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행정상 강제집행에 대한 한 · 중 법제의 비교법적 연구 - 대집행을 중심으로 - = A Comparative Study on the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System between Korea and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458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많은 경우에 행정목적의 실현은 행정 상대방의 의무이행을 요구하게 된다. 하지만 대립되는 이익이 병존하는 사회에서 행정청이 명한 의무를 이행하지 않거나 위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

      많은 경우에 행정목적의 실현은 행정 상대방의 의무이행을 요구하게 된다. 하지만 대립되는 이익이 병존하는 사회에서 행정청이 명한 의무를 이행하지 않거나 위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데 행정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이를 강제할 수단이 필요하다. 이런 수단의 대표적인 예가 행정상 강제집행이다.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행정상 강제집행제도의 입법체계를 고찰하고, 대집행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법제를 중점적으로 비교하면서 중국법의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우선 한국의 행정상 강제집행제도는 대집행에 대해서만 일반법을 제정하고 있으며, 직접강제와 이행강제금 및 기타 행정상 강제집행 수단에 대해서는 개별법에 제한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법률에 강제집행 수단이 불비한 때에 의무불이행의 상태가 지속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입법체계상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중국과 같이 행정강제에 관한 일반법의 제정이 필요하다. 한편 한국의 현행 「행정대집행법」에 따르면 법령에 의해 직접 명해진 의무의 불이행도 대집행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법령에 의해 명해진 의무는 보통 불특정 다수인의 의무로서의 성질을 가지므로, 행정행위를 통해 특정인의 의무로 확정된 다음에야 대집행의 대상이 된다고 본다. 가령 법령에서 명한 의무가 어느 정도 구체적이어도 의무자로서는 특정의무를 인식하기가 어렵다. 이에 의무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차원에서 대집행의 대상은 중국과 같이 행정행위를 매개로 하는 대체적 작위의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밖에 「행정대집행법」은 불이행된 의무에 대해 다른 수단으로 이행확보가 어려울 때에 한하여 대집행을 할 수 있다고 규정하였지만, 무엇이 다른 수단에 해당되는지는 밝히지 않고 있다. 졸저는 중국과 같이 행정청과 의무자의 의견을 서로 수렴할 수 있고 탄력적으로 양자 간의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협의제도의 도입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본다. 궁극적으로 행정상 강제집행제도에 존재하는 문제점들이 점차 정비된다면 행정의 실효성 확보는 물론이고, 행정 상대방의 권익보호도 신장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many cases, the realization of an administrative purpose requires the performance of a duty by the administrative counterpart. However, in a society where conflicting interests coexist, the duty ordered by an administrative agency is often not impl...

      In many cases, the realization of an administrative purpose requires the performance of a duty by the administrative counterpart. However, in a society where conflicting interests coexist, the duty ordered by an administrative agency is often not implemented or is violated.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on, a means to coerce the implementation is required. A typical example of such means is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gislative system of the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system in Korea and China, then focused on comparing the legislation of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in Korea and China to find the implications of the Chinese law for Korea. First of all, according to Korea’s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system, only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is included in general administrative law, while the use of direct force, compulsion payment or other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measures are restrictively provided in individual laws.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ate of the nonperformance of an obligation cannot but remain when there is no means of compulsory execution in the law. To solve this problem of the legislative system, it is necessary to enact a general legislation on administrative enforcement like China. In the meantime, according to Korea’s present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Act, the nonperformance of an obligation directly ordered by the legislation may also be the target of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However, since the obligation ordered by the legislation usually has a character as that of unspecified individuals, it is judged that it becomes the target of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only after it is confirmed as an obligation of specific persons through an administrative act. For instance, although the obligation ordered by the legislation is specific to some extent, it is difficult for a person bound in duty to recognize the specific obligation. Thus, to protect the rights of the person bound in duty, it is desirable to limit the target of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to the alternative obligation mediated by an administrative act like China. In addition,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Act provided that the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could be made only when it would be difficult to secure the implementation concerning an unperformed obligation, but it does not state what comes under the other means. I think it is judged that the introduction of a negotiation system can be considered, which can collect opinions between the administrative agency and the person bound in duty like China and solve the conflict between both parties elastically. Ultimately, if the problems existing in the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system are gradually maintained,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on will be ensu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행정상 강제집행에 대한 일반적 고찰
      • Ⅲ. 한국법상 대집행 요건
      • Ⅳ. 중국법상 대집행 요건
      • Ⅴ. 중국 법제의 한국에 대한 시사점
      • Ⅰ. 서 론
      • Ⅱ. 행정상 강제집행에 대한 일반적 고찰
      • Ⅲ. 한국법상 대집행 요건
      • Ⅳ. 중국법상 대집행 요건
      • Ⅴ. 중국 법제의 한국에 대한 시사점
      • Ⅵ. 결 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연태, "현행 행정집행제도의 체계상의 문제점" 비교법학연구소 49 : 699-738, 2016

      2 한견우, "현대행정법신론1" 세창출판사 2014

      3 조태제, "행정집행제도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법조협회 53 (53): 80-121, 2004

      4 박재윤, "행정집행에 관한 통일적 규율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공법학회 40 (40): 433-466, 2011

      5 신상민, "행정상 강제수단의 관계와 체계화 방안" 법학연구소 (42) : 167-202, 2016

      6 김백유, "행정법총론" 도서출판 한성 2016

      7 홍정선, "행정법원론(상)" 박영사 2014

      8 박균성, "행정법론(하)" 박영사 2017

      9 박균성, "행정법론(상)" 박영사 2015

      10 김남진, "행정법Ⅰ" 법문사 2016

      1 김연태, "현행 행정집행제도의 체계상의 문제점" 비교법학연구소 49 : 699-738, 2016

      2 한견우, "현대행정법신론1" 세창출판사 2014

      3 조태제, "행정집행제도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법조협회 53 (53): 80-121, 2004

      4 박재윤, "행정집행에 관한 통일적 규율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공법학회 40 (40): 433-466, 2011

      5 신상민, "행정상 강제수단의 관계와 체계화 방안" 법학연구소 (42) : 167-202, 2016

      6 김백유, "행정법총론" 도서출판 한성 2016

      7 홍정선, "행정법원론(상)" 박영사 2014

      8 박균성, "행정법론(하)" 박영사 2017

      9 박균성, "행정법론(상)" 박영사 2015

      10 김남진, "행정법Ⅰ" 법문사 2016

      11 김철용, "행정법 전면개정" 고시계사 2017

      12 김중권, "행정법" 법문사 2016

      13 이일세, "행정대집행의 요건에 관한 고찰" 한국토지공법학회 37 (37): 269-294, 2007

      14 김아름, "행정대집행의 실정법상ㆍ이론상 문제 및 법적 개선방안" 한국공법학회 45 (45): 351-378, 2016

      15 김세규, "행정대집행에 관한 소고" 한국비교공법학회 11 (11): 183-209, 2010

      16 김기홍, "행정대집행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17 이상덕, "행정대집행과 민사소송의 관계에 대한 평석" 광주지방법원 2009

      18 최봉석, "행정강제의 정당화 근거와 한계" 한국공법학회 38 (38): 235-263, 2010

      19 김성원, "대집행의 요건" 법학연구소 25 (25): 141-164, 2009

      20 임호정, "공용수용 효과로서의 토지・물건의 인도 또는 이전" 한국토지보상법연구회 7 : 2007

      21 黄国富, "试论行政代履行" 法制与社会 2012

      22 胡建淼, "论行政强制执行中的代履行" 国家行政学院 2013

      23 王海姣, "论我国行政强制执行制度的完善" 华东师范大学 2013

      24 姜明安, "行政法与行政诉讼法" 北京大学出版处・高等教育出版社 2015

      25 应松年, "行政法与行政诉讼法" 中国政法大学出版社 2011

      26 姜明安, "行政强制法立法若干争议问题之我见" (3) : 2010

      27 丁伟峰, "行政强制执行和解的实现机制—评《行政强制法》第42条" 河北政法职业学院, 河北省法学会 36 (36): 2018

      28 孙正才, "行政即时强制的条件与救济" (05) : 2013

      29 黄婕, "我国行政强制执行中的代履行制度深讨" 苏州大学 2014

      30 刘磊, "传统行政强制类型之再造" 37 (37): 2015

      31 湛中乐, "代履行的适用条件、主体、程序和方式"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7-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법학연구 -> 원광법학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545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