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법 탐구 절차 대한 경력별 교사 인식 분석 = Analyzing Teacher Perceptions of Grammar Inquiry Procedures by Teaching Care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343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의는 Borich 요구도 분석 방법으로써 탐구학습 단계의 타당도에 대한 교사 경력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 경력을 5개군으로 구별하는 한편으로 연구자마다 달리 사용...

      본 논의는 Borich 요구도 분석 방법으로써 탐구학습 단계의 타당도에 대한 교사 경력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 경력을 5개군으로 구별하는 한편으로 연구자마다 달리 사용하는 용어와 개념을 ‘① 문제 제기- ② 가설 설정- ③ 가설 검증- ④ 원리 발견- ⑤ 일반화- ⑥ 자료 분석’으로 통일하였다.
      그 결과 1년~5년 이하와 21년 이상의 집단 간 차이가 가장 크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전자에서 1순위로 평정된 ‘원리 발견’이 후자에서는 4순위로 평정되었고, 전자에서는 4순위로 평정된 문제 제기가 후자에서는 2순위로 평정되었다. 둘째 일관된 순위를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타당도에 대한 집단별 인식이 다르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가령 원리 발견 단계에 대한 경력별 타당도의 경우 1년~5년 이하의 집단에서 1순위로 평정되었고, 6년~10년 이하와 11년~15년 이하 집단에서는 2순위로 평정되었지만 16년~20년 이하 집단에서는 가설 설정 단계보다 낮은 5순위로 평정되었고, 21년 이상의 집단에서는 4순위로 평정되었다. 다만 가설 설정과 가설 검증은 16년~20년 집단을 제외하고는 5, 6순위로 평정된다는 점에서 약간의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본 논의에서는 교육 현장에 효율적인 문법의 탐구학습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상의 면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validity of the inquiry learning stage using the Borich needs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ing career groups of 1-5 year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validity of the inquiry learning stage using the Borich needs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ing career groups of 1-5 years and more than 21 years. "Discovering a principle" was ranked first in the former but fourth in the latter, and "Raising a problem" was ranked fourth in the former but ranked second in the latter. Subsequently, the groups' perceptions of validity differed significantly, such that no consistent ranking could be identified. For example, the validity by career for “discovering a principle” was ranked first in the 1-5 years group, second in the 6-10 years and 11-15 years groups, but ranked fifth in the 16-20 years group, which is lower than the rank of “setting a hypothesis”, and fourth in the more than 21 years group. However, there was some overlap in the rankings of “setting a hypothesis” and “verifying a hypothesis”, which were ranked fifth and sixth in all groups except the 16-20 year group.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