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50년대 전위예술에서의 전통 논쟁 = The “Controversies on Tradition” in the Avant-garde Art of the 1950s - With Primary Regard to the Influence of Isamu Noguchi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50년대 일본에서 전위예술이 일본의 전통을 어떻게 표현했는지가 커다란 문제로 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거의 연구되지 않은 그 시대상황에 주목해, 거기에 동시대의 건축사에 사...

      1950년대 일본에서 전위예술이 일본의 전통을 어떻게 표현했는지가 커다란 문제로 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거의 연구되지 않은 그 시대상황에 주목해, 거기에 동시대의 건축사에 사용된 ‘전통 논쟁’ 이라는 말을 부연해 사용함으로써, 전후 미술사의 새로운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전통 논쟁의 시작은 미국 점령기 문화에 대한 반동으로도 생각할 수 있으나, 1950년에 일본을 찾은 미국인 조각가 이사무 노구치 (Isamu Noguchi)에 의한 부분이 크다. 당시 이미 미국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던 노구치에 대해 일본인 예술가들은 미국의 모더니즘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해 크게 주목하였지만, 노구치는 역으로 일본의 전통을 모더니즘으로서 재발견하는 일을 일본인들에게 요구했다. 그리고 일본에 있는 동안, 스스로 공공미술과 테라코타 조각, 그리고〈빛〉이라 불리는 랜턴 등을, 독자적인 일본미술 인식에 기초해 재직해 갔다. 그것은 불상을 은연중에 부정하고, 정원석이나 정원에 나타나는 장소 및 환경을 작품 안에 끌어들이려는 예술관이었다. 또한 모더니즘에서 거슬러 올라가 중세와 고대의 예술관을 재현하려는 자세가 있었던 점으로 봐서, 노구치는 서양의 근대조각이라는 틀을 넘어선 포스트모더니즘의 선구였다고 할 수 있다.
      노구치의 작품과 발언은 일본에서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다. 많은 미술가와 디자이너들이 그 전통을 새롭게 파악하려는 자세가 일본미술의 새로운 길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공감하고 받아들인 반면, 그런 서양적인 일본 이해에 대해 위화감을 느끼는 회의적 반응도 널리 퍼져 있었다. 게다가 ‘일본적인 것’ 을 모더니즘으로 내세울 때의, 표현의 차이에서 오는 비판도 있었다. 어쨌든, 그러한 반향의 전모를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전통 논쟁이라 부를 수밖에 없으리라. 또한 건축사의 전통 논쟁도 미술의 전통 논쟁에서 발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시대의 노구치와 접한 건축가 단게 겐조(丹下健三), 화가 오카모토 다로(岡本太郞), 하세가 와 사부로, 꽃꽂이의 데시가와라 소후(勅使河原蒼風), 도예가 야기 가즈오(八木一夫) , 공업디자이너 겐모치 이사무(劍持勇) 등 장르를 초월한 예술가들이, 일본의 전통을 재고하고 새롭게 만들어낸 것이 국제적인 활동으로 이어졌던 것이다.
      이 전통 논쟁의 시대적 배경에는, 국제미술전에서 분명히 드러난, 일본인 작가의 국내 평가와 해외 평가 간의 어긋남, 호류지 금당 소설과 문화재보호법 성립에 의한 전통의 대중화, 또한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요청하는 공산주의에 실망한 전위 예술가들이 새로운 거점을 찾고 있던 상황 등이 있다. 그리고 1950년대 후반 이후 정치적 안정과 경제성장 속에서 전위예술가들의 일본 전통에 대한 질문은 사그러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50년대 전통 논쟁은 그후 1960년대 말 이후의 모노하(もの派)와1 970년대 美共? 활동에 길을 열어준 선구로서 위치지울 수 있다. 결국, 이 전통 논쟁은 너무 빨리 온포스트모더니즘의, 일본에서의 최초의 수용이자, 전후 일본 예술의 국제적 전개의 시작이었다고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1950s in Japan were greatly concerned with the question of how to express Japan's tradition in the domain of the avant-garde. This paper takes the term Controversies on Tradition (Dentou Ronsou.), more conventionally used with regard to the archit...

      The 1950s in Japan were greatly concerned with the question of how to express Japan's tradition in the domain of the avant-garde. This paper takes the term Controversies on Tradition (Dentou Ronsou.), more conventionally used with regard to the architectural history of the period, and amplifies it to focus on the prevailing climate of the times, with a view to putting forward a new framework of the history of postwar art.
      Although the onset of the Controversies on Tradition can be seen as a reaction to the culture of the American occupation, a considerable part was also played by Isamu Noguchi, a Japanese-American sculptor, who came to Japan in 1950, By this time, Noguchi had already won a considerable name for himself in the United States, Accordingly, artists in Japan, where he was the center of a great deal of attention, looked to him to impart American modernism, What he was after was quite the opposite: he wanted artists in Japan to rediscover the Japanese tradition as modernism, During his stay in Japan, he was also active in creating his own work inspired by his unique view of Japanese art.Among other creations, his works from this time include sculpture in terracotta, public art, and lanterns known as "Akari". It is a view that covertly denies Buddhist images, attempting to incorporate into the work itself a place or a setting, as is the case with the Japanese garden and garden rocks. In one sense, Noguchi can also be described as a forerunner of postmodernism, in that he went beyond the bounds of modem Western sculpture, showing a willingness to run against modernism and attempt to recreate an ancient or medieval artistic perspective.
      Both Noguchi's works and statements provoked an enormous reaction in Japan. While his initiatives to reinterpret Japanese tradition along new lines gained a sympathetic reaction from many Japanese artists and designers in as much as they saw it as pointing to new directions in Japanese art, there was nonetheless widespread skepticism. This arose from the fact that some felt uncomfortable with his westernized understanding of Japan. Criticism also arose from the difference in the orientation of the expression when portraying "things Japanese" in the form of modernism. When viewed as a whole, such reactions can simply be described as amounting to Controversies on Tra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view the Controversies on Tradition in architectural history as having developed out of the same debate in the world of art. Some of the artists that came into contact with Noguchi during those days went on to rethink Japanese tradition, They included such artists whose activities spanned multiple genres as architect Kenzo Tange, painters Taro Okamoto and Saburo Hasegawa, ikebana artist Sofu Teshigawara, potter Kazuo Yagi, and industrial designer Isamu Kenmochi.
      And as a result of rethinking Japanese tradition, they also created it afresh, which led to their activities of the international scene.
      Possible elements forming the backdrop to the age in which this tradition debate arose include the gap revealed by international art exhibitions in the way Japanese artists were viewed at home and abroad, the destruction by fire of the main hall of the Horyuji Temple and the popularization of culture brought about by the passing of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Another possible factor was that avant-garde artists were looking for something new to place their faith in after their disappointment with communism and its demands for socialist realism. And the political stability and economic growth that followed in the latter half of the 1950s saw a lull in the intensity with which avant-garde artists agonized about the tradition of Japan. Nonetheless, the Controversies on Tradition can perhaps also be seen as having opened up the way for the Mono-ha movement that got underway at the end of the 1960s, as well as of the Bikyoto movement of the 1970s. Ultimately, the significance 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논점ㆍ주장
      • Ⅱ. 선행연구ㆍ前史
      • Ⅲ. 이사무 노구치의 일본 이해
      • Ⅳ. 전통 논쟁 Ⅰ 共感, 懷疑
      • Ⅴ. 전통 논쟁 Ⅱ 비판
      • Ⅰ. 논점ㆍ주장
      • Ⅱ. 선행연구ㆍ前史
      • Ⅲ. 이사무 노구치의 일본 이해
      • Ⅳ. 전통 논쟁 Ⅰ 共感, 懷疑
      • Ⅴ. 전통 논쟁 Ⅱ 비판
      • Ⅵ. 전통 논쟁의 배경과 의의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연관 공개강의(KOCW)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