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어 한자서체 디자인의 감성 선호에 관한 연구 : -국제서체디자인 어워드에서 수상한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motional Preference of Chinese Character Type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857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자는 중국 문명의 상징이자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문자로, 그 미학, 철학, 문화적 의의가 매우 깊다. 디지털 사회에 접어들면서 한자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디자인적 가치와 실용적인 측면 모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특히, 디자인 과정에서 소비자의 감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한자의 감성 디자인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리하여 감성, 감성 디자인, 감성 공학과 같은 인간의 내면에 초점을 맞춘 디자인 연구가 기존의 제품 디자인에서 서체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는 디지털사회에 이르러 서체 디자인에서도 인간성과 정서적 교감이 중요시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미래의 디자인에서는 다양한 특성을 지닌 독자의 감성과 욕구를 미리 예측하는 서체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서체 디자인의 감성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디자인 실무에 적용 가능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한자 디자인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2013년부터 2023년까지 국제서체디자인 어워드에서 수상한 총 29개의 한자 작품의 감성디자인에 대한 선호도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은 한국국적의 10대부터 50대까지에 이르는 다양한 연령층으로 구성되었으며, 성별은 남성과 여성 모두 포함되었다. 또한, 한자에 대한 지식 유무, 평소 선호하는 서체에 따라 그룹을 나누어 조사하였고, 유효 표본은 82명을 대상으로 오프라인을 통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째, 사례 연구를 통해 서체의 발전 과정과 그에 따른 유형적 변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으며, 뉴미디어 환경에서 서체 디자인의 전략적 운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연구 사례를 통해 감성 디자인의 정량적 분석 필요성이 부각되었음을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감성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확립하였다.
      둘째, 2013년부터 2023년까지의 국제 서체 디자인 어워드에서 수상한 중국어 한자 서체의 감성선호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한자의 감성적 특성과 디자인 요소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규명하였다. 서체 디자인은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감정적 메시지를 형성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감성 공학의 원리를 적용하여 서체 디자인의 감성에 대해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디자인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제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 및 서체 디자인의 감성적 특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과거의 한자연구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서체는 문자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그 디자인은 사용자의 감정과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설명하였다. 또한 현재까지 한자서체에 대한 연구의 범위와 방법론에 대해 소개하고, 본 연구가 서체 디자인 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제2장 이론적 고찰에서는 감성 디자인과 감성 공학의 개념을 심도 있게 다루었다. 감성 디자인은 사용자를 고려한 디자인 접근법으로, 서체 디자인에서도 이러한 요소가 어떠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서체디자인의 사례 연구에서 주로 설정하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에 대해 언급하고 독립변수의 중요성 및 종속변수와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서체 디자인에서 감성적 요소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서체 디자인의 감성적 특성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제3장에서는 역사적, 문화적, 정치적, 사회적 배경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서체 디자인의 변화와 발전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각 시대별 한자의 기원, 구조, 형태적 특징을 면밀히 살펴보았으며, 그 시대를 대표하는 작품에 대한 소개를 통해 서체 디자인의 변천사를 더욱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각 시대의 서체가 어떻게 사회적 요구와 미적 기준을 반영해왔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대표적인 서체 디자인 회사와 디자이너에 대한 소개를 통해 그 시대를 반영하는 서체 디자이너와 그들이 창조한 서체에 대해 심도 있게 탐구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서체 디자인이 단순한 문자 표현을 넘어, 시대의 정체성과 문화적 흐름을 담아내는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제4장 연구방법론에서는 KJ법을 활용하여 서체와 샘플의 기본 글자 및 디자인 요소의 범위를 선정하고, 피험자 선정 과정과 설문 조사 방법을 설명하였다.
      연구 대상은 고등학생, 대학생, 직장인 등 주로 서체를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로 구성되며, 이들을 통해 서체 디자인 선호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은 모두 한국국적으로 10대부터 50대까지의 다양한 연령층으로 구성되었으며, 성별은 남성과 여성 모두 포함되었다. 또한, 한자에 대한 지식 유무에 따라 그룹을 나누어 조사하였고, 유효 표본은 최소 82명 이상을 확보하여 진행되었다. 이밖에 CA, TDC, GDC 등 국제 어워드에서 수상한 29개 작품에 대해 소개함으로써 최근 10년간의 서체 트렌드 추이와 변화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는 29개의 서체작품에서 각각 추출한 6개의 서체에 대해 비모수통계기법을 적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비모수 통계분석(Mann-Whitney U, Kruskal-Wallis)을 수행하였다. 독립변수는 피험자의 성별, 연령, 한자 지식 유무로 설정하고 종속변수는 선호도로 설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도출된 감성선호도 결과 바탕으로 서체의 유형에 대해 분석하고, 유형별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는 서체에 대해 도출하고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 규명하였다. 또한 29개의 서체에 대해‘영원할 永자’를 서체디자인의 기본틀에 대입시켜 점선, 두께, 세리프, 중궁, 자면, 자부, 중심 등 디자인 요소를 정리하고 성별, 연령, 한자지식 유무에 따라 선호하는 디자인 요소들의 특징에 대해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제6장에서는 연구결과를 통하여 서체의 각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또한 서체 디자인의 감성적 요소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였으나, 표본의 다양성 부족, 질적 연구의 부족, 시간적 변화에 대한 고려 등 여러 한계점에 대해 언급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 넓은 범위의 인구 집단을 포함하고, 한자에 대한 지식이 감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서체 디자인의 감성적 요소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례 연구와 문헌 조사를 통해 본 연구의 방향성을 정립하고, 서체 디자인의 감성선호도 분석을 통하여 감성요소가 사용자 경험과 감성적 반응에 얼마나 깊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서체디자이너가 서체를 디자인할 때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서체 디자인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령, 성별, 한자 지식수준 등을 반영한 디자인은 사용자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하고, 서체의 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서체 디자인의 실무적 활용뿐만 아니라 이론적 연구의 기초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가치를 지닐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한자는 중국 문명의 상징이자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문자로, 그 미학, 철학, 문화적 의의가 매우 깊다. 디지털 사회에 접어들면서 한자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

      한자는 중국 문명의 상징이자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문자로, 그 미학, 철학, 문화적 의의가 매우 깊다. 디지털 사회에 접어들면서 한자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디자인적 가치와 실용적인 측면 모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특히, 디자인 과정에서 소비자의 감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한자의 감성 디자인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리하여 감성, 감성 디자인, 감성 공학과 같은 인간의 내면에 초점을 맞춘 디자인 연구가 기존의 제품 디자인에서 서체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는 디지털사회에 이르러 서체 디자인에서도 인간성과 정서적 교감이 중요시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미래의 디자인에서는 다양한 특성을 지닌 독자의 감성과 욕구를 미리 예측하는 서체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서체 디자인의 감성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디자인 실무에 적용 가능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한자 디자인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2013년부터 2023년까지 국제서체디자인 어워드에서 수상한 총 29개의 한자 작품의 감성디자인에 대한 선호도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은 한국국적의 10대부터 50대까지에 이르는 다양한 연령층으로 구성되었으며, 성별은 남성과 여성 모두 포함되었다. 또한, 한자에 대한 지식 유무, 평소 선호하는 서체에 따라 그룹을 나누어 조사하였고, 유효 표본은 82명을 대상으로 오프라인을 통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째, 사례 연구를 통해 서체의 발전 과정과 그에 따른 유형적 변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으며, 뉴미디어 환경에서 서체 디자인의 전략적 운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연구 사례를 통해 감성 디자인의 정량적 분석 필요성이 부각되었음을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감성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확립하였다.
      둘째, 2013년부터 2023년까지의 국제 서체 디자인 어워드에서 수상한 중국어 한자 서체의 감성선호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한자의 감성적 특성과 디자인 요소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규명하였다. 서체 디자인은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감정적 메시지를 형성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감성 공학의 원리를 적용하여 서체 디자인의 감성에 대해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디자인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제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 및 서체 디자인의 감성적 특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과거의 한자연구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서체는 문자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그 디자인은 사용자의 감정과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설명하였다. 또한 현재까지 한자서체에 대한 연구의 범위와 방법론에 대해 소개하고, 본 연구가 서체 디자인 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제2장 이론적 고찰에서는 감성 디자인과 감성 공학의 개념을 심도 있게 다루었다. 감성 디자인은 사용자를 고려한 디자인 접근법으로, 서체 디자인에서도 이러한 요소가 어떠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서체디자인의 사례 연구에서 주로 설정하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에 대해 언급하고 독립변수의 중요성 및 종속변수와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서체 디자인에서 감성적 요소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서체 디자인의 감성적 특성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제3장에서는 역사적, 문화적, 정치적, 사회적 배경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서체 디자인의 변화와 발전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각 시대별 한자의 기원, 구조, 형태적 특징을 면밀히 살펴보았으며, 그 시대를 대표하는 작품에 대한 소개를 통해 서체 디자인의 변천사를 더욱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각 시대의 서체가 어떻게 사회적 요구와 미적 기준을 반영해왔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대표적인 서체 디자인 회사와 디자이너에 대한 소개를 통해 그 시대를 반영하는 서체 디자이너와 그들이 창조한 서체에 대해 심도 있게 탐구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서체 디자인이 단순한 문자 표현을 넘어, 시대의 정체성과 문화적 흐름을 담아내는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제4장 연구방법론에서는 KJ법을 활용하여 서체와 샘플의 기본 글자 및 디자인 요소의 범위를 선정하고, 피험자 선정 과정과 설문 조사 방법을 설명하였다.
      연구 대상은 고등학생, 대학생, 직장인 등 주로 서체를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로 구성되며, 이들을 통해 서체 디자인 선호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은 모두 한국국적으로 10대부터 50대까지의 다양한 연령층으로 구성되었으며, 성별은 남성과 여성 모두 포함되었다. 또한, 한자에 대한 지식 유무에 따라 그룹을 나누어 조사하였고, 유효 표본은 최소 82명 이상을 확보하여 진행되었다. 이밖에 CA, TDC, GDC 등 국제 어워드에서 수상한 29개 작품에 대해 소개함으로써 최근 10년간의 서체 트렌드 추이와 변화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는 29개의 서체작품에서 각각 추출한 6개의 서체에 대해 비모수통계기법을 적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비모수 통계분석(Mann-Whitney U, Kruskal-Wallis)을 수행하였다. 독립변수는 피험자의 성별, 연령, 한자 지식 유무로 설정하고 종속변수는 선호도로 설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도출된 감성선호도 결과 바탕으로 서체의 유형에 대해 분석하고, 유형별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는 서체에 대해 도출하고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 규명하였다. 또한 29개의 서체에 대해‘영원할 永자’를 서체디자인의 기본틀에 대입시켜 점선, 두께, 세리프, 중궁, 자면, 자부, 중심 등 디자인 요소를 정리하고 성별, 연령, 한자지식 유무에 따라 선호하는 디자인 요소들의 특징에 대해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제6장에서는 연구결과를 통하여 서체의 각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또한 서체 디자인의 감성적 요소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였으나, 표본의 다양성 부족, 질적 연구의 부족, 시간적 변화에 대한 고려 등 여러 한계점에 대해 언급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 넓은 범위의 인구 집단을 포함하고, 한자에 대한 지식이 감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서체 디자인의 감성적 요소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례 연구와 문헌 조사를 통해 본 연구의 방향성을 정립하고, 서체 디자인의 감성선호도 분석을 통하여 감성요소가 사용자 경험과 감성적 반응에 얼마나 깊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서체디자이너가 서체를 디자인할 때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서체 디자인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령, 성별, 한자 지식수준 등을 반영한 디자인은 사용자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하고, 서체의 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서체 디자인의 실무적 활용뿐만 아니라 이론적 연구의 기초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가치를 지닐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 목 차 ◆
      • 목차 ⅰ
      • 표목차 ⅱ
      • 그림목차 ⅲ
      • ◆ 목 차 ◆
      • 목차 ⅰ
      • 표목차 ⅱ
      • 그림목차 ⅲ
      • 국문요약 ⅳ
      • Ⅰ. 서론 1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 3. 연구의 시사점 8
      • 4. 연구의 개념 9
      • 5. 선행연구 고찰 10
      • Ⅱ. 이론적 고찰 18
      • 1. 감성디자인 및 감성공학 18
      • 1) 감성디자인 18
      • 2) 감성 공학 19
      • 3) 감성공학적 방법론 20
      • 2. 독립변수 21
      • 3. 종속변수 29
      • 4. 서체디자인에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 30
      • 5. 한자서체디자인의 특징 30
      • 6. 한자서체디자인의 분류 33
      • 7. 한자서체 디자인에서 고려할 사항 36
      • 8. 분야별 상용하는 서체디자인 38
      • 1) 해서체(楷書體) 38
      • 2) 고딕체(黑體) 39
      • 3) 송체(宋體) 40
      • 4) 볼드체(圓體) 41
      • 5) 행서체(行楷) 42
      • 9. 소결 44
      • Ⅲ. 한자서체 디자인 연구의 발전사 48
      • 1. 시대별 서체디자인연구에 대한 고찰 48
      • 1) 선진(先秦)시대와 갑골(甲骨)문 49
      • 2) 진한(秦漢)시대의 전서(篆書) 50
      • 3) 한(韓)나라의 예서(隸書) 51
      • 4) 당(唐)나라의 해서(楷書) 52
      • 5)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의 행서(行書) 53
      • 6) 송(宋)나라 송체(宋體) 54
      • 7) 활자(活字)의 탄생 55
      • 8) 중화민국시대의 서체 57
      • 9) 폰트와 디지털서체 58
      • 2. 한자 디자인회사 및 디자이너 60
      • 1) 서체디자인 회사 60
      • 2) 서체디자이너 64
      • 3. 국제 서체디자인 어워드 70
      • 1) iF 어워드 70
      • 2) 레드닷 어워드 71
      • 3) IDEA 어워드 72
      • 4) TDC 어워드 73
      • 5) GDC 어워드 73
      • 6) CA어워드 74
      • 4. 소결 75
      • Ⅳ. 연구방법론 78
      • 1. 감성 선호 연구의 의의 78
      • 2. 연구방법의 타당성 79
      • 3. 연구대상 선정 80
      • 4. 설문지의 작성 방법 81
      • 5. 피험자의 선발방법 및 평가절차 90
      • 6. 변수의 설정 92
      • 1) 독립변수 93
      • 2) 종속변수 94
      • 7. 분석방법 94
      • 8. 소결 96
      • Ⅴ. 한자서체 디자인에 대한 감성선호분석 99
      • 1. 인구사회학적 특성 99
      • 2. 일반적 경향 101
      • 3. 성별에 따른 서체 선호도 104
      • 4. 연령에 따른 서체 선호도 110
      • 5. 한자 인지수준에 따른 서체 선호도 123
      • 6.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 127
      • 7. 소결 128
      • Ⅵ. 결론 130
      • 1. 연구결과130
      • 2. 연구의 의의 133
      • 3. 연구의 시사점 134
      • 4. 연구의 한계와 제언 136
      • 참고문헌 138
      • 1. 국내문헌 138
      • 2. 외국문헌 140
      • Abstract 142
      • 부 록 148
      • 1. 한자 서체디자인 감성 실험연구에 관한 설문조사 148
      • 2. 29개 샘플의 디자인요소 특징 157
      • ◆ 표 목 차 ◆
      • 〈표 1〉연구에 활용된 형용사 어휘군 4
      • 〈표 2〉피험자 선정 6
      • 〈표 3〉연구의 개념 9
      • 〈표 4〉서체디자인에 관한 연구 12
      • 〈표 5〉연구샘플 서체에 대한 분류 36
      • 〈표 6〉피험자의 인구학적 특징 81
      • 〈표 7〉29개 서체 작품소개 82
      • 〈표 8〉설문조사에 활용된 서체샘플 82
      • 〈표 9〉서체디자인의 감성연구에 관한 선호도조사 설문지 샘플 91
      • 〈표 10〉감성연구에 활용한 감성 및 평가기준 92
      • 〈표 11〉독립변수의 기준 93
      • 〈표 12〉종속변수의 득점평가기준 94
      • 〈표 13〉연구문제 95
      • 〈표 14〉인구사회학적특성 100
      • 〈표 15〉29개 작품에 대한 감성분석결과 101
      • 〈표 16〉선호도 가장 높은 서체와 선호도가 가장 낮은 서체 103
      • 〈표 17〉성별에 따른 서체 선호도 비교 104
      • 〈표 18〉여성이 선호하는 서체 107
      • 〈표 19〉남성이 선호하는 서체 109
      • 〈표 20〉연령에 따른 서체 선호도 비교 110
      • 〈표 21〉40대가 선호하는 서체 116
      • 〈표 22〉50대가 선호하는 서체 119
      • 〈표 23〉10대가 선호하는 서체 122
      • 〈표 24〉한자인지수준에 따른 서체 선호도 비교 123
      • 〈표 25〉한자인지수준이 높은 피험자가 선호하는 서체 126
      • 〈표 26〉연구결과 132
      • ◆ 그림목차 ◆
      • 〈그림 1〉글자크기 12폰트 → 32폰트 23
      • 〈그림 2〉서체의 두께 24
      • 〈그림 3〉자부(字怀) 25
      • 〈그림 4〉세리프 25
      • 〈그림 5〉중심(重心) 26
      • 〈그림 6〉자면(字面) 27
      • 〈그림 7〉중궁(中宮) 27
      • 〈그림 8〉IRI 색채 이미지 스케일링 28
      • 〈그림 9〉독립변수에 영향을 주는 디자인요소 29
      • 〈그림 10〉독립변수와 종속변수 30
      • 〈그림 11〉해서체 39
      • 〈그림 12〉고딕체 40
      • 〈그림 13〉송체 41
      • 〈그림 14〉볼드체 42
      • 〈그림 15〉행서체 43
      • 〈그림 16〉갑골문 50
      • 〈그림 17〉진시황의 조서 51
      • 〈그림 18〉한나라의《화산묘비》 52
      • 〈그림 19〉구양순의《구성궁예천명》 53
      • 〈그림 20〉왕희지의《난정서》 53
      • 〈그림 21〉소자현의《남제서》 54
      • 〈그림 22〉무영전취진판종서 56
      • 〈그림 23〉구텐베르크의 [42행 성서]의 제1권 첫 페이지 57
      • 〈그림 24〉민국시대의 포스터 58
      • 〈그림 25〉다양한 서체디자인 59
      • 〈그림 26〉방정그룹 LOGO 및 대표서체 60
      • 〈그림 27〉한의폰트 LOGO 및 대표서체 61
      • 〈그림 28〉원딩테크놀로지 LOGO 및 대표서체 62
      • 〈그림 29〉Monotype LOGO 및 대표서체 63
      • 〈그림 30〉Dalton Maag LOGO 및 대표서체 63
      • 〈그림 31〉왕희지의 《쾌설시청첩》 65
      • 〈그림 32〉구양순의 《천자문》 65
      • 〈그림 33〉주지위의 서체디자인 작품 66
      • 〈그림 34〉가치견의 서체디자인 작품 67
      • 〈그림 35〉서학성의 서체디자인 작품 67
      • 〈그림 36〉역치겸의 서체디자인 작품 68
      • 〈그림 37〉Akira Kobayashi의 서체디자인 작품 6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