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족기능성과 자기효능감이 중년 남성의 은퇴불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 and Self-efficiency on Retirement Anxiety Among Middle-aged 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837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를 앞둔 중년 남성들을 대상으로 가족기능성, 자기효능감이 은퇴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S기업과 일반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중년 ...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를 앞둔 중년 남성들을 대상으로 가족기능성, 자기효능감이 은퇴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S기업과 일반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34부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직업 만족도, 경제적 형편, 학력, 건강상태에 따라 중년 남성의 은퇴불안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 남성의 가족기능성 전체와 자기효능감 전체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반면, 가족기능성 전체와 은퇴불안 전체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자기효능감도 은퇴불안과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가족기능성 전체는 중년 남성의 은퇴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 전체와 하위 영역인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은퇴불안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족기능성과 자기효능감을 예측변인으로 은퇴불안을 준거변인으로 두고 그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만이 은퇴불안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주, "한국가족의 구조변화와 대응방안" 한영신학대학교 기독상담대학원 2006

      2 황선덕, "한국 중년 남성의 조기퇴직후 생활적응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5

      3 김미영, "한국 중고령 남성의 은퇴 경험과 은퇴 후 삶의 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5 (15): 65-78, 2011

      4 정문주, "특집 : 고령화 시대의 노동; 고령자 고용 현황과 정책방안" 한국노동사회연구소 10-16, 2015

      5 신혁환, "퇴직예비교육이 직장만족, 퇴직불안, 직무동기부여,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6 全貴演,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 및 가족체계유형이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4

      7 신계수, "중년층의 직업특성과 활동특성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12

      8 주예심, "중년층의 노후준비의식과 퇴직태도 및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4

      9 정애리,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 남성 가구주를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7

      10 배재덕, "중년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과 은퇴태도가 은퇴준비에 미치는 요인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4

      1 이영주, "한국가족의 구조변화와 대응방안" 한영신학대학교 기독상담대학원 2006

      2 황선덕, "한국 중년 남성의 조기퇴직후 생활적응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5

      3 김미영, "한국 중고령 남성의 은퇴 경험과 은퇴 후 삶의 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5 (15): 65-78, 2011

      4 정문주, "특집 : 고령화 시대의 노동; 고령자 고용 현황과 정책방안" 한국노동사회연구소 10-16, 2015

      5 신혁환, "퇴직예비교육이 직장만족, 퇴직불안, 직무동기부여,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6 全貴演,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 및 가족체계유형이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4

      7 신계수, "중년층의 직업특성과 활동특성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12

      8 주예심, "중년층의 노후준비의식과 퇴직태도 및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4

      9 정애리,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 남성 가구주를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7

      10 배재덕, "중년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과 은퇴태도가 은퇴준비에 미치는 요인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4

      11 정은희, "중년부부의 주관적 건강상태, 결혼만족도, 자기효능감이 노후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커플관계자료 분석방법적용"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12 안진석, "중년남성의 심리사회적 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3

      13 김진관, "중년기 직장인의 퇴직 의식 및 퇴직준비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고려대학교 2002

      14 정영임, "중년기 직장인의 직업특성이 퇴직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15 허경숙, "중년기 조기퇴직 남성의 불안에 관한 질적 연구" 경북외국어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3

      16 이은주, "중년기 남성의 사회적 은퇴불안과 직업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4

      17 이은아, "중년기 남성의 가족 및 직업관련 변인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 16 (16): 547-562, 2007

      18 송진영, "중년 남성의 다중역할 몰입, 자기효능감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모형 분석"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09

      19 손종칠, "중고령자 은퇴 및 은퇴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10 (10): 125-153, 2010

      20 정 수, "준고령자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성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21 최인형, "조기퇴직 준비의 실태분석과 그 대책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주요 기업체의 중년남성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04

      22 장삼수, "조기퇴직 불안이 중년기 위기에 미치는 영향 : 금융기관에 종사하는 40~50대를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23 조가은,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가 사회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활심리학회 17 (17): 187-206, 2010

      24 임주연, "정년퇴직준비프로그램이 대기업 생산직 근로자의 퇴직 후 삶의 기대와 불안 및 퇴직준비도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2008

      25 김향은, "정년 퇴직을 앞둔 중년 남성의 심리적 불안-퇴직 예정자의 상태, 특성불안과 현행 정년제도에 대한 시각을 중심으로" 30 (30): 159-169, 1992

      26 박상복, "전문직 은퇴자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요구 분석 : 역량, 학습 및 사회활동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0

      27 朴敬珉,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노년기 우울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4

      28 박창제, "은퇴결정 형태와 노후준비가 은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59) : 115-138, 2013

      29 김윤경, "은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1

      30 김선영, "은퇴 남성의 은퇴스트레스, 성격강점, 결혼불만족이 은퇴 후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2

      31 홍혜영, "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32 조성남, "에이지붐 시대 고령화 사회의 미래와 도전"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33 정선영, "슈퍼비전 구조와 기능의 다양성이 수련중인 예비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0 (0): 59-81, 2013

      34 홍수아, "성격유형 및 위험수용성향에 따른 은퇴준비태도 및 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35 주태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스트레스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가구유형별 비교연구"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1

      36 이수연, "사무직 종사자의 퇴직 준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37 윤종만, "비자발적 퇴직자의 대처전략의 영향요인과 아웃플레이스먼트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28 (28): 193-221, 2004

      38 윤운성,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의 자기 효능감" 학지사 2004

      39 주재영, "베이비붐 세대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참여가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40 김택호, "미술치료를 적용한 진로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활심리학회 19 (19): 633-652, 2012

      41 신현구, "노동시장 은퇴자의 은퇴 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 3 : 81-93, 2007

      42 왕민숙, "남성 은퇴자의 은퇴 적응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4

      43 홍성희, "남성 봉급생활자의 은퇴 전 생활설계프로그램-생활문제 인식 및 대처방안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95-115, 2006

      44 방하남, "기업의 정년실태와 퇴직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2

      45 이주일, "기업구성원의 퇴직에 대한 태도 및 퇴직준비 교육 요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6 (16): 57-79, 2003

      46 이순옥, "기업 종사자의 은퇴에 대한 인식 및 준비상황에 대한 연구"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10

      47 신은주, "공무원 퇴직준비 교육의 효과와 개선점 연구 : 서울특별시 소속 퇴직 공무원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8 이해선, "고학력 중∙장년층 퇴직자를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 : H기관 사회공헌 프로그램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49 최인숙, "고령사회에 대비한 공무원의 퇴직준비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교육청 소속 교원과 일반직 비교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50 유영주, "건강가족연구" 교문사 2001

      51 유승교, "가족구조의 변화에 따른 노인부양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52 Sherer, M., "The self-efficacy scale : Construction and validation" 51 (51): 663-671, 1982

      53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1997

      54 Bandura, A.,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28 (28): 117-148, 1993

      55 지은정, "OECD 15개국 중고령 남성의 취업률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63 (63): 233-260, 2011

      56 Bandura, A., "Human agency in social cognitive theory" 44 (44): 1175-1184, 1989

      57 Olson, D. H., "Family Inventorie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41-, 1985

      58 Fletcher, W. L., "Assessing the social components of retirement anxiety scale" 6 : 76-85, 1991

      59 Hayslip, B., "Assessing anxiety about retirement : The case of academicians" 44 (44): 15-36, 1997

      60 통계청, "2014년 경제활동 인구조사 결과"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 2 2.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4 1.99 2.1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