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상원, "아도르노의 자연지배 비판과 탈성장 담론: 해방된 사회는 ‘생산력의 진보’를 수반하는가?*" 인문과학연구소 43 (43): 13-40, 2022
2 김유동, "아도르노 사상 : 고통의 인식과 화해의 모색" 문예출판사 1993
3 Adorno, Th. W, "신음악의 철학" 세창출판사 2012
4 정호근, "사회구성과 지배의 연관: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계몽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2003
5 Adorno, Th. W, "부정변증법" 한길사 2003
6 정진범, "계보학적 비판으로서의 『계몽의 변증법』 읽기" 한국철학회 (141) : 145-175, 2019
7 민형원, "계몽의 변증법과 현대의 위기 : 자연의 위기와 지배의 변증법" 8 : 1998
8 Adorno, Th. W, "계몽의 변증법: 철학적 단상" 문학과 지성사 2001
9 노성숙, "계몽과 신화의 변증법" 철학연구회 50 : 2000
10 Noerr, G. S, "Zur Kritik der regressiven Vernunft: Beitraege zur “Dialektik der Aufklärung ”" Springer VS 2019
1 한상원, "아도르노의 자연지배 비판과 탈성장 담론: 해방된 사회는 ‘생산력의 진보’를 수반하는가?*" 인문과학연구소 43 (43): 13-40, 2022
2 김유동, "아도르노 사상 : 고통의 인식과 화해의 모색" 문예출판사 1993
3 Adorno, Th. W, "신음악의 철학" 세창출판사 2012
4 정호근, "사회구성과 지배의 연관: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계몽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2003
5 Adorno, Th. W, "부정변증법" 한길사 2003
6 정진범, "계보학적 비판으로서의 『계몽의 변증법』 읽기" 한국철학회 (141) : 145-175, 2019
7 민형원, "계몽의 변증법과 현대의 위기 : 자연의 위기와 지배의 변증법" 8 : 1998
8 Adorno, Th. W, "계몽의 변증법: 철학적 단상" 문학과 지성사 2001
9 노성숙, "계몽과 신화의 변증법" 철학연구회 50 : 2000
10 Noerr, G. S, "Zur Kritik der regressiven Vernunft: Beitraege zur “Dialektik der Aufklärung ”" Springer VS 2019
11 Forster, D, "Urgeschichte schreiben: Fluchlinien einer kritis chen Gesellschaftstheorie" 28/29 : 2009
12 Buck-Morss, S., "The Origin of Negative Dialectics" The Free Press 1977
13 Allen, A., "The End of Progress: Decolonizing the Normative Foundations of Political Theory" Columbia UP 2016
14 Schoolman, M, "Reason and Horror: Critical Theory, Democracy, and Aesthetic Individuality" Routledge 2001
15 Haynes, P, "Immanent Transcendence: Reconfiguring Materialism in Continental Philosophy" Blooms bury 2012
16 Söllner, A., "Geschichte und Herrschaft: Studien zur material istischen Sozialwissenschaft 1929-1942" Spengler 1979
17 Hogh, P,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Adorno's Philosop hy of Language" Rowman & Littlefield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