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정당성 제고에 관한 소론 = Revisiting the Legitimacy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730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10년 경과한 시점에서 동 정책의 정당성을 발전단계별로 재검토하고 동 정책의 정당성 구조를 분석하였다. 문화예술교육 정책은 국민의지지와 신뢰에 기초하여 내용적, 절차적 정당성을 갖출 때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다. 그것은 문화예술교육을 둘러싼 다양한 관련 집단들이 서로 달리 추구하는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분명하게 드러내고 이들 집단 간의 민주적 합의를 이루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도입기(2004-2006)에는 문화부처가 동 정책의 이니셔티브를 갖고 시민단체와 전문가 집단 등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수렴을 통해정당성을 확보하였다. 그러나 정착기(2007-2009)에는 점차 폐쇄적인 공론구조를 띄며 문화예술교육의 도구적 가치에 중점을 둔 경로 의존적 양적 성장에 치중하였다. 이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고조되는 전환기(2010년 이후)를 맞았으나 정책의 정당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미흡한 채, 교육부처 마저 도구적 가치에 편중된 차별성 없는 정책을 추진함으로써 동 정책이 정당성의 위기에 봉착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시민사회와 전문가 집단이 참여적 담론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가치 정립과 그 실천과정에 지속적으로 관여할 수 있도록 제도화 하고 이를통해 정책의 정당성을 제고해 나갈 것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10년 경과한 시점에서 동 정책의 정당성을 발전단계별로 재검토하고 동 정책의 정당성 구조를 분석하였다. 문화예술교육 정책은 국민의지지와 신뢰에 기초...

      본 논문은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10년 경과한 시점에서 동 정책의 정당성을 발전단계별로 재검토하고 동 정책의 정당성 구조를 분석하였다. 문화예술교육 정책은 국민의지지와 신뢰에 기초하여 내용적, 절차적 정당성을 갖출 때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다. 그것은 문화예술교육을 둘러싼 다양한 관련 집단들이 서로 달리 추구하는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분명하게 드러내고 이들 집단 간의 민주적 합의를 이루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도입기(2004-2006)에는 문화부처가 동 정책의 이니셔티브를 갖고 시민단체와 전문가 집단 등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수렴을 통해정당성을 확보하였다. 그러나 정착기(2007-2009)에는 점차 폐쇄적인 공론구조를 띄며 문화예술교육의 도구적 가치에 중점을 둔 경로 의존적 양적 성장에 치중하였다. 이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고조되는 전환기(2010년 이후)를 맞았으나 정책의 정당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미흡한 채, 교육부처 마저 도구적 가치에 편중된 차별성 없는 정책을 추진함으로써 동 정책이 정당성의 위기에 봉착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시민사회와 전문가 집단이 참여적 담론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가치 정립과 그 실천과정에 지속적으로 관여할 수 있도록 제도화 하고 이를통해 정책의 정당성을 제고해 나갈 것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t this time, it is very meaningful to reexamine the legitimacy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olicy and recommend how to reconstruct the structure of legitimacy.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olicy should be equipped with substantive and procedural rationality to secure legitimacy based on people's support and trust. For this, we have to understand the different types of value that arts and cultural education creates, and establish a process of open discourse among stakeholders.
      Untill now, arts and cultural policy of Korea has experienced three developmental stages: introduction, settlement, and transition period.
      During introduction period, MOC(Ministry of Culture) had initiated the policy and gained legal legitimacy and public support. But the pass-dependent growth of the policy, focused on instrumental values, had been observed in settlement period, During this time, the opportunity of open discourse had decreased significantly despite the policy output was eye-opening. Since 2010, MOC has confronted the crisis of legitimacy in consequence of closed conversation and mobilization of bias.
      With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losed approach of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will never succeed in creating legitimacy and creating such legitimacy will depend on institutional innovation that engages the public in understanding and contributing to the value creation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번역하기

      At this time, it is very meaningful to reexamine the legitimacy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olicy and recommend how to reconstruct the structure of legitimacy.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olicy should be equipped with substantive and procedural r...

      At this time, it is very meaningful to reexamine the legitimacy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olicy and recommend how to reconstruct the structure of legitimacy.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olicy should be equipped with substantive and procedural rationality to secure legitimacy based on people's support and trust. For this, we have to understand the different types of value that arts and cultural education creates, and establish a process of open discourse among stakeholders.
      Untill now, arts and cultural policy of Korea has experienced three developmental stages: introduction, settlement, and transition period.
      During introduction period, MOC(Ministry of Culture) had initiated the policy and gained legal legitimacy and public support. But the pass-dependent growth of the policy, focused on instrumental values, had been observed in settlement period, During this time, the opportunity of open discourse had decreased significantly despite the policy output was eye-opening. Since 2010, MOC has confronted the crisis of legitimacy in consequence of closed conversation and mobilization of bias.
      With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losed approach of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will never succeed in creating legitimacy and creating such legitimacy will depend on institutional innovation that engages the public in understanding and contributing to the value creation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현선, "합의가능한 공통분모에서 시작하는 문화예술교육 실행 전략. 전환기의 문화예술교육"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창간준비) : 32-37, 2008

      2 임수준, "학교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몇 가지 제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34-37, 2013

      3 이윤식,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 성과평가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4 이재영, "쟁점중심 미술과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화"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5 : 55-76, 2009

      5 Bamford, A., "예술교육의 놀라운 효과" 한길사 2006

      6 정연희, "예술교육을 통한 지속가능성 사고의 확장"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2 (12): 51-71, 2011

      7 김영평, "불확실성과 정책의 정당성"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3

      8 이재영,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에 근거한 문화예술교육의 개념화"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1 (31): 1-22, 2012

      9 정연희, "미술교육의 사회적 가치와 실천 역량" 한국미술교육학회 24 (24): 1-26, 2010

      10 정연희, "미술교육의 문화적 실천을 위한 미술교사 문화역량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1 정현선, "합의가능한 공통분모에서 시작하는 문화예술교육 실행 전략. 전환기의 문화예술교육"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창간준비) : 32-37, 2008

      2 임수준, "학교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몇 가지 제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34-37, 2013

      3 이윤식,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 성과평가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4 이재영, "쟁점중심 미술과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화"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5 : 55-76, 2009

      5 Bamford, A., "예술교육의 놀라운 효과" 한길사 2006

      6 정연희, "예술교육을 통한 지속가능성 사고의 확장"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2 (12): 51-71, 2011

      7 김영평, "불확실성과 정책의 정당성"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3

      8 이재영,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에 근거한 문화예술교육의 개념화"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1 (31): 1-22, 2012

      9 정연희, "미술교육의 사회적 가치와 실천 역량" 한국미술교육학회 24 (24): 1-26, 2010

      10 정연희, "미술교육의 문화적 실천을 위한 미술교사 문화역량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11 박만용, "미술교육 위기를 바라보는 각계의 시각과 활동" 미술교육발전공동대책위원회 94-97, 2004

      12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정책백서 2004-2011"

      13 신승환, "문화예술교육의 철학적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

      14 조현성, "문화예술교육, 성장과 변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4-22, 2013

      15 황정현,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9

      16 정연희, "문화관광부의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계획에 대한 기대와 우려"

      17 정연희, "모두가 주역인 평생 문화예술교육 만들기 방향" 과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8-20, 2009

      18 문태현, "담론이론과 공공정책의 정당성" 한국정책학회 12 (12): 125-146, 2003

      19 김세훈, "관리합리성 관점에서 본 문화예술교육 과제" 한국문화교육학회 7 (7): 21-46, 2012

      20 Davis, J. H., "Why Our Schools Need the Arts" Teachers College Press 2008

      21 Clegg, S. R., "The Theory of Power and Organization" Routledge and Kegan Paul 1979

      22 Habermas, J., "The Theory of Communication Action. vol.1" Beacon Press 1984

      23 Clegg, S. R., "Power, Rule and Domination" Routledge and Kegan Paul 1975

      24 Gordon, R., "Power, Rationality and Legitimacy in Public Organizations" 87 (87): 15-34, 2009

      25 Clegg, S. R, "Power and Organizations" Sage 2006

      26 Suchman, M., "Managing Legitimacy: Strategic and Institutional Approaches" 20 (20): 571-610, 1995

      27 Courpasson, D., "Managerial Strategies of Domination: Power in Soft Bureaucracies" 21 (21): 41-162, 2000

      28 Alexander, G., "Institutions, Path Dependence, and Democratic Consolidation" 13 (13): 249-270, 2001

      29 McCarthy, K. F., "Gifts of the Muse" Rand Corporation 2004

      30 Clegg, S. R., "Frameworks of Power" Sage 1989

      31 Oxfam,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A Guide for Schools" Oxfam Development Education 2006

      32 Weber, M., "Economy and Society: An Outline of Interpretive Soci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8

      33 Holden, John, "Cultural Value and the Crisis of Legitimacy" DEMOS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영문명 : Art Education Society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 Korea Elementary Art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4 0.933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