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초. 중급 연주자들이 좀 더 쉽고 효율적으로 코드 진행에 대응해 각 코드에 최적화된 코드 스케일을 학습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초. 중급 연주자들이 즉흥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97440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25-434(1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초. 중급 연주자들이 좀 더 쉽고 효율적으로 코드 진행에 대응해 각 코드에 최적화된 코드 스케일을 학습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초. 중급 연주자들이 즉흥연...
본 논문은 초. 중급 연주자들이 좀 더 쉽고 효율적으로 코드 진행에 대응해 각 코드에 최적화된 코드 스케일을 학습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초. 중급 연주자들이 즉흥연주와 이론을 배우고 익힐 때 미숙한 지식과 정리되지 않은 정보로 인해 수없이 혼란한 상황들에 부딪히게 된다. 코드 진행을ㅤ분석하고ㅤChord Scale (Available scale)을 연습하는ㅤ과정에서ㅤ스케일에 대한ㅤ개념과ㅤ적용에ㅤ많은ㅤ어려움을ㅤ갖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좀 더 효과적으로 코드 진행에 대응해 각 코드에 최적화된 스케일을 사용할 수 있는 학습법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함을 느낀다. 이 논문은 코드에 대응해 모드에 기초해 개별적으로 Available scale을 사용해 연주하는 방식이 아니라 조성에 기초해 스케일을 유출해 가는 방식들에 대해 알아본다. 우선 Chord Tone과 Tension의 결합으로 Diatonic Scale을 유출해내는 기본 개념에 대해 살펴본다. 그 후 Secondary & Non-Diatonic Dominant Chord와 2차 대리 Dominant 코드에 대응한 코드 스케일 사용방법들에 대해 알아본다. Guide Tone을 활용한 즉흥연주와 조성에 기초한 코드 스케일과의 연관성을 실용례를 통하여 증명하고 연주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how a beginning and intermediate improviser can learn and utilize the optimized chord scale for each chord by corresponding to chord progression more easily and efficiently. When inexperienced performers learn and master solos and ...
This study examined how a beginning and intermediate improviser can learn and utilize the optimized chord scale for each chord by corresponding to chord progression more easily and efficiently. When inexperienced performers learn and master solos and theories, they face countless confusing situations because of inexperienced knowledge and disorganized information in practicing and using available scales. For this reason, there is a need to study a learning method that enables inexperienced improvisers to respond more effectively to chord progression and use the available scale optimized for each chord. This study examined ways to use the chord scale based on the key rather than a method of playing individually using available scales based on the modes in response to chord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basic concept of finding a diatonic scale by combining the chord tone and tension. Subsequently, the study evaluated methods of using the chord sca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ary & non-diatonic dominant chord and the secondary dominant chord. This study proves the association between improvised performance using the guide tone and chord scale based on the tonal key through practical examples and suggests methods that can be used for performan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형균, "투명 터치패널을 이용한 상호작용이 가능한 스마트 음악학습기의 설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127-132, 2020
2 전소원, "베이비부머 세대의 음악활용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37-46, 2020
3 김현우, "구독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만족도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331-336, 2020
4 최경일, "교육복지 사업에 대한 만족이 사회적 자본을 매개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ㆍ중학생 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485-492, 2020
5 이정열, "교양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학생 요구 분석: J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545-554, 2019
6 "https://www.thejazzresource.com"
7 "http://danhaerle.com/polychordscales.html"
8 김건, "SNS를 활용한 K-POP 기록물 수집활동에 대한 지속의도 통합모델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441-453, 2020
9 Editorial Department, "Popular Music Arranging Method"
10 Masa Matsuda, "Popular Arrange" Doors 222-255, 2011
1 김형균, "투명 터치패널을 이용한 상호작용이 가능한 스마트 음악학습기의 설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127-132, 2020
2 전소원, "베이비부머 세대의 음악활용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37-46, 2020
3 김현우, "구독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만족도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331-336, 2020
4 최경일, "교육복지 사업에 대한 만족이 사회적 자본을 매개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ㆍ중학생 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485-492, 2020
5 이정열, "교양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학생 요구 분석: J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545-554, 2019
6 "https://www.thejazzresource.com"
7 "http://danhaerle.com/polychordscales.html"
8 김건, "SNS를 활용한 K-POP 기록물 수집활동에 대한 지속의도 통합모델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441-453, 2020
9 Editorial Department, "Popular Music Arranging Method"
10 Masa Matsuda, "Popular Arrange" Doors 222-255, 2011
11 최영현, "K-POP 아이돌 그룹 신한복 스타일에 대한 글로벌 반응: 블랙핑크 패션 사례"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533-541, 2020
12 Du Young, Yoon, "Jazz Style Of Bass Performance Technique" Chung-woon University 2014
13 Garrison Fewel, "Jazz Improvisation For Guitar-Harmonic Approach" Berklee Press 26-65, 2010
14 Taishi Uda, "Jazz Guitar Practice Method For 3 years later" SRMUSIC 6-41, 2018
15 Jeff Schroed, "Jazz Guitar"
16 Hal Croo, "How To Improvise-An Approach To Practicing Improvisation"
Transient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30kW Scale CVCF Inverter-based Micro-grid System
전술정찰정보수집체계(영상정보) 카메라 모듈의 볼조립체와 요크조립체 간 간섭 개선
단조 및 반복 동하중 작용 시 테트라포드형 인공자갈이 혼합된 도상층 자갈의 이동 궤적 평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7-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 ![]() |
2017-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8-28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2007-07-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1 | 0.842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