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정호,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2 이화영, "초등학생의 대수 추론 능력과 조기 대수(Early Algebra) 지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3 전형옥,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양적 추론 사례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19 (19): 81-98, 2009
4 Skemp, R. R., "초등수학교육" 교우사 1996
5 홍종선, "조사방법과 통계자료분석" 박영사 1997
6 고창수, "수학적 모델링 활동이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9 (19): 347-370, 2015
7 임미인, "산술적 사고의 요소 및 수준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2017
8 Usiskin, Z., "Van Hiele levels and achievement in secondary school geometry. CDASSG Project" University of Chicago 1982
9 Warren, E., "The role of arithmetic structure in the transition from arithmetic to algebra" 15 (15): 122-137, 2003
10 Howe, R.,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your child to learn about arithmetic" 107-114, 2015
1 우정호,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2 이화영, "초등학생의 대수 추론 능력과 조기 대수(Early Algebra) 지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3 전형옥,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양적 추론 사례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19 (19): 81-98, 2009
4 Skemp, R. R., "초등수학교육" 교우사 1996
5 홍종선, "조사방법과 통계자료분석" 박영사 1997
6 고창수, "수학적 모델링 활동이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9 (19): 347-370, 2015
7 임미인, "산술적 사고의 요소 및 수준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2017
8 Usiskin, Z., "Van Hiele levels and achievement in secondary school geometry. CDASSG Project" University of Chicago 1982
9 Warren, E., "The role of arithmetic structure in the transition from arithmetic to algebra" 15 (15): 122-137, 2003
10 Howe, R.,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your child to learn about arithmetic" 107-114, 2015
11 Babbie, E.,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Wadworth 1994
12 van Hiele, P. M., "Structure and insight: A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 Academic Press 1986
13 Berman, J., "SToPV : A five minute assessment of place value" 16 (16): 24-28, 2011
14 김정원, "Rasch 모델을 통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등호 이해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55 (55): 1-19, 2016
15 Abdi, H., "Encyclopedia of research design" Sage 2010
16 Gay, L. R., "Educational research: competencies for analysis & application" Longman 2000
17 Guberman, R., "Development of arithmetical thinking : evaluation of subject matter knowledge of pre-service teachers in order to design the appropriate course" 14 (14): 739-755,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