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약과 법적 구속력 없는 합의 간 차이에 대한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607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판문점선언, 종전선언, 대한민국과 일본 간 위안부 합의 등은 법적 구속력 있는 조약이 아닌 법적 구속력 없는 정치적 합의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합의의 법적 성격을 간과한 채 상당한 논란이 야기되었거나 야기되고 있다.
      조약과 법적 구속력 없는 합의는 쉽게 구분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이는 몇 몇 경우에 특정 합의를 조약으로 예정했는지 또는 정치적 합의로 예정했는지에 대한 당사국들의 ‘의도’를 발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법적 구속력 있는 합의인지 여부가 문제가 되었던 주요 사례를 살펴보아도 조약과 법적 구속력 없는 합의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 또는 고려사항을 확립하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국제재판소는 어떤 합의의 형식 또는 명칭, 용어 또는 표현, 체결당시의 사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어떤 합의가 조약인지 법적 구속력 없는 합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특히 체결 당시의 사정은 문제의 합의를 체결한 당사국(들)의 의도를 확인하는 데 있어 의미 있는 기준 또는 고려사항으로 인정되어 왔다. 그럼에도 당사국들의 의도를 제외하고는 절대적인 기준 또는 고려사항이 존재한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각 합의에 따라 다르게 판단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번역하기

      판문점선언, 종전선언, 대한민국과 일본 간 위안부 합의 등은 법적 구속력 있는 조약이 아닌 법적 구속력 없는 정치적 합의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합의의 법적 성격을...

      판문점선언, 종전선언, 대한민국과 일본 간 위안부 합의 등은 법적 구속력 있는 조약이 아닌 법적 구속력 없는 정치적 합의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합의의 법적 성격을 간과한 채 상당한 논란이 야기되었거나 야기되고 있다.
      조약과 법적 구속력 없는 합의는 쉽게 구분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이는 몇 몇 경우에 특정 합의를 조약으로 예정했는지 또는 정치적 합의로 예정했는지에 대한 당사국들의 ‘의도’를 발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법적 구속력 있는 합의인지 여부가 문제가 되었던 주요 사례를 살펴보아도 조약과 법적 구속력 없는 합의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 또는 고려사항을 확립하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국제재판소는 어떤 합의의 형식 또는 명칭, 용어 또는 표현, 체결당시의 사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어떤 합의가 조약인지 법적 구속력 없는 합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특히 체결 당시의 사정은 문제의 합의를 체결한 당사국(들)의 의도를 확인하는 데 있어 의미 있는 기준 또는 고려사항으로 인정되어 왔다. 그럼에도 당사국들의 의도를 제외하고는 절대적인 기준 또는 고려사항이 존재한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각 합의에 따라 다르게 판단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nmunjom Declaration, the Declaration for the Termination of the Korean War and the Comfort Women Agreement between Korea and Japan should be regarded as political agreements rather than legally binding treaties. Nevertheless, considerable controversy has arisen, ignoring the legal character of these agreements.
      It could be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reaties and non-legally binding agreement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n some cases, the ‘intent’ of the parties as to whether the agreement in question has to be regarded as either a treaty or a political agreement is unclear.
      Even after reviewing the major cases in which the issue of whether or not an agreement is a legally binding one was raised, it is still difficult to lay down criteria or factors to distinguish a treaty from a political agreement. While the key criterion or factor is the intent of the partie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intent would rarely be expressed. Therefore, the form(or title), the terms(or expressions) and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adoption of an agreement are the criteria or factors that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do not want to overlook in determining whether the agreement is a treaty or a political agreement.
      In particular,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agreement in question was concluded have been recognized as a meaningful criterion or factor in finding out the intent of the parties. However, it is not easy to set any other key criterion or factor except for the intent of the parties. This means that the legal nature of an agreement has to be determined on a case-by-case basis.
      번역하기

      The Panmunjom Declaration, the Declaration for the Termination of the Korean War and the Comfort Women Agreement between Korea and Japan should be regarded as political agreements rather than legally binding treaties. Nevertheless, considerable contro...

      The Panmunjom Declaration, the Declaration for the Termination of the Korean War and the Comfort Women Agreement between Korea and Japan should be regarded as political agreements rather than legally binding treaties. Nevertheless, considerable controversy has arisen, ignoring the legal character of these agreements.
      It could be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reaties and non-legally binding agreement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n some cases, the ‘intent’ of the parties as to whether the agreement in question has to be regarded as either a treaty or a political agreement is unclear.
      Even after reviewing the major cases in which the issue of whether or not an agreement is a legally binding one was raised, it is still difficult to lay down criteria or factors to distinguish a treaty from a political agreement. While the key criterion or factor is the intent of the partie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intent would rarely be expressed. Therefore, the form(or title), the terms(or expressions) and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adoption of an agreement are the criteria or factors that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do not want to overlook in determining whether the agreement is a treaty or a political agreement.
      In particular,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agreement in question was concluded have been recognized as a meaningful criterion or factor in finding out the intent of the parties. However, it is not easy to set any other key criterion or factor except for the intent of the parties. This means that the legal nature of an agreement has to be determined on a case-by-case basi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 Ⅱ. 1969년 협약 제2조 제1항(a)에 언급된 조약의 정의
      • Ⅲ. 법적 구속력 없는 합의, 즉 정치적 합의
      • Ⅳ. 나가며
      • 참고문헌
      • Ⅰ. 들어가며
      • Ⅱ. 1969년 협약 제2조 제1항(a)에 언급된 조약의 정의
      • Ⅲ. 법적 구속력 없는 합의, 즉 정치적 합의
      • Ⅳ. 나가며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Corten, Olivier, "The Vienna Conventions on the Law of Treaties - A Commentary), Vol. I"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 Sinclair, Ian, "The 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84

      3 Schachter, Oscar, "The Twilight Existence of Nonbinding International Agreements" 71 : 1977

      4 Hollis, Duncan B, "The Oxford Guide to Treat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5 Lord McNair, "The Law of Treaties" Oxford University Press 1961

      6 Aust, Anthony, "Modern Treaty Law and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7 "Maritime Delimitation in the Indian Ocean (Somalia v. Kenya), Preliminary Objections, Judgment, I.C.J. Reports 2017"

      8 "Maritime Delimitation and Territorial Questions between Qatar and Bahrain, Jurisdiction and Admissibility, Judgment, I.C.J. Reports 1994"

      9 "Land and Maritime Boundary between Cameroon and Nigeria (Cameroon v. Nigeria: Equatorial Guinea intervening), Judgment, I.C.J. Reports 2002"

      10 Klabbers, Jan, "Governance by Academics: The Invention of Memoranda of Understanding"

      1 Corten, Olivier, "The Vienna Conventions on the Law of Treaties - A Commentary), Vol. I"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 Sinclair, Ian, "The 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84

      3 Schachter, Oscar, "The Twilight Existence of Nonbinding International Agreements" 71 : 1977

      4 Hollis, Duncan B, "The Oxford Guide to Treat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5 Lord McNair, "The Law of Treaties" Oxford University Press 1961

      6 Aust, Anthony, "Modern Treaty Law and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7 "Maritime Delimitation in the Indian Ocean (Somalia v. Kenya), Preliminary Objections, Judgment, I.C.J. Reports 2017"

      8 "Maritime Delimitation and Territorial Questions between Qatar and Bahrain, Jurisdiction and Admissibility, Judgment, I.C.J. Reports 1994"

      9 "Land and Maritime Boundary between Cameroon and Nigeria (Cameroon v. Nigeria: Equatorial Guinea intervening), Judgment, I.C.J. Reports 2002"

      10 Klabbers, Jan, "Governance by Academics: The Invention of Memoranda of Understanding"

      11 Seidl-Hohenveldern, Ignaz, "Essays on the Law of Treaties - A Collection of Essays in Honour of Bert Vierdag" Martinus NijhoffPublishers 1998

      12 "Delimitation of the Maritime Boundary in the Bay of Bengal (Bangladesh/Myanmar), Judgment, ITLOS Reports 2012"

      13 Münch, Fritz, "Comments on the 1968 Draft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Treaties: Non-Binding Agreements" 29 : 1969

      14 "Award of the Arbitral Tribunal in the Matter of the South China Sea Arbitration between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Jurisdiction and Admissibility"

      15 "Award of the Arbitral Tribunal in the Matter of the Chagos Marine Protected Area Arbitration between Mauritius and United Kingdom"

      16 "Anglo-Iranian Oil Co. (United Kingdom v. Iran), Preliminary Objection, Judgment, I.C.J. Reports 1952"

      17 "Aegean Sea Continental Shelf (Greece v. Turkey), Preliminary Objection, Judgment, I.C.J. Reports 197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for the Study of Law Dong-A University -> The Institute for Legal Studies Dong-A University KCI등재
      2020-04-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DONG-A LAW REVIEW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7 0.84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