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日帝時期 文集刊行과 出版檢閱 - 『松菴集』을 中心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464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제는 조선통치의 한 수단으로 1909년 2월에 “法律 第六號”로 ‘출판법’을 제정하고, 조선에서 간행되는 모든 출판물을 검열하였다. 공주 내산리에 세거하였던 崔鍾和의 문집인 『송암...

      일제는 조선통치의 한 수단으로 1909년 2월에 “法律 第六號”로 ‘출판법’을 제정하고, 조선에서 간행되는 모든 출판물을 검열하였다. 공주 내산리에 세거하였던 崔鍾和의 문집인 『송암집』도 검열을 받고 1935년에 2권2책의 석인본으로 간인된 것이다. 그런데 『송암집』은 당시 출판을 위해 총독부 경무국 도서과에 제출하였다가 검열후 돌려받은 稿本 『송암집』이 있어, 일제시기 문집출판 검열에 관하여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일제는 『송암집』고본에서 모두 16편의 글을 전면 삭제토록 하였고, 3개의 곳에서는 부분삭제토록 하였다. 일제에 의하여 전면 삭제당한 글은 조선의 임금에 대한 충성심을 나타낸 글, 임진왜란시 왜적에 항전하거나 적개심을 표현한 글, 일제 강점 및 시책에 대한 비판적인 글, 백제에 대한 회고의 글, 임진왜란시 왜적에 항전 한 내용을 담은 글, 일제시기 의병에 관한 글, 壬亂義兵에 관한 글 등을 삭제토록 하였다. 그리고 부분적 삭제토록 한 글귀는 왜적을 처서 복수를 하여야 한다는 글, 조선의 처지가 夷狄의 奴隸가 되었다는 글, 일본에 대한 표현을 强寇․寇賊․外寇 등으로 표현 한 것 등을 삭제토록 하였다.
      일제는 검열로 ‘삭제’된 부위에 대하여 伏字, ○字, 空欄으로 하거나 삭제한 뜻을 기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그럼에도 간인본 『송암집』에는 의도적으로 삭제처분 받은 곳 중
      6곳을 빈칸(여백)으로 비워 놓았다. 그리고, 검열을 위한 고본 ‘卷之一’ 만을 『송암집』단권이라 하여 검열을 받고, 간인시에는 2권 2책의 『송암집』을 간인하여 ‘卷之二’는 출판검열을 받지 않고 출판을 하였다. 이는 일제의 출판검열에 대한 조선인의 적극적인 저항의 표시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invading Chosun by force, Japan used censorship on press and publications as a means to rule and control the country. For Japan, censoring the publications was a very important instrument that could hold back Chosun's desire for independence and...

      After invading Chosun by force, Japan used censorship on press and publications as a means to rule and control the country. For Japan, censoring the publications was a very important instrument that could hold back Chosun's desire for independence and national consciousness. Thus, Japan enacted Article 6, which was called a 「publication law」, in 1909 (3rd year under Emperor Soonjong's rule) to inspect all the publications that were made in Chosun.
      『Songamjip』 is a collection of prose written by Jonghwa Choi, who lived in Gongju for generations. Its publication was made in 1935 as two volumes of books printed with a stone seal. However, there is another manuscript of 『Songamjip』 that has been returned after the inspection from the publications division of police administration in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Comparing these two versions, it reveals a lot about the censorship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Chosun.
      From the manuscript of 『Songamjip』, Japan ordered 16 chapters to be completely removed and in 3 cases to be partly eliminated. The chapters that were expurgated were writings about royalty to Emperor of Chosun, works describing fight against Japanese during Japanese Invasion of Chosun in 1592 or hatred toward them, criticism about Japanese invasion by force or its policies, memoirs about Baekje, description of militia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and Japanese Invasion of 1592 and more. Also, passages including which Chosun should revenge Japan by striking back at them, Chosun has become slaves of barbarians, and words describing Japan as an influential robber, Japanese invaders crossing the border and foreign enemy were ordered to be partly eliminated.
      As is shown, the reason Japan deleted some parts of the book was to prevent enlightenment of Chosun's people through publication that could boost its aspiration for independence and national consciousness in order to use publication censorship as a lasting means of controlling Chosun. Therefore, Japan ordered the 'deleted' parts to be printed wrongly, printed with s, left blank or did not let the meaning of deleted parts to be stated.
      However, in the published version of 『Songamjip』six of the censored parts are left blank in purpose. Also, the publisher of 『Songamjip』actively evaded Japanese inspection on
      publications by reporting 『Songamjip』as a single volumn book and putting the 'first volume' through censorship and printed and published it as two volume book without getting inspection on the 'second volume'. This shows Chosun people's willingness to evade Japanese censorship on publications and their active resistance against Japanese rule.
      From the publication case of 『Songamjip』under colonial Japanese rule, the original idea and intent of the writer in the publications made under the Japanese rule are distorted by Japan's oppression on publications. Thus, when researching with literatures written during the Japanese rule, it is never good enough to be cautiou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出版檢閱과 文集刊行
      • 3. 『松菴集』의 刊行과 檢閱
      • 3.1 『松菴集』稿本(檢閱本)
      • 1. 머리말
      • 2. 出版檢閱과 文集刊行
      • 3. 『松菴集』의 刊行과 檢閱
      • 3.1 『松菴集』稿本(檢閱本)
      • 3.2 검열에서 삭제된 내용
      • 3.3 ‘삭제’ 처분된 곳의 처리
      • 4. 맺음말
      • <附 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