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장애인 고용의 질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quality of employment measurement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344431

      • 저자
      • 발행사항

        경산 : 대구대학교, 2011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38.3 판사항(5)

      • DDC

        362.4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vii, 113 p. :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76-83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dicators and measurement to measure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and to apply it to reality. The important thing in measurement development is the composition of the indicators to be use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dicators and measurement to measure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and to apply it to reality.
      The important thing in measurement development is the composition of the indicators to be used in the quality of employment measurement and the way of determining the weights of the indicators. The Delphi method was used to compose the quality of employment indicators.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weights of the indicators.
      In the application of the quality of employment measurement, the data of the Primary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as used to look into the quality of employment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quality of employmen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job na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dicators to measure the quality of employment consisted of 6 superordinate indicators and 16 subordinate indicators. The 6 superordinate indicators are: employment security (E); possibility of development (D); income security (I); work condition (C), relationship (R); and 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disability (U). The 16 subordinate indicators are: employment type (ET); sense of employment security (SES); possibility of skill (PS); possibility of promotion (PP); opportunity of education and training (OET); pay (P); fringe benefit (FB); work time (WT); work environment (WE); intensity of work (IW); interpersonal relation (IR); participation/opinion (PO); understanding of disability (UD); disabled facilities (DF); fairness (F); and proper solicitude (PS). Second, the relative weights of superordinate indicators were the following: employment security 26.08%; possibility of development 16.18%; work condition 16.02%; 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disability 15.83%; Income security 13.53%; and relationship 12.36%. The relative weights of subordinate indicators to superordinate indicators were as follows: 'Income security' indicator involves pay 72.62% and fringe benefit 27.38%, '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disability' indicator involves proper solicitude 40.32%, fairness 33.30%, disabled facilities 26.38%, 'relationship' indicator involves understanding of disability 39.66%, interpersonal relationship 36.62%, participation/opinion 23.73%, 'work condition' indicator involves work environment 44.46%, intensity of work 31.29%, work time 24.27%, 'employment security' indicator involves employment type 51.44%, sense of employment security 48.75%,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dicator involves opportunity of education and training 34.28%, possibility of promotion 33.86%, and possibility of skill 31.87%. Third, the mathematical formula to derive the quality of employment index (QEI) is:.
      QEI_(i)= 26.08E_(i)+16.18D_(i)+13.52I(i)+16.02C_(i)+12.36R_(i)+15.83U_(i)
      The mathematical formula to find the values of subordinate indicators (employment security (Ei), possibility of development(Di), Income security(Ii), work condition(Ci), relationship(Ri), and 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disability(Ui)) is:
      Ei=(51.44×ETi+48.75×SESi)/100;
      Di=(31.87×PSi+33.86×PPi+34.28×OETi)/100;
      Ii=(72.62×Pi+27.38×FBi)/100;
      Ci=(24.27×WTi+44.46×WEi+31.29×IWi)/100;
      Ri=(23.73×POi+36.62×IRi+39.66×UDi)/100;
      Ui=(26.38×DFi+33.3×Fi+40.32×PSi)/100.
      Fourth, the distribution of QEI of the data from the Primary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as 61.23 on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it was 13.04, showing normal distribution. As a result of categorizing the quality of employment into bad jobs, ordinary jobs, and good jobs based on ±1σ (standard deviation), the QEI of bad jobs was under 48.18 and that of good jobs was over 74.27. Finally, the quality of employmen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higher in men with disabilities rather than women with disabilities, disabled people in their thirties and disabled people with a high level of education. The type and the degree of disability didn't impact on the quality of employment.
      The quality of employment according to job nature was higher in bigger companies, high ranking personnel, and those doing mental labor rather than physical labor.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quality of employment according to employment type(sheltered employment and competitive employment).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enhance the quality of employment so institution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give the opportunity of education for the disabled, and second, employment type (sheltered employment and competitive employment) didn't make any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employment. This result wasn't in agreement with the earlier one which competitive employment provides several benefits to the quality of employment different from sheltered employment; therefore, future studies about this should be made. Finally, if sheltered employment and competitive employment don't make any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employment, sheltered employment can be a good alternative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ho are expected to work in bad job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that it used the data of the Primary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secondarily processed in applying the measurement. In future studies those limitations should be cove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고용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와 척도를 개발하고 실제 적용하여 보는 것이다. 아직까지 양적 고용에 치중하고 있는 장애인 직업재활 분야에서 질적인 분야를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고용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와 척도를 개발하고 실제 적용하여 보는 것이다. 아직까지 양적 고용에 치중하고 있는 장애인 직업재활 분야에서 질적인 분야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와 척도를 개발하고 실태를 살펴본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먼저 척도개발에서 중요한 것은 장애인 고용의 질 척도에 사용되어야 할 지표의 구성과 지표 간 가중치의 결정방식에 있었다. 장애인 고용의 질 지표 구성은 델 파이 방법을 이용하였고, 지표 간 가중치 결정은 계층분석적 의사결정방법(AHP)을 활용하였다.
      장애인 고용의 질 척도 적용에 있어서는 1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인 고용의 질을 구명하고, 인구학적 특성과 직무특성에 따른 고용의 질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고용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는 6개의 상위지표와 16개의 하위지표로 구성하였다. 6개의 상위지표는 고용안정성, 발전가능성, 보상, 근무조건, 관계, 장애인 식 및 이해도로 구성하였고, 16개의 하위지표는 고용형태, 고용안정감, 숙련향상가능성, 승진가능성, 교육훈련기회, 급여, 부가급여, 근무시간, 근무환경, 노동강도, 대인관계, 참여/발언, 장애이해, 편의시설, 공평 성, 적절한 배려로 정하였다.
      둘째, 상위지표의 지표 간 상대적 가중치는 고용안정성(E)이 26.08%, 발전가능성(D)이 16.18%, 근무조건(C)이 16.02%, 장애인 식 및 이해도(U)가 15.83%, 보상(I)이 13.53%, 관계(R)가 12.36%이다. 상위지표에 대한 하위지표의 상대적 가중치는 ‘보상’지표의 경우 급여가 72.62%, 부가급여가 27.38%이고, ‘장애인 식 및 이해도’는 적절한 배려가 40.32%, 공평 성이 33.30%, 편의시설이 26.38%이며 ‘관계’는 장애이해가 39.66%, 대인관계가 36.62%, 참여/발언이 23.73%이다. ‘근무조건’지표는 작업환경이 44.46%, 노동강도가 31.29%, 근무시간이 24.27%이고 ‘고용안정성’은 고용형태가 51.44%, 고용안정감이 48.75%이며 ‘발전가능성’은 교육훈련기회가 34.28%, 승진가능성이 33.86%, 숙련향상 가능성이 31.87%의 가중치를 갖는다.
      셋째, 장애인 고용의 질 지수(QEI : Quality of Employment Index)를 구하는 산식의 도출 결과는 QEI_(i)= 26.08E_(i)+16.18D_(i)+13.52I(i)+16.02C_(i)+12.36R_(i)+15.83U_(i) 이다. 또한 상위지표 고용안정성(Ei), 발전가능성(Di), 보상(Ii), 근무조건(Ci), 관계(Ri), 장애인 식 및 이해도(Ui)에 대한 값을 구하는 산식은
      Ei=(51.44×고용형태i+48.75×고용안정감i)/100;
      Di=(31.87×숙련i+33.86×승진i+34.28×교육기회i)/100;
      Ii=(72.62×급여i+27.38×부가급여i)/100;
      Ci=(24.27×시간i+44.46×환경i+31.29×노동강도i)/100;
      Ri=(23.73×참여i+36.62×관계i+39.66×이해i)/100;
      Ui=(26.38×시설i+33.3×공평i+40.32×배려i)/100이다.
      넷째, 산출 식을 적용한 1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료의 장애인 고용의 질 지수(QEI) 분포는 평균이 61.23점이고 표준편차가 13.04인 정규분포를 이룬다. 고용의 질을 ±1σ(표준편차)를 기준으로 나쁜 일자리, 보통 일자리, 좋은 일자리로 구분해 본 결과, ‘나쁜 일자리’는 QEI가 48.18점 이하에서 일하는 사람이고, ‘좋은 일자리’는 74.27점 이상의 QEI를 가진 일자리에 일하는 사람이다.
      다섯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장애인 고용의 질은 여자보다는 남자, 연령별로는 30대, 학력이 높은 장애인이 좋은 일자리에 근무한다. 장애유형 및 등급 차이는 장애인 고용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장애인의 직무특성에 따른 고용의 질은 업체규모가 클수록, 직위가 높을수록, 육체노동보다는 정신노동에 근무하는 장애인이 고용의 질이 높다. 하지만 고용형태 즉 보호고용과 경쟁고용 따른 고용의 질 차이는 없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은 첫째, 교육은 장애인 고용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므로 장애인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강화하여야 한다. 둘째, 보호고용과 경쟁고용으로 나눈 고용형태에 따른 고용의 질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고용의 질적인 측면에서는 ‘보호고용과 비교해 볼 때 경쟁고용은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는 지금까지의 상식과 일치하지 않은 결과로 이에 대한 깊이 있는 후속연구를 제안해 본다. 더불어 보호고용이 경쟁고용에 비해 고용의 질 차이가 없다면 나쁜 일자리에 근무할 것으로 예상되는 장애인의 고용대책으로 보호고용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척도적용 자료에 있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료를 2차 가공하여 사용하였다는 제한 점이 있다. 이러한 점은 후속 연구에서 보강하여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2
      • 3. 용어의 정의 3
      • Ⅱ. 이론적 배경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2
      • 3. 용어의 정의 3
      • Ⅱ. 이론적 배경 5
      • 1. 장애인 고용 5
      • 2. 장애인 고용의 질 영향 요인 8
      • 1) 장애인 고용의 유지요인 8
      • 2)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 요인 9
      • 3. 고용의 질 11
      • 1) 고용의 질의 관점 11
      • 2) 거시적기업적개인적 차원에서의 고용의 질 13
      • 3) 고용의 질에 대한 연구 동향 21
      • Ⅲ. 연구방법 24
      • 1. 연구의 설계 24
      • 2. 연구의 대상 25
      • 3. 척도개발 및 적용절차 26
      • Ⅳ. 연구결과 34
      • 1. 장애인 고용의 질 척도개발 34
      • 1) 예비지표의 선정 34
      • 2) 1차 델파이 조사 40
      • 3) 2차 델파이 조사 48
      • 4)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54
      • 5) 고용의 질 지수 산출식 도출 59
      • 2. 고용의 질 척도의 적용 60
      • 1) 적용대상의 일반적 사항 61
      • 2) 추출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 62
      • 3) 장애인 고용의 질 분포 64
      • 4) 인구학적 분류에 따른 고용의 질 65
      • 5) 직무특성에 따른 고용의 질 68
      • Ⅴ. 결론 및 제언 71
      • 1. 결론 71
      • 2. 제언 73
      • 참고문헌 76
      • 영문초록 84
      • 부록 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