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I-O분석을 통해 본 한일 해저터널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417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iscussion on the construction of Korea-Japan undersea tunnel in main projects of UNESCAP is hot issue through activating of a transcontinental railway and an Asian highway projects.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effects such as production-ind...

      The discussion on the construction of Korea-Japan undersea tunnel in main projects of UNESCAP is hot issue through activating of a transcontinental railway and an Asian highway projects.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effects such as production-induced effect, value added-induced effect, employee-induced effect in each industry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investment amount of Korea-Japan undersea tunnel using I-O, and mostly consulted materials of 2000’s industrial connection analysis and authorized data that reported in the most recent.
      In analysis results for the effect through Asia international I-O, the production-induced amount that affected in Korea and Japan were about 41.3 and 77.5 trillion respectively. In the effect related between both countries among these results, effect that induced from Korea to Japan was around 1,000 hundred million, and Japan to Korea was around 22,000 hundred million. The amount from Japan to Korea was over 20 times.
      In results analyzed through domestic I-O, the production-induced amount that affected in Korea and Japan were about 54.5 and 84.6 trillion, and value added-induced amount was 19.8 and 39.6 trillion respectively. From both analysis, Japan was higher than Korea in total industry-induced money, and the reason is because of high investment construction amount of Japan. But, in case of effectuation against construction investment amount, Korea was higher than Japan in the effect that extended to other industry.
      From high extended-effects against construction investment amount, both Korea and Japan’s industries can develop based on the project. In future, we need deep studies with other effects such as data limitation, increasing of tourist, and effects that affect to other means of transport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한일 해저터널 구상(안)의 주요 내용과 시각차
      • 3. 유로터널이 주는 경제적 시사점
      • 4. 한일 해저터널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Abstract
      • 1. 서론
      • 2. 한일 해저터널 구상(안)의 주요 내용과 시각차
      • 3. 유로터널이 주는 경제적 시사점
      • 4. 한일 해저터널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환황해안 고속도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2003

      2 "한중일 국제산업연관분석" 695-721, 1996

      3 "한중일 3국의 산업간 상호의존관계 분석" KIEP 2002

      4 "한일해저터널건설 논의를 위한 시론적 연구" 31 (31): 111-134, 2005

      5 "한일 해저터널의 필요성 연구" 2003

      6 "한일 해저터널의 기존 논의들에 대한 비교분석" 2000

      7 "한일 해저터널건설의 영향과 향후 대책" 1 (1): 52-70, 2004

      8 "한-일 해저터널 건설의 필요성과 그 파급효과에 관한 검토" 173-194, 1999

      9 "통계정보시스템(http://kosis.nso.go.kr/)."

      10 "일한해저터널연구회(http://www.jk-tunnel.or.jp/j/1kenkyukai/index.html)."

      1 "환황해안 고속도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2003

      2 "한중일 국제산업연관분석" 695-721, 1996

      3 "한중일 3국의 산업간 상호의존관계 분석" KIEP 2002

      4 "한일해저터널건설 논의를 위한 시론적 연구" 31 (31): 111-134, 2005

      5 "한일 해저터널의 필요성 연구" 2003

      6 "한일 해저터널의 기존 논의들에 대한 비교분석" 2000

      7 "한일 해저터널건설의 영향과 향후 대책" 1 (1): 52-70, 2004

      8 "한-일 해저터널 건설의 필요성과 그 파급효과에 관한 검토" 173-194, 1999

      9 "통계정보시스템(http://kosis.nso.go.kr/)."

      10 "일한해저터널연구회(http://www.jk-tunnel.or.jp/j/1kenkyukai/index.html)."

      11 "영국Medway의회(http://www.medway.gov.uk/index/council/communityplan/ 24031/24031-2/24031-9.htm)."

      12 "안산테크노파크 조성이 경기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분석" 경기개발연구원 1999

      13 "신행정수도 건설의 사회경제적 파급영향 분석연구 국" 62-, 2003

      14 "는 건국대학교 지리학과에서 이학박사를 취득하였고 현재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에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분야는 교통 지역개발 등이다 수도권 자동차유동의 공간적 패턴 공간구조 특성을 고려한 복합물류센터의 기능정립 및 구축방향 물류유통 체계개선 주요 도시권 내의 역세권 개발 부산 등 지자체 차원의 물류비 산정 및 특성분석 해저터널의 국내외 도시경제물류에 미치는 영향분석 등을 연구하였다"

      15 "국제산업연관분석에 관한 연구" 211-233, 1996

      16 "국내의 해저터널 현황 및 기술" 건설기술인 16-20, 2001

      17 "관광개발사업의 공익성 평가연구" 2005

      18 "日韓トンネルにおける評" 日韓トンネル硏究會 1996

      19 "日本 I.D.E(http://www.ide.go.jp/Japanese/Publish/Books/Tokei/material.html)."

      20 "the impact of the channel tunnel on kent and relationships with nord pas de calais" 7-8, 2004

      21 "http://www.transitorienteddevelopment.org/pages/1/index.htm."

      22 "The Channel Tunnel and the economy of southeast England" 14 107-121, 1994

      23 "Study Programme on European Spatial Planning The Regional Impact of the Channel Tunnel throughout the E" 1992

      24 "Smart Growth Online(http://www.smartgrowth.org/about/principles/default.asp)."

      25 "Reconnecting America(http://www.reconnectingamerica.org/index.htm)."

      26 "Mega-Event가 경기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분석 : 2002년 월드컵을 중심으로" 경기개발연구원 89-95, 1997

      27 "ASIAN INTERNATIONAL INPUT-OUTPUT TABLE 2000"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 0.9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7 1.15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