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나에서 우리로, 젠더에서 인간으로: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과 『젠더 허물기』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Gender Trouble and Undoing Gender by Judith Butler: My Identity to Beside Myself, Gender to Humannes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aims to study the turn of Butler’s 'feminist and gender theory' to 'ethics for the others' combined with politics sustaining the same genealogical viewpoints, comparing Gender Trouble and Undoing Gender: 1) the turn from ‘I’ to ‘we’ based on the constitutional heteronomy; 2) the turn from ‘gender’ to ‘human’ mainly based on becoming human of transsex or intersex people; 3) the turn from ‘you inside of me’ to ‘you before me’ focused on the priority of others from ethical points of view. As Butler said in Undoing Gender, we are undone by each other because nobody can’t always stay static, and my body is not solely mine in the social world dominated by cultural norms. The turn from Gender Trouble to Undoing Gender can be explained in three points: 1) to enlarge the ontological epistemology from me to us; 2) to transform from the sophisticated theoretical positions to ethical and political practice to consider social minorities; 3) to place more emphasis on cultural translation practice as a politically correct way to accept the challenge of differences than colaitional politics in the era of this multicultural period. While Gender Trouble participated in theorizing indecisive, unstable and free floating sex, gender, sexuality as an effect of regulatory power and disciplinary discourse in non-identity politics with the famous statement of “sex is always already gender,” Undoing Gender keenly recognizes the practical phases of ethical and political life of minorities like LGBTQI. At this point,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translation practice appears to accept the differences of queers without discrimination to live a livable and viable life. Last but not least, the genealogical viewpoints last consistently to stay skeptical to the fundamental assumptions such as a origin or a cause and also to reveal its historical context and discursive effects of the power regime. It requires permanent provisionality about gender possibilities and in particular about what it means to be human.
      번역하기

      This essay aims to study the turn of Butler’s 'feminist and gender theory' to 'ethics for the others' combined with politics sustaining the same genealogical viewpoints, comparing Gender Trouble and Undoing Gender: 1) the turn from ‘I’ to ‘we...

      This essay aims to study the turn of Butler’s 'feminist and gender theory' to 'ethics for the others' combined with politics sustaining the same genealogical viewpoints, comparing Gender Trouble and Undoing Gender: 1) the turn from ‘I’ to ‘we’ based on the constitutional heteronomy; 2) the turn from ‘gender’ to ‘human’ mainly based on becoming human of transsex or intersex people; 3) the turn from ‘you inside of me’ to ‘you before me’ focused on the priority of others from ethical points of view. As Butler said in Undoing Gender, we are undone by each other because nobody can’t always stay static, and my body is not solely mine in the social world dominated by cultural norms. The turn from Gender Trouble to Undoing Gender can be explained in three points: 1) to enlarge the ontological epistemology from me to us; 2) to transform from the sophisticated theoretical positions to ethical and political practice to consider social minorities; 3) to place more emphasis on cultural translation practice as a politically correct way to accept the challenge of differences than colaitional politics in the era of this multicultural period. While Gender Trouble participated in theorizing indecisive, unstable and free floating sex, gender, sexuality as an effect of regulatory power and disciplinary discourse in non-identity politics with the famous statement of “sex is always already gender,” Undoing Gender keenly recognizes the practical phases of ethical and political life of minorities like LGBTQI. At this point,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translation practice appears to accept the differences of queers without discrimination to live a livable and viable life. Last but not least, the genealogical viewpoints last consistently to stay skeptical to the fundamental assumptions such as a origin or a cause and also to reveal its historical context and discursive effects of the power regime. It requires permanent provisionality about gender possibilities and in particular about what it means to be huma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과 『젠더 허물기』를 중심으로 버틀러의 전기 페미니즘과 젠더 정치학과 후기 타자의 윤리학의 차이를 살피는 한편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유지되는 계보학적 관점에도 주목하려 한다. 구성적 타율과 관계적 감성을 중심으로 ‘나’에서 ‘우리’로의 전환을, 젠더의 소수성 때문에 인간과 미인간의 경계에 있는 트랜스나 인터섹스의 인간되기의 가능성을, 마지막으로 ‘내 안의 너’에서 ‘내 앞의 너’로의 이론적 변화를 중심으로 살피고자 한다. 『젠더 트러블』과 『젠더 허물기』로의 전환은 크게 첫째는 나에서 우리로 존재적 인식론을 확대한 점이고, 둘째는 이론적 정교함에서 현실적 정치성으로 선회해 사회 소수자에 대한 정치 윤리적 성찰을 전개한 점이며, 세 번째는 다문화 시대에 차이를 수용하는 올바른 방식으로서 문화 번역 실천을 제안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과거의 『젠더 트러블』이 ‘나’의 불안정하고 비결정적인 젠더 모호성을 옹호하면서 하나의 범주로 고정되지 않는 비정체성의 젠더 이론을 형성하고자 했다면, 『젠더 허물기』는 여성이면서도 사회적 소수자로, 또 성적 소수자로 살아가는 공동체인 ‘우리’앞에 놓인 현실적 사회 문화 역사 지역적 관계 속에서 소통하고 말하고 느끼는 현실의 정치 윤리적 삶을 논의한다는 점에서 전 후기 이론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근본적 전제에 대한 역사적 해석과 권력의 담론 작용 효과를 놓치지 않는 계보학적 관점은 전후기를 관통해 유지되고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과 『젠더 허물기』를 중심으로 버틀러의 전기 페미니즘과 젠더 정치학과 후기 타자의 윤리학의 차이를 살피는 한편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유...

      이 논문은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과 『젠더 허물기』를 중심으로 버틀러의 전기 페미니즘과 젠더 정치학과 후기 타자의 윤리학의 차이를 살피는 한편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유지되는 계보학적 관점에도 주목하려 한다. 구성적 타율과 관계적 감성을 중심으로 ‘나’에서 ‘우리’로의 전환을, 젠더의 소수성 때문에 인간과 미인간의 경계에 있는 트랜스나 인터섹스의 인간되기의 가능성을, 마지막으로 ‘내 안의 너’에서 ‘내 앞의 너’로의 이론적 변화를 중심으로 살피고자 한다. 『젠더 트러블』과 『젠더 허물기』로의 전환은 크게 첫째는 나에서 우리로 존재적 인식론을 확대한 점이고, 둘째는 이론적 정교함에서 현실적 정치성으로 선회해 사회 소수자에 대한 정치 윤리적 성찰을 전개한 점이며, 세 번째는 다문화 시대에 차이를 수용하는 올바른 방식으로서 문화 번역 실천을 제안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과거의 『젠더 트러블』이 ‘나’의 불안정하고 비결정적인 젠더 모호성을 옹호하면서 하나의 범주로 고정되지 않는 비정체성의 젠더 이론을 형성하고자 했다면, 『젠더 허물기』는 여성이면서도 사회적 소수자로, 또 성적 소수자로 살아가는 공동체인 ‘우리’앞에 놓인 현실적 사회 문화 역사 지역적 관계 속에서 소통하고 말하고 느끼는 현실의 정치 윤리적 삶을 논의한다는 점에서 전 후기 이론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근본적 전제에 대한 역사적 해석과 권력의 담론 작용 효과를 놓치지 않는 계보학적 관점은 전후기를 관통해 유지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현준,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정체성 이론" 학술정보연구 2007

      2 조현준,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 커뮤니케이션북스 1-130, 2016

      3 조현준, "젠더는 패러디다 : 주디스 버틀러의『젠더 트러블』읽기와 쓰기" 현암사 2014

      4 주디스 버틀러, "젠더 허물기" 문학과지성사 83-371, 2015

      5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 : 페미니즘과 정체성의 전복" 문학동네 147-, 2008

      6 게일 루빈, "일탈" 현실문화사 531-589, 2015

      7 주디스 버틀러, "윤리적 폭력비판 : 자기 자신을 설명하기" 인간사랑 116-, 2013

      8 조주영, "삶의 가능성을 열기 위하여: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허물기」" 여성문화이론연구소 (34) : 249-257, 2016

      9 조현준, "『자기만의 방』과 『여인무사』를 통해 본 「뮬란」의 여성 주체 번역 실천 : 주디스 버틀러의 문화 번역에 나타난 정치와 윤리의 가능성" 한국여성문학학회 (39) : 375-411, 2016

      10 Butler, Judith, "Undoing Gender" Routledge 1-320, 2004

      1 조현준,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정체성 이론" 학술정보연구 2007

      2 조현준,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 커뮤니케이션북스 1-130, 2016

      3 조현준, "젠더는 패러디다 : 주디스 버틀러의『젠더 트러블』읽기와 쓰기" 현암사 2014

      4 주디스 버틀러, "젠더 허물기" 문학과지성사 83-371, 2015

      5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 : 페미니즘과 정체성의 전복" 문학동네 147-, 2008

      6 게일 루빈, "일탈" 현실문화사 531-589, 2015

      7 주디스 버틀러, "윤리적 폭력비판 : 자기 자신을 설명하기" 인간사랑 116-, 2013

      8 조주영, "삶의 가능성을 열기 위하여: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허물기」" 여성문화이론연구소 (34) : 249-257, 2016

      9 조현준, "『자기만의 방』과 『여인무사』를 통해 본 「뮬란」의 여성 주체 번역 실천 : 주디스 버틀러의 문화 번역에 나타난 정치와 윤리의 가능성" 한국여성문학학회 (39) : 375-411, 2016

      10 Butler, Judith, "Undoing Gender" Routledge 1-320, 2004

      11 Deutsch, Francine M., "Undoing Gender" 21 (21): 106-127, 2007

      12 New, Carline, "Undoing Gender" 5 (5): 397-401, 2006

      13 Butler, Judith, "Psychic Life of Power" Stanford UP 1997

      14 Butler, Judith, "Precarious Life" Verso 1-168, 2004

      15 Butler, Judith, "Notes Toward a Performative Theory of Assembly" Harvard UP 1-256, 2015

      16 Lloyd, "Moya Judith Butler" Polity Press 134-, 2007

      17 Jagger, Gill, "Judith Butler: Sexual Politics, Social Change and the Power of the Performative" Routeldge 1-224, 2008

      18 Kirby, Vicki, "Judith Butler: Live Theory"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123-, 2006

      19 Davis, Bronwyn, "Judith Butler in Conversation: Analyzing the Texts and Talk of Everyday Life" Routeldge 222-, 2008

      20 Chambers, Samuel, "Judith Butler and Political Theory: Troubling Politics" Routledge 75-87, 2008

      21 Butler, Judith, "Hegemony, Contingency, Universality" Verso 1-330, 2000

      22 Butler, Judith, "Giving an Account of Oneself" Fordham UP 1-176, 2005

      23 Butler, Judith, "Gender Trouble" Routledge 33-, 1990

      24 Risman, Barbara J, "From Doing to Undoing: Gender as We Know it" 23 (23): 81-84, 2009

      25 Butler, Judith, "Excitable Speech" Routledge 1-182, 1997

      26 Arendt, Hannah, "Crises of the Republic" Harcourt Brace Jovanoovich 143-, 1972

      27 Butler, Judith, "Bodies That Matter" Routledge 1-288, 1993

      28 Butler, Judith, "Antigone's Claim" Columbia UP 1-112, 2000

      29 Peeters, Remi, "Against Violence, but not at any Price: Hannah Arendt's Concept of Power" 15 (15): 169-192,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78 1.791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