balance. Through text analysis of news articles, seven key variables were identified: new ship orders, shipbuilding exports, the share of shipbuilding exports, PPI, interest rate, the won-dollar exchange rate, and the trade balance. The VECM results indicate that a 1% increase in shipbuilding exports in the previous month leads to a 0.2999% decrease in the trade balance, and that a 1% rise in the previous month's share of shipbuilding exports reduces containership orders by 0.2639%.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ndustry's unique characteristics, such as time lags between ordering and construction and limited shipyard capacity. In additio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both shipbuilding exports and the share of shipbuilding exports,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Heavy Tail payment structure and foreign exchange hedging strategies prevalent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