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수준별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학생평가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Student Assessment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1162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수준별 교육과정의 학생평가의 실태를 진단하고 그 문제점을 명확히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5개 교과의 학생평가를 교...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수준별 교육과정의 학생평가의 실태를 진단하고 그 문제점을 명확히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5개 교과의 학생평가를 교과의 기본과정, 심화·보충 과정, 특별보충과정, 지원체제의 네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질문지 조사 방법을 통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총괄평가의 내용에 기본과정 뿐만 아니라 심화·보충 과정이 모두 포함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교회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수준별 집단편성을 위한 평가는 대체로 실시하지 않고 있었고, 수준별 평가지는 평가결과 처리의 어려움과 학생들의 수준을 나누는 어려움 때문에 대부분 사용되지 않고 있었다. 수행평가에서는 평가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 평가결과의 신뢰성 확보가 가장 큰 어려움으로 드러났다. 또한 특별보충과정 대상자를 선정하는 기준은 대부분 지필평가의 결과에 의존하고 있었으며, 이들에 대한 과정 이수 평가와 추후지도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절대평가기준'과 교육인적자원부·교육청에서 지원하는 평가자료 에듀넷 등에서 제공하는 평가문항의 활용도는 매우 낮았으며, 이들의 활용도가 낮은 이유는 홍보부족과 학생 수준과의 불일치, 내용 부실 등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교과와 관련된 평가 연수의 경험이 부족하였고, 다양한 수행평가 방법과 문항제작에 대한 연수 기회의 확대를 요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s and the problems of student assessment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at the academic high school. For that purpose, this study had the focus-group interviews and conducted a survey. The s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s and the problems of student assessment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at the academic high school. For that purpose, this study had the focus-group interviews and conducted a survey. The survey items that were developed through focus-group interviews consisted of the four main parts: questions about the basic courses, the enriched ? supplementary courses,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s, and the support systems. The scope of the study, however, was limited to five curriculum areas: Korean language, Mathematics, Social studies, Science, and Englis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 First, high school teachers perceived that the summative evaluation in general includes the contents of the enriched supplementary courses as well as those of the basic courses, that there is no student assessment for grouping students on the basis of their achievement level, and that high school teachers do not use a differentiated test because of difficulties in grouping students and reporting the assessment results. Second, teachers perceived that they have spent a lot of time and effort to develop a differentiated assessment, that they depended heavily on a paper-and-pencil test to select students who are going to take the special supplementary comes, and that they do not provide appropriate feedbacks to students after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s end. Third, the results indicate that teachers usually do not use the materials that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the Office of Education offer. Also teachers believed that the lack of advertisement is the main reason why they do not use those materials. Finally, teachers perceived that they do not have enough training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in a differentiated curriculum and that they want to have trainings about the various types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item building method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장교사의 평가전문성 연구 교육평가연구" 15 (15): 67-85, 2002

      2 "학교차원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기 위한 교직원 개발 모형 탐색" 38 : 197-211, 1999

      3 "프로젝트 중심 학습을 적용한 고등학교 수준별 영어 수업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2

      4 "초등학교의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21 (21): 61-88, 2003

      5 "중학교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연구 질문지법을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15 (15): 27-49, 2002

      6 "중등학교 수준별 수업 운영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2001

      7 "제 7차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후속 지원 연구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및 평가 방안을 중심으로 교육정책연구 2000-일-23" 2000

      8 "제 6차 교육과정에서의 중등학교 수준별 수업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7, 1998

      9 "일반계 고등학교 학교 교육과정 준비에서 평가까지. 제 7차 교육과정 적용 우수사례집" 2003

      10 "일반계 고등학교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 모형 개발, 적용. 교육과정 연구학교 운영보고서" 2001

      1 "현장교사의 평가전문성 연구 교육평가연구" 15 (15): 67-85, 2002

      2 "학교차원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기 위한 교직원 개발 모형 탐색" 38 : 197-211, 1999

      3 "프로젝트 중심 학습을 적용한 고등학교 수준별 영어 수업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2

      4 "초등학교의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21 (21): 61-88, 2003

      5 "중학교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연구 질문지법을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15 (15): 27-49, 2002

      6 "중등학교 수준별 수업 운영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2001

      7 "제 7차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후속 지원 연구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및 평가 방안을 중심으로 교육정책연구 2000-일-23" 2000

      8 "제 6차 교육과정에서의 중등학교 수준별 수업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7, 1998

      9 "일반계 고등학교 학교 교육과정 준비에서 평가까지. 제 7차 교육과정 적용 우수사례집" 2003

      10 "일반계 고등학교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 모형 개발, 적용. 교육과정 연구학교 운영보고서" 2001

      11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평가 방안 교육과정연구" 20 (20): 97-124, 2002

      12 "수행평가의 기준 설정 방법에 관한 고찰 수행평가와 교과교육" 91-120, 2000

      13 "수행평가가 교육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16 (16): 125-142, 2003

      14 "수직적 동등화 방법들의 양호성 실증 비교" 13 (13): 127-152, 2000

      15 "수준별 평가를 위한 문제은행 시스템" 6 (6): 298-307, 2002

      16 "수준별 수업과 교육기회의 평등화 문제" 18 (18): 275-297, 2000

      17 "수준별 교육과정의 이해" 교육과학사 2000

      18 "수준별 교육과정을 위한 교육평가 방안. 한국교육평가학회·한국교육과정평가원, 7차 교육과정에서의 교육평가 방안 탐색을 위한 세미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5-50, 1999

      19 "수준별 교육과정에서 평가의 새로운 방향" 37 (37): 139-145, 1998

      20 "수준별 교육과정에 따른 평가의 쟁점과 과제. 황정규(편). 한국교육평가의 쟁점과 대안" 교육과학사 319-344, 2000

      21 "수준별 교육과정 평가 준거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교육과정연구" 18 (18): 299-326, 2000

      22 "수준별 교육과정 적용교과의 학교급별 평가방안연구 교육부 위탁 연구과제 답신보고" 1999

      23 "미국의 수행평가" 문음사 2003

      24 "대학입시가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과 수업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정평가연구" 1 (1): 1-15, 1998

      25 "단위학교 차원에서의 수행평가의 질 관리 방안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평가연구" 14 (14): 47-70, 2001

      26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을 위한 교육평가 방안.한국교육평가학회·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학술세미나 자료집" 한국교육평가학회· 1999

      27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의 주요 쟁점과 발전 방향 교육평가연구" 16 (16): 241-264, 2003

      28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기준 및 도구를 활용한 고등학교 공통과학 수행평가 적용 사례연구" 26 (26): 279-306, 1999

      29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기준 및 도구개발 연구(총론). 연구보고 RRE"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

      30 "교육평가의 개념에 대한 고찰 교육적 가치를 중심으로" 13 (13): 1-10, 2000

      31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새로운 교원 연수 모형으로서의 해석적 교원연수 모형" 21 (21): 123-143, 2003

      32 "고등학교 교육과정(Ⅰ).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대한교과서(주) (15) : 1997

      33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료(Ⅱ).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제. 교육과정 자료 84" 교육인적자원부 2001

      34 "The influences of testing on the curriculum Critical Issues in Curriculum 87th Year book of the NSSE" 1988

      35 "Technical issues in assessment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l Educational of Curriculum Theorizing" 1 (1): 5-25, 1996

      36 "Focus Groups as Qualitative Research" Sage 1997

      37 "Curriculum: Alternative Approaches, Ongoing Issues. (2nd ed.). New Jersey" Prentice-Hall 1999

      38 "Curriculum Foundation, Principles, and Issues (3ed). Boston Allyn and Bacon" Allyn and Bacon 1998

      39 "Combining measurement-driven instruction with authentic assessment Some initial observations of national assessment in England and Wales" 81-90, 1993

      40 ""수준별 교육과정을 위한 교육평가 방안에 대한 토론. 한국교육평가학회·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학술세미나 자료집" 한국교육평가학회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1 2.81 2.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5 2.69 3.561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